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Motoroid / Official]



마쯔다의 새로운 3열 SUV 'CX-8'의 티저 이미지가 공개됐다. 날카로운 헤드라이트와 매끄럽게 뻗은 실루엣이 그대로 드러나며, 마쯔다의 최신 패밀리룩 디자인이 적용됐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 가지 아이러니한 점은 CX-9와 외형적인 차이를 발견하기 힘들다는 점이다. 치켜 올라간 D 필러 디자인을 제외하면 크게 차이가 없다. 이에 따라 내외관 치수가 두 차량을 구분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인다. 


CX-8 & CX-9 비교 사진


CX-8의 휠베이스는 2,930mm으로 CX-9와 동일하지만, 전장, 전폭, 전고는 CX-9에 비해 모두 짧다. CX-9는 5,075 x 1,969 x 1,747 mm, CX-8은 4,900 x 1,840 x 1,730 mm 이다. 


CX-8은 CX-7과 CX-9 사이에 포지셔닝되며, 엔진은 2.2리터 터보 디젤 엔진이 탑재될 것으로 예상된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Official]


인피니티의 중형 크로스오버 QX70이 내년을 기점으로 단종의 길을 걷게 될 전망이다. 


미국 자동차 전문 매체 오토모티브 뉴스는 인피니티가 2018년부터 QX70이라는 이름의 모델을 더 이상 출시하지 않을 것이라 전했다. 이는 다른 크로스오버 모델에 집중하기 위한 결정으로 판단되며, 인피니티는 QX70의 자리를 매꿀 신모델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완전히 새롭게 변화할 신형 QX50가 QX70의 빈자리를 매꾸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2021~2022년 사이에 닛산 무라노 기반의 크로스 오버가 출시될 예정이다. 


QX70 단종에는 낮은 판매량도 한 몫을 차지한다. 올해 상반기들어 QX70의 판매량이 작년 대비 50.4%나 증가하긴 했지만, 다른 모델에 비하면 여전히 낮은 수치다. QX70의 판매량은 6개월간 고작 4,772대를 기록했고, QX30s는 9,393대, QX50s가 18,279대, QX80s가 9,920대를 기록했다. 



한편, QX70은 2003년 처음 등장했으며, 당시 강력한 V6 엔진과 개성 넘치는 디자인으로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럭셔리카와 요트는 알게 모르게 서로 밀접한 관계에 놓여있다. 자동차 제조사와 요트 제조사가 파트너십을 통해 환상의 테마를 선보이기도 하고, 때론 럭셔리 보트를 보고 영삼을 받아 자동차를 제작하기도 한다. 



이번엔 세계 3대 명차 중 하나로 꼽히는 벤틀리의 차례인가 보다. 벤틀리가 럭셔리 요트에서 영감을 받은 컨티넨탈 GT 컨버터블 갈레네 에디션(Galene Edition)'을 선보였다. 갈레네라는 차명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바다의 신 '네레이스(Nereid)'가 낳은 여신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이에 걸맞게 깨끗한 순백색 청량한 분위기를 풍긴다. 



차량 측면부를 따라 푸른 바다를 연상시키는 시킨 블루(Sequin Blue) 색상의 스프라이트로 포인트를 줬고, 번쩍번쩍 빛나는 21인치 프로펠러 휠로 세련된 디자인을 완성시켰다. 




해당 스페셜 에디션이 요트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됐다는 사실은 실내 인테리어에서 더욱 드러난다. 대시보드 콘솔에 요트 갑판에서 흔히 살펴볼 수 있는 핀스프라이트 월넛 우드트림이 적용됐고, 이는 트렁크에도 적용돼 가치를 더했다. 



해당 스페셜 에디션은 6.0리터 W12 엔진이 아닌, 신형 컨티넨탈에 적용되는 4.0리터 트윈 터보 엔진이 탑재되며, 최고출력 500마력, 최대토크 67.3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특별 제작된 한정판 모델인 만큼 전 세계 단 30대만 생산·판매될 예정이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영국 혈통의 'XJ'는 영국 왕실과 총리의 의전차량으로 사용됐던 재규어의 플래그십 세단이다. 고상한 외모에 긴 차체를 보아, 오너 드리븐보다는 쇼퍼 드리븐을 지향하는 차량처럼 느껴진다. 하지만 플래그십 모델에도 늘 예외는 존재했다. 플래그십 세단은 편안하고 안정감있는 주행성을 가져야한다는 고정관념을 깨버리는 반항아. 재규어의 고성능 세단 'XJR 575'가 바로 그 예다. 



