반응형
728x170

[Motoroid / Auto Inside]



미국 투자 금융 회사 모건 스탠리(Morgan Stanley)와 시장 조사업체 IHS가 다가오는 2020년까지 테슬라가 전체 전기차 시장의 절반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향후 전기차 시장에 대한 전망이 담긴 보고서에는 차종별 예상 판매대수가 그래프로 표시돼있으며, 아직 출시되지 않은 모델도 포함됐다. 그래프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브랜드는 역시 테슬라이며, 최근 공개된 보급형 전기차 '모델 3'과 모델 3을 베이스로 제작될 콤팩트 SUV '모델 Y'가 테슬라 돌풍의 주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모델 3의 경우, 미국 캘리포니아 주 프리몬트 공장에서 고객 인도 행사를 열고 주요 제원과 가격을 공개한지 불과 1주일 만에 일평균 주문량 1,800대를 넘기며 전 세계의 놀라움을 자아내기도 했으며, 주문량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대기자 목록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모델 Y는 출시 시기가 예정보다 앞당겨짐에 따라 기대감이 크게 증폭되고 있다. 당초 모델 Y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제작돼 2019-2020년 사이에 생산 라인이 구축될 예정이었지만, 모델 3의 플랫폼이 채용됨에 따라 출시 시기가 훨씬 앞당겨질 전망이다. 


모델 Y가 특별히 주목받는 데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테슬라는 모델3보다 모델 Y의 수요가 더 많을 것이라 장담했고, 모건 스탠리의 애널리스트 아담 조나스는 '콤팩트 SUV 부문이 결국 세계 최대의 세그먼트로 자리 잡게 될 것'이라 언급하며, "모델 Y가 테슬라의 베스트셀러 모델이 될 것"이라 전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모델 Y는 넉넉한 내부 공간과 트렁크 공간, 모듈식 좌석 구성으로 테슬라 모빌리티의 중심에 설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세계 각국이 탄소중립을 잇따라 선언하며 전기차 대열에 합류하고 있는 가운데, 전기차 기술의 발전과 인프라 확대,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노력에 따라 전기차 보급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Column]

"엔진을 생각하면 머릿속에서 엔진이 돌아가 멈추지 않았다. 그래서 잠을 잘 수 없었다" 1948년 혼다 자동차를 설립한 혼다 소이치로(1906-1991)가 살아생전 남긴 말이다. '기술의 혼다'라는 말이 생겨날 수밖에 없었던 배경을 가장 짧고 굵게 이해시켜준다. 



혼다 소이치로는 어릴 적부터 기계를 만지는 일에 남다른 재능을 보였다. 오래된 잔디깎이 모터로 자전거용 보조엔진을 개발했고, 1946년엔 혼다 기술연구소를 설립해 모터사이클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혼다 소이치로의 경영 정신은 초기부터 매우 확고했다. 남을 흉내 내는 것이 아닌, 독자적인 기술을 고집했다는 것. 이러한 정열과 철학은 기술의 발전으로 이어지게 되고, 1961년 영국 맨섬 바이크레이스서 우승을 차지하며 이름을 널리 떨치게 된다. 


경영 철학보다 더 놀라운 것은 혼다 소이치로가 자신이 설립한 회사가 나아갈 방향과 목적을 일찌감치 파악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그는 회사 발전의 초석으로 '모터스포츠'에 주목했다. 당시 일본의 모터스포츠 수준과 기반 시설은 서구에 비해 크게 뒤떨어졌는데, 결국 직접 서킷을 만들기로 결심한다. 1959년 서킷을 만들기 위한 부지를 매입하고, 1961년 서킷 공사 시작, 이듬해 9월 개장하며 속전속결로 진행됐다. 설계는 네덜란드의 유명 서킷 디자이너 존 후겐홀츠가 담당했으며, 완공된 서킷이 바로 일본 미에현 스즈카시에 위치한 스즈카 서킷이다.


스즈카 서킷


스즈카 서킷이 갖는 의미는 생각보다 훨씬 크다. 아시아·일본 최초의 국제 규격 서킷이었으며, 혼다 모터스포츠의 발전 무대로 활용됐고, 혼다 제품의 시험 장소와 홍보 무대로 사용되기도 했다. 현재는 일본 모터스포츠의 상징으로 자리 잡게 됐으며, F1 일본 그랑프리, WTCC 등 다양한 모터스포츠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아무것도 갖춰지지 않은 환경에서 서킷의 필요성을 미리 인지하고, 직접 설계까지 나선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어쩌면 이 순간부터 혼다의 앞길은 탄탄대로로 접어들게 된 것일지도 모른다. 



