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올 연말부터 새로운 전기차를 잇따라 선보일 BMW가 국내 애프터세일즈(AS) 서비스망 구축에 나섰다. 

본격적인 전기차 시대를 맞아 고객에게 최상의 전기화 모델 소유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구체적으로 전기화 모델에 특화된 정비 인프라를 확충하고 고전압 배터리와 CFRP 차체를 다룰 수 있는 전문 인력 양성, 전기화 모델 소유 고객을 위한 전용 편의 서비스 마련 등 인프라, 인력, 고객 서비스 측면에서 차별화된 가치를 선사하겠다는 것이다.

먼저 마일드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그리고 순수전기 모델까지 모든 전기화 모델을 정비할 수 있도록 서비스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지난 2014년 혁신적 순수전기 모델 BMW i3를 국내에 출시한 이래 전기화 모델 관련 인프라를 꾸준히 확장해 온 결과, 이미 72곳의 모든 BMW 코리아 공식 서비스센터와 패스트레인에서는 전기화 모델의 차량 점검, 일반 수리 및 소모품 교환 등이 문제없이 가능하다.

여기에 올해까지 고전압 배터리 및 관련 시스템을 정비할 수 있는 서비스센터 수를 34개로 확대하고 CFRP 차체를 포함해 BMW 전기화 모델의 모든 부분을 점검 및 수리할 수 있는 서비스센터도 7개로 늘리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또 서비스 품질을 극대화하기 위해 각 서비스센터에 전기화 모델 전용 워크베이도 대거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BMW의 5세대 eDrive 기술이 적용된 iX와 i4의 국내 출시 일정에 맞춰 최신 전기화 드라이브 트레인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 및 정비할 수 있는 최신 전용 장비들을 올해 안에 보급하고 전기차 맞춤식 견인을 위한 전문 인력 및 별도 시스템도 마련 중이다.

또 BMW 부품물류센터에는 전기차 부품 전용구역을 확보해 최소 1천대 분량의 배터리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는 물류 환경을 구축할 예정이다.

전기화 모델 전문 정비 인력 양성에도 집중 투자한다. 특히 전기차의 경우 고전압 시스템을 다뤄야 하는 만큼 숙련된 수리와 테크니션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고도의 훈련을 BMW 트레이닝 아카데미를 통하여 제공하고 있다.

관련해 BMW그룹 코리아는 체계화된 전문 인력 인증 제도와 전기차 스페셜리스트를 보유 중이다. 사고 수리, 배터리 수리, 활선작업 등 고전압 차량의 모든 작업을 진행 및 지휘할 수 있는 고전압 전문가를 비롯해 고전압 시스템 정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고전압 테크니션, 탄소섬유 차체를 수리할 수 있는 카본바디 수리 테크니션 전문 인력까지 전기차 모델의 특성에 맞게 세분화된 업계 최고의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 고전압 배터리 수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세분화된 인증 자격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분야별 전기차 수리 레벨을 단계화하고 인증시험을 통과한 숙련된 전문가만 현장에 투입하는 특화된 AS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BMW 그룹 코리아는 앞으로 체계적인 교육 및 인증 제도를 통해 전기차 전문 테크니션을 전체 서비스 인력의 20%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BMW 전기화 모델 고객을 위해 특화된 편의 서비스도 다양하게 선보인다. 주행 중 배터리 잔량 부족 상황을 지원하는 긴급 배터리 충전 서비스 뿐 아니라 BMW 차징 스테이션 확대와 함께 전국 서비스센터에 출고 차량의 전기차 무료 충전 서비스 등도 제공할 계획이다.

BMW 그룹 코리아는 올 연말에 준중형급 전기SUV iX3와 차세대 전기차인 iX를 선보인 후 내년 2월 i4의 판매를 개시할 예정이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구글의 검색 데이터 분석 결과, 휘발유 부족이 심각했던 지난 24일 영국에서 전기차 검색율이 1,600%나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의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와 코로나19 영향으로 유류 운송 기사가 부족해지면서 발생한 영국의 주유대란으로 휘발유 재고가 바닥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BBC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지난 24일 이후 영국의 5,500곳에 달하는 개인 소유 주유소 중 3분의 2곳의 휘발유가 고갈됐다.

또 영국 전역에 1,200개의 주유소를 보유하고 있는 석유 기업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도 전체 지점 중 3분의 1에서 휘발유가 동이나 일부 주유소를 잠정 폐쇄했다.

영국의 주유대란이 쉽게 진정되지 않자 엔진차 대신 전기차의 관심도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영국 중고차 정보 웹사이트인 ‘Carguide.co.uk’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에 대한 온라인 검색이 하루 평균 16배까지 치솟았다.

영국의 전기차 등록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지난 8월에만 7,388대의 전기차가 등록됐다. 업계는 9월에는 전기차 등록이 이보다 2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자동차업체들은 엔진차 대신 전기차 판매 확대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한편 영국도로운송협회에 따르면 현재 영국은 10만명의 트럭운전자 부족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올 연말 국내 출범을 앞둔 볼보의 전기차 전용 브랜드 폴스타(Polestar)가 볼보코리아의 공식 딜러를 활용해 국내 전기차 시장 공략에 나선다.