XJR 575는 우아함과 스포티의 경계를 넘나드는 아름다운 괴물이다.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게 되면 역동성이 떨어질 수 있는데, XJR 575는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사실'을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스포티한 범퍼와 20인치 블랙 알로이 휠, 고성능을 강조한 레드 브레이크 캘리퍼, 마지막으로 고성능 버전을 상징하는 재규어의 'R'배지까지 달아주면 모든 준비는 끝난다. 



최고출력 567마력, 최대토크 71.43kg.m의 성능을 발휘하는 5.0리터 V8 슈퍼차저 엔진은 재규어의 사냥 본능을 제대로 보여주기에 부족함이 없다. 제로백(0→100km/h)은 불과 4.2초, 최고 속도는 무려 300km/h에 달한다. 1.875kg라는 무게를 거스르는 듯한 파워풀한 성능을 가졌고, 잘생긴 얼굴, 늘씬한 몸매까지 갖췄으니 그야말로 완벽하다. 



재규어의 품격은 실내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다이아몬드 퀄팅 처리된 시트로 고급스러운 느낌을 최대한 살렸고, 'XJR 575' 자수를 새겨넣었다. 실내 중앙에는 10인치 크기의 터치 디스플레이가 위치하며, 4G-Wi-Fi 기능, 차선 이탈 방지 기능, 긴급 제동 시스템, 사각 지대 경고 기능 등의 편의 및 안전 기능이 대거 탑재됐다. 



일반적인 모델은 아닌 만큼, 외장 컬러 선택에 있어 조금은 한정적이다. 벨로시티 블루(Velocity Blue)와 사틴 코리스 그레이(Satin Corris Gray) 두 가지 색상 중 한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 재규어 XJR 575 디테일컷 >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Official]

영국의 코-업 자동차 보험사(Co-op Insurance)가 선정한 '가장 안전한 중고차 TOP 5' 리스트가 공개됐다. 


1위는 스코다의 경차 시티고가 차지했고, 폭스바겐 업!, 세아트 미, 토요타 야리스, 기아 리오가 그 뒤를 이었다. TOP 5에 이름을 올린 자동차들은 모두 유로 NCAP 테스트서 최고점인 별 다섯개를 획득했고, Co2 배출량이 120g/km 이하, 중고차 시장에서 £5,000(한화 약 7백만 원)이하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KIA RIO


점수를 평가한 영국 자동차기술연구소(Thatcham Research)의 연구 책임자 매튜 애버리는 부모가 자녀에게 처음 중고차를 사줄 때의 조언으로 '가장 저렴한 차를 사지말라'고 당부했고, '유로 NCAP 테스트에서 별 다섯개를 획득하고 ESC 및 AEB가 장착된 차량이 좋다'고 조언했다. 또한 긴급제동 시스템(AEB)과 전자 제어 주행 안정 장치(ESC)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며, "해당 기능들은 젊은 운전자들이 흔히 저지르는 사고를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고 말했다. 


코-업 자동차 보험사의 연구 분석 결과도 공개됐다. 젊은 운전자의 약 31%만이 차량 안전성을 고려하며, 75%는 ESC 및 AEB 등 필수 안전장치에 대해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운전자가 뽑은 '차량 구입 시 주요 고려사항'으로는 차량 가격이 75%로 가장 많이 차지했고, 보험 비용이 63%, 유지비용이 43%를 차지했다. 이어 차량 연식이 39%, 차량 색상 39%, 차량 안전도 31%, 브랜드 24%, 차량 실내 인테리어 24%, 친환경 자동차 여부 12%, 부품 수급이 유리한지에 대한 여부가 11%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젊은 운전자들의 경우, 안전보다는 역시 경제적인 측면을 더 중요시 여긴다는 사실이 증명됐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ETC]



토요타의 주력 중형 세단 캠리에 이어, 혼다의 베스트셀링카인 어코드까지 풀체인지를 거쳐 돌아왔다. 과감하게 젊어진 스타일과 기본에 충실했던 성능마저 더욱 보강해 돌아온 두 차량에 대한 차기 고객들의 기대가 크다. 국산 대표 중형 세단 소나타도 지난 3월 풀체인지급 변화를 통해 자존심 회복에 나섰다. 세계 중형 패밀리 세단을 주도하고 있는 캠리와 어코드, 그리고 국산 중형 세단의 교과서 소나타. 그들의 삼파전이 시작 전부터 매우 뜨겁다. 