더 높이 살만한 가치는 혼다 소이치로의 '도전 정신'이다. 사실 196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혼다는 제대로 된 차가 한 대도 없었다. 바이크계에서 이름을 떨쳤을지는 몰라도, 쟁쟁한 경쟁자들이 수두룩하던 자동차 세계에는 후발 주자에 불과했다. 하지만 그들은 겁먹기보다는 쟁쟁한 머신과 베스트 드라이버들이 우글거리는 F1에 발을 내딛고 대회 진출을 선언한다. 토요타, 닛산 등과 경쟁을 펼치기 위해서는 기술로 승부를 걸어야 한다고 판단, 기술력을 검증받기 위해 F1 진출에 나선것이다.

1965 RA272는 혼다에 F1 첫 우승을 안겼다.


그리고 F1 프로젝트 시작 2년 만에 일본 업체 최초로 F1 무대 진출, 이듬해 멕시코 그랑프리에서 RA 272로 첫 우승을 거머쥐게 된다. 혼다의 열정과 도전이 출전 1년 만에 우승이라는 쾌거를 안겨준 셈이다. 당시 혼다 소이치로의 우승 소감은 굉장히 인상적이다. "승부의 결과가 목적이 아니다. 경주 결과를 분석해 품질을 높이고, 더욱 안전하고 뛰어난 성능의 자동차를 고객에게 선보이는 것이 목적이다" 이후 혼다의 엔진은 막강한 성능과 신뢰성을 자랑하며 F1 머신에 공급되기 시작한다. 



혼다에 있어 특별한 해가 있다면, 1992년을 꼽겠다. 혼다 역사상 최초의 타입 R 모델 'NSX 타입 R'이 공개됐기 때문이다. 여기서 R은 레이싱(Racing)을 의미하며, 타입 R은 서킷 주행에 특화된 고성능 유형임을 암시한다. 타입 R 모델에는 빨간 바탕의 혼다 엠블럼이 부착됐고, 이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신형 시빅 타입 R


NSX 타입 R에는 C30A V6 3.0리터 DOHC VTEC 엔진이 탑재됐고, 크랭크샤프트의 균형 정밀도와 커넥팅로드의 무게 정밀도를 높였다. 서스펜션을 새로 세팅하고 각종 편의장비를 제거해 무게를 120kg가량 줄였다. NSX 타입 R로 시작한 '타입 R' 브랜드는 인테그라 타입 R, 1997 시빅 타입 R, 어코드 타입 R 등으로 이어졌으며, 최근 공개된 시빅 타입 R은 뉘르부르크링 서킷에서 랩타임 7분 43.80초라는 독보적인 기록을 경신하고 '가장 빠른 전륜구동'이라는 타이틀을 거머쥐며 타입 R의 명성을 떨치고 있다. 



혼다는 모터스포츠라는 무대를 완벽하게 활용했고, 그곳에서 갈고닦은 기술을 양산차에 충실히 적용하고 있다. 디자인, 스포티한 주행 능력, 뛰어난 성능의 엔진, 우수한 핸들링, 높은 내구성과 품질까지. 어쩌면 기술을 최고이자 우선으로 여겼던 혼다 소이치로의 철학이 여과 없이 반영됐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을지도 모른다. 혼다는 구식 자전거용 보조 엔진으로 시작해 오토바이, 자동차를 넘어 휴머노이드 로봇, 소형 제트기까지 제작하고 있다. 



"도전해서 실패하는 것을 겁먹지 마라. 아무것도 안 하는 것을 무서워해라" 혼다 소이치로는 CEO로서의 자격이 있고, 존경받을 만한 자질을 갖췄다. 혼다 소이치로는 한 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최고 경영자의 확고한 철학과 나아갈 방향, 제품 개발에 대한 관심과 노력, 도전정신이 필수적이란 사실을 명확히 보여준다. 



비록 혼다 소이치로는 세상을 떠났지만, 그가 회사에 남긴 철학과 메시지는 고스란히 남겨졌다. 혼다는 올해 초 도쿄에 새로운 혁신 연구소 'R&D 센터 X'를 설립하며 로봇 공학, 모빌리티 서비스 및 시스템, 인공 지능, 배터리 등 최신 기술과 최첨단 소재 연구에 돌입했다. 혼다는 R&D 센터 X를 중심으로 최첨단 기술과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개발하며 다가오는 미래를 준비할 전망이다. 