한국 진출을 위한 준비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폴스타는 지난 3월 국내 법인인 '폴스타오토모티브코리아'를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논현동에 사무실을 마련했다.


여기에 볼보코리아 출신의 함종성 대표를 선임하고 세일즈, 마케팅, AS 등 조직 구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폴스타코리아는 경쟁업체인 테슬라코리아처럼 별도의 판매딜러 없이 온라인으로만 차량을 판매할 예정이다. 다만 직접 전시장과 AS센터를 운영하는 테슬라와 달리 볼보차코리아의 공식딜러를 활용해 전시장과 AS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폴스타는 볼보자동차코리아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며, 볼보자동차가 일부 폴스타 차량의 서비스, 관리 및 브랜드 구축 단계 지원을 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폴스타코리아는 서울 용산구 한남동과 경기도 하남시에 있는 스타필드 하남에 오프라인 전시장을 마련하기로 하고 현재 관련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 전시장들은 제품 설명과 시승센터, 출고센터 기능을 담당한다.

또 볼보코리아의 공식딜러인 H모터스가 운영할 한남 전시장이 올 연말에 가장 먼저 오픈한 뒤 코오롱오토모티브가 운영할 스타필드 하남 전시장이 순차적으로 문을 열 예정이다.

볼보차코리아의 부산지역 딜러인 아이언모터스도 폴스타 전시장을 마련할 예정이나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폴스타 차량의 AS는 볼보자동차코리아의 AS네트워크를 활용할 예정이다. 이는 이미 구축해놓은 국내 AS망을 활용해 판매 초기에 나올 AS 관련 불만을 해소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폴스타코리아가 첫 번째로 출시할 모델은 전기 세단인 폴스타2다. 폴스타2는 볼보차그룹의 컴팩트 모듈형 플랫폼(CMA)을 기반으로 개발됐으며 크기는 테슬라 모델3와 비슷하다.

차내 탑재되는 배터리는 78kWh 용량의 리튬이온배터리와 64kWh 용량의 리튬이온배터리로 나눠지며 공급은 LG에너지솔루션과 CATL이 맡고 있다. 78kWh 배터리가 탑재된 롱레인지 모델은 1회 완충 시 최대 480km(WLTP 기준)까지, 64kWh 배터리가 탑재된 스탠다드 레인지 모델은 440km까지 주행할 수 있다.

또 안드로이드로 구동되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적용돼 구글 어시스턴트, 전기차 지원 구글지도, 구글 플레이 스토어5가 포함된 내장형 구글 서비스를 11인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폴스타는 지난해 3월 말 중국 동부 저장성에 있는 지리자동차 루차오 공장에서 폴스타2 양산을 개시했으며 현재 유럽과 중국에서 판매하고 있다.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뛰어난 상품성을 입증한 폴스타가 국내 전기차 시장서도 큰 인기를 끌지 귀추가 주목된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이 지속됨에 따라 세계 자동차 잠정 생산손실이 지난주 1천만대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최근 자동차업계 정보제공업체인 오토포어캐스트 솔루션스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 여파로 인해 지난주 세계 자동차 생산손실이 57만6,500대로 집계됨에 따라 세계 자동차 잠정 생산손실이 1천만대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전체 57만6,500대 중 아시아태평양지역이 30만6천대, 북미지역이 21만4천대, 기타지역이 5만6,500대로 집계됐다.

아시아태평양지역 중에서는 중국이 19만4천대로 집계, 한국, 일본, 인도 등 나머지 아시아 지역에서는 11만2천대의 생산손실이 발생했다.

또한 북미지역의 경우 혼다자동차의 생산손실이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혼다는 미국에서 11만5천대, 캐나다에서 5만7천대, 멕시코에서 1만9천대의 생산손실을 봤으며, 스텔란티스는 북미에서 1만9,500대, 포드는 2개의 캐나다 공장에서 3,300대의 생산손실을 냈다.

이를 포함해 지금까지 집계된 세계 자동차 생산손실은 890만대이며 북미가 290만9천대, 유럽이 233만5천대, 중국이 181만4천대,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지역이 152만6천대, 남미가 30만2천대, 중동·아프리카가 4만8천대로 집계됐다.

이로 인해 세계 자동차 잠정 생산손실은 1,015만대로 추산되고 있으며, 북미가 320만8천대, 유럽이 279만5천대, 중국이 198만대로 순이었다.

관련해 글로벌 컨설팅업체 알릭스 파트너스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으로 자동차 업계가 올해 2,100억달러(247조 원)의 매출 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 5월에 예상했던 1,100억 달러(129조원)보다 약 2배 늘어난 수치다.

또 알릭스 파트너스는 매출 손실과 더불어 전 세계 자동차 생산량 감소도 770만 대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말레이시아 지역의 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 등의 여파로 올해 연말까지는 공급 부족사태가 해소되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또 영국 연구기관인 IHS Markit은 최근 올해 글로벌 자동차생산량 추정치를 이전보다 500만대 낮춘 7,850만대로 수정했다. 또 내년도 추정치를 이전보다 9% 낮춘 8,260만대로 전망했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렉서스가 브랜드 첫 전기차인 UX 300e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인 NX PHEV를 내년 국내 선보인다.