「 Exterior Measurements


캠리, 어코드, 쏘나타의 외관 치수를 측정했다. 휠베이스는 거의 일치하고, 전장은 어코드와 캠리가 소나타보다 약간 길다. 반면 전고와 전폭은 소나타가 더 길다. 



「 Interior Measurements


세 차량의 실내 치수 정보다. 헤드룸과 레그룸 모두 전반적으로 소나타가 가장 넓고, 트렁크 공간은 어코드가 가장 여유롭다. 



「 Base Engine Measurements & Optional Engine Measurements

엔진 형식은 모두 I4, 최대 출력과 최대토크는 캠리, 어코드, 소나타 순으로 높다. (기본 모델 기준)

상위 트림끼리 비교할 경우, 마력에서 큰 격차가 벌어진다. 토요타 캠리의 상위 모델은 다른 모델과 달리 3.5리터 V6 엔진이 탑재되며, 301마력의 성능을 발휘한다. 



「 Design


혼다 신형 어코드

토요타 신형 캠리 

현대 소나타 뉴라이즈


각 브랜드를 대표하는 간판 차종들인 만큼, 각기 다른 매력을 갖췄다. 세 차종은 '파격적인 디자인 변화'가 일어나 연령층을 크게 낮췄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소나타 뉴라이즈는 현대의 최신 패밀리룩인 헥사고날 그릴이 적용됐고, 신형 어코드에는 혼다의 새로운 디자인 기조 '익사이팅 H'가 적용돼 넓은 크롬 그릴로 꾸며졌다. 신형 캠리는 두 가지 얼굴을 구성해 선택폭을 넓혔다. 


현대 소나타 인테리어 사진 

혼다 어코드 인테리어 사진 

토요타 캠리 인테리어 사진 


실내 인테리어도 세 모델 모두 중형 세단답게 중후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모습이다. 그 중에서도 신형 캠리의 인테리어는 특히 예술적이다. 



토요타 캠리와 어코드는 예로부터 높은 품질과 내구성으로 명성이 자자했다. 혼다 어코드는 미국 컨슈머리포트에서 실시한 차량 데이터 분석에서 '20만 마일(약 32만 km)를 달리고도 거뜬한 자동차 1위'를 차지했고, 캠리는 미국 시장조사업체 JD파워가 실시한 2017 내구성 조사에서 중형차 부문 2위를 차지했다. 그만큼 두 차량은 중형 세단 시장에서 영향력이 큰 베스트셀링카이고 좋은 이미지를 이어왔다. 새롭게 바뀐 두 차량이 국내 출시되면, 국내 중형 세단 시장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Vedio]



30살 된 포르쉐의 노장 '포르쉐 944 터보'와 겨우 1살 된 마칸 GTS. '포르쉐 클럽 오브 아메리카'가 이들의 경주를 영상에 담았다. 과연 누가 우위를 점하게 될까?



당시 포르쉐 944 터보는 924와 928 사이를 매우는 모델로 출시됐다. 디자인은 924의 디자인을 이어받아 클래시컬한 느낌이 강하지만, 안전성이나 전자제어 등을 중시하는 현대적 차로 변해가는 과도기의 특성이 그대로 반영되기도 했다. 


사실 두 모델이 진지하게 레이싱을 펼치게 된다면, 결과는 뻔히 정해져 있다. 현행 마칸 GTS가 출력이 훨씬 높고, 가속성능도 더 좋다. 마칸 GTS는 V6 트윈 터보 엔진이 탑재되어 360마력의 힘을 발휘하고 제로백(0→100km/h)은 5.2초, 최고속도는 256km/h다. 반면 포르쉐 944터보는 직렬 4기통 엔진이 탑재돼 217마력을 발휘, 제로백은 6초, 최고속도는 247km/h다. 하지만 포르쉐 944터보가 갖는 장점도 있다. 마칸 GTS의 무게는 2톤에 육박하지만, 포르쉐 944터보는 1.4톤으로 더 가볍다. 




마칸 GTS의 랩타임은 1:21.93, 포르쉐 944터보는 1:31.20을 기록했다. 예상대로 포르쉐 마칸 GTS가 더 우세하긴 했지만, 포르쉐 944터보는 30년이라는 세월이 무색할 정도로 여전히 뛰어났다. 어쩌면 포르쉐의 과거 기술력이 바탕이 되었기 때문에 지금의 포르쉐가 존재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영상을 보고 난 뒤 느낀 소감 한 마디. '포르쉐는 언제나 명차였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