글 : 모터로이드 칼럼 기획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독일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 수많은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을만한 깜찍한 전기 콘셉트카가 등장했다. 날쌔고 화려한 외모를 가진 슈퍼카는 아니지만 귀엽고 앙증맞은 외모로 눈길을 사로잡은 전기 콘셉트카, 바로 '혼다 어반 EV 콘셉트'다. 



어반 EV 콘셉트는 최근 쏟아지는 전기 콘셉트카들과 달리, 옛 향수를 부르는 복고풍 분위기와 미래 지향적인 분위기가 모두 담긴 것이 특징이다. '과거와 미래가 공존한다'라는 말이 가장 잘 어울리는 듯한 모델이며, 혼다의 친환경 전기차 기술과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향후 혼다 전기차량에 적용될 푸른 색상의 혼다 엠블럼이 부착됐으며, 전면부 프론트 그릴이 위치했던 자리에는 다국적 언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적용됐다. 이를 통해 간단한 인사 문구나 차량 정보,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양쪽 도어는 반대 방향으로 개폐되는 코치도어를 적용해 타고 내리기 편리하도록 제작됐으며, 복고풍 디자인의 휠은 이 차의 매력을 더해주고 있다. 



실내는 복고보다는 미래지향적인 느낌을 잘 살려냈고, 매우 심플한 구성이 돋보인다. 대시보드 상단을 차지하는 파노라마 디스플레이는 차량 정보와 배터리 잔량 등을 표시해주며, 사이드미러를 대신하는 카메라의 영상도 띄워준다. 좌석 구분을 없앤 1열 시트와 우드트림은 거실을 방불케하는 편안한 느낌을 선사하고, 가늘고 길게 다듬은 A필러로 탁 트인 시야를 제공하고 있다. 



정말 기쁜 소식 중 하나는, 이렇게 귀엽고 앙증맞은 전기 콘셉트카가 2019년 300km 이상의 주행가능거리와 고밀도 경량 배터리팩을 갖춰 양상될 예정이라는 사실이다. 과연 양산 모델은 얼마나 매력적일지 벌써부터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한편, 혼다는 다가오는 2025년까지 전기차 비중을 전체 판매량의 2/3까지 크게 끌어올릴 계획이며, 올해 초 도쿄에 설립한 새로운 혁신 연구소 'R&D 센터 X'를 중심으로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및 시스템을 개발하며 다가오는 전기차 시대를 준비해나갈 전망이다.


< 혼다 어반 EV 콘셉트 >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토요타가 독일 프랑크푸르트 모터쇼를 통해 중형 픽업트럭 하이럭스의 탄생 50주년을 기념하는 스페셜 에디션 '하이럭스 인빈서블 50'을 공개했다.



인빈서블(Invincible)은 '천하무적의','아무도 꺾을 수 없는'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내·외관 치장으로 강렬한 분위기와 스포티한 매력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사이드바와 언더 런 프로텍션, 롤 바 등 차량 곳곳을 검게 칠해 강인한 이미지를 더했으며, 18인치 블랙 알로이 휠로 블랙 테마를 완성시켰다. 



또한 오프로드 성능에 적합한 전용 타이어(all terrain tires)가 장착됐으며, 측면에는 인빈서블 레터링이 새겨진 화려한 데칼을 적용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플라스틱 베드라이너와 대형 수납박스, 도어 씰 플레이트, 바닥 매트를 추가로 적용해 스페셜 에디션만의 가치를 더했다. 



한편, 토요타 하이럭스는 일본과 미국, 우리나라를 제외한 중국,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오세아니아, 남아프리카, 유럽 등 전 세계 전역에서 판매되고 있는 중형 픽업트럭이다. 뛰어난 실용성과 넉넉한 적재 공간을 갖추고 있어 동남아시아에서 특히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스페인 자동차 제조 업체 세아트가 핫해치의 진수를 보여줄 '레온 쿠프라 R 리미티드 에디션'을 공개했다. 



외관 디자인은 리미티드 에디션답게 한껏 물오른 외모를 자랑한다. 크게 확장된 공기흡입구와 고급스러운 매시 그릴, 날카로운 리어 디퓨저와 머플러팁이 적용됐다. 가장 큰 핵심 포인트는 로즈골드 악센트다. 엠블럼과 사이드미러, 휠 등 곳곳에 구릿빛이 감도는 로즈골드 악센트로 감성 매력을 더했다. 실내 인테리어는 스티어링휠과 기어 노브, 센터패시아 등에 카본 소재를 적용해 스포티함을 더했다. 



차내에는 2.0리터 트윈 터보 엔진이 탑재되어 최고출력 310마력의 성능을 발휘한다. 이는 경쟁 차종인 폭스바겐 골프 R이나 아우디 S3와 동일한 출력이며, 차이가 있다면 쿠프라 R은 사륜구동이 아닌, 전륜 구동 시스템이 적용됐다. 또한 고성능 브렘보 브레이크 시스템과 새로운 배기 시스템을 탑재해 드라이빙 퍼포먼스 향상을 이끌어냈다. 


외장 컬러로는 미드 나잇 블랙, 피레네 그레이, 매트 그레이 세 가지 옵션이 제공되며, 한정판 모델인 만큼 단 799대만 판매될 예정이다. 해당 차량은 9월 14일부터 24일까지 열리는 2017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서 처음 공개될 예정이며, 올해 하반기 판매가 시작될 예정이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재규어가 영국 런던에서 열린 2017 테크 페스트를 통해 자사의 미래가 담긴 '재규어 퓨처 타입 콘셉트'를 공개했다. 



퓨처 타입(Future-Typer)은 재규어가 그리는 미래가 녹아든 콘셉트카로, 2040년 이후의 이동성을 상징한다. 미래 자율주행 기술과 커넥티비티 기술이 담겼으며, 특히 차내 탑재된 세계 최초의 인공지능(AI) 스티어링 휠이 돋보인다. 



세이어(Sayer)라는 명칭의 해당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의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고 스케줄을 관리해주며, 개인 정보를 보관하는 등 개인에 특화된 차세대 스티어링 휠이다. 심지어 개인의 주행 특성이나 취향, 운전 습관 등을 저장해 운전에 반영할 수도 있다. 



재규어는 이번 행사를 빌려 다가오는 2020년부터 전모델에 전동 파워 트레인을 제공하고, 개인 컨시어지 역할을 담당하는 차세대 스티어링 휠을 탑재한 자율주행 콘셉트카를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재규어는 순수전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 등의 친환경 자동차를 선보이며 목표를 달성해나갈 계획이다. 



한편, 재규어랜드로버는 2017 테크 페스트를 통해 그간 개발해온 첨단 기술과 자율주행기술, 카셰어링 프로그램 등을 선보이며 자사의 미래 모빌리티 비전을 제시하기도 했다. 


< 재규어 퓨처 타입 콘셉트 >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Official]



마쯔다 CX-5와 메르세데스-벤츠 C 클래스 카브리올레가 유럽 충돌 테스트서 별 5개를 획득하며 최고의 안전성을 입증했다. 


마쯔다 CX-5는 성인 탑승자 보호 영역에서 38점 만점에 36.48점을 받으며 96%를 기록했고,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카브리올레는 32.12점을 받으며 84점을 기록했다. 마쯔다 CX-5의 경우 교외, 도심, 보행자 모든 부문에 있어 자동긴급제동시스템(AEB)을 갖추고 있으며, C클래스 카브리올레 또한 AEB 시스템이 기본 탑재됐다. 



ANCAP 회장 제임스 굿윈(James Goodwin)은 "올해 호주와 뉴질랜드에서 판매량 1위를 기록한 마쯔다 CX-5 모델은 고객들에게 안전한 옵션을 제공하며, C 클래스 카브리올레는 AEB 시스템을 기본으로 탑재되고는 있지만, 측면 충돌 테스트서 10살 어린이 기준 더미 인형의 머리가 차량 지붕의 금속 프레임과 부딪히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전했다. 



기아 신형 모닝(현지명 피칸토)은 최신 하이-스피드 AEB가 적용됐음에도 불구하고, 별 5개를 획득했던 이전 모델보다 낮은 별 4개를 획득했다. 성인 탑승자 보호 영역에서 87%의 우수한 점수를 획득했지만, 어린이 탑승자 보호 영역과 보행자 보호 영역에서는 각각 64%, 54%의 낮은 점수를 받아 별 4개를 획득하게 됐다. 


*실험에 사용된 모델 : 올해 4월부터 생산된 마쯔다 CX-5, 2016년 10월부터 생산된 C200, C300, 올해 6월 이후 생산된 모닝*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