27일 렉서스코리아의 이병진 상무는 뉴 ES 출시 온라인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내년에는 UX BEV, NX PHEV를 포함해 다양한 전동화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라며 "이를 통해 고객들의 라이프스타일, 고객의 니즈에 맞는 다양한 전동화 모델을 지속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렉서스코리아는 지난 7월 전기차 'UX300e'의 환경부 인증을 마치고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지난 2019년 12월 중국서 처음 공개된 UX300e는 토요타의 전기차 전용 통합 플랫폼 e-TNGA를 기반으로 하며 많은 부분에서 렉서스 UX 모델과 공유한다.

외장 디자인은 렉서스 브랜드의 상징인 스핀들 그릴에 보는 각도에 따라 입체적으로 보이는 패턴이 적용돼 역동적인 분위기다. 또 날렵하고 슬림한 LED 헤드램프 상단의 화살촉 형태의 주간주행등은 더욱 공격적인 스타일로 디자인됐다.

또 안정적이면서 역동적인 차체 비율과 후면부의 커넥티트 테일램프가 미레지향적인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이밖에 후면에는 ‘ELECTRIC' 레터링이 적용된다.

실내는 12.3인치 디지털 클러스터와 7인치 디스플레이, 가죽 스티어링 휠, 원격 터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전자식 변속기(shift-by-wire system)가 적용됐다.

탑재되는 배터리는 토요타와 파나소닉이 지난해 합작으로 만든 배터리 업체에서 생산하는 54.4kWh 용량의 리튬이온배터리가 탑재,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는 WLTP 기준으로 367km이다. 그러나 한국과 유럽의 인증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국내 주행거리는 이보다 짧을 것으로 보인다. 또 전륜에 전기모터가 탑재돼 최고출력 150kW(203마력), 최대토크 300Nm(30.5Kg.fm)을 발휘한다.

렉서스코리아는 UX 300e를 내년 상반기에 출시할 예정이다.

또 지난 6월에 공개된 NX PHEV는 이번에 부분변경을 거친 중형SUV 신형 NX를 기반으로 한다.

외관은 주간주행등이 헤드램프 일체형으로 변경됐으며 렉서스의 시그니쳐인 스핀들 그릴이 한층 커졌다. 또 가로로 길게 뻗은 테일램프가 제동등과 조화를 이루며 직선을 강조한 캐릭터라인 추가로 볼드한 이미지를 강조한다.

특히 휠베이스가 기존 모델보다 30mm 늘어나 실내공간이 확대됐으며 여기에 시트 포지션 조정을 통해 레그룸과 헤드룸 공간을 개선했다.

인테리어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디지털 클러스터, 전자식 변속기 등을 도입해 편의성이 높아졌으며 송풍구와 버튼의 위치와 모양, 센터터널 디자인을 변경해 공간활용성도 높였다.

2.5리터 4기통 가솔린 엔진과 전기모터, 18.1kWh 리튬이온배터리가 탑재돼 순수 전기모드만으로 약 57km를 주행할 수 있다. 6.6kW급 온보드 충전기를 이용하면 2시간 30분만에 완충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과 결합해 주행 도로를 미리 예측해 배터리 충전을 최적화하고 효율을 높여주는 기술이 반영됐다.

렉서스코리아 측은 "NX PHEV 출시 시점은 아직 미정이나 내년 상반기 중 출시를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토요타는 지난 3월 전기차 충전기 전문업체인 대영채비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양 사는 전국 렉서스 공식 딜러 전시장과 서비스 센터에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할 예정이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렉서스가 인기 하이브리드 세단 '신형 ES'의 온라인 출시 행사를 갖고 본격 판매에 돌입했다.

국내 시장에 새롭게 투입되는 신형 ES는 편안한 승차감, 뛰어난 정숙성, 넓은 실내 공간 등으로 많은 사랑을 받아온 7세대 ES의 부분변경 모델이다.

특히 일부 외관 디자인 변화와 더불어, 진화된 예방 안전 기술, 강화된 편의 사양, 블랙박스·하이패스 기본 장착 등으로 상품성이 한층 강화된 것이 특징이다.

먼저 외관은 ES만의 우아함을 더욱 강조하고 모던함을 더했다. 신형 ES 300h의 외관은 L-Shape 유닛의 프론트 그릴로 와이드한 이미지를 강조했고, 헤드램프는 직사각형 LED 렌즈로 변화를 줬다. 또 주간 주행등과 프론트 방향지시등은 보다 입체적으로 다듬어져 세련되고 우아한 이미지를 표현했다.

인테리어는 렉서스 장인의 손을 거친 꼼꼼한 마감과 프리미엄 소재가 특징이다. 뛰어난 착좌감의 상하 2분할 시트와 여유로운 2열 공간은 렉서스만의 안락함을 선사하며 새롭게 터치 스크린 기능이 적용된 12.3인치의 대형 고해상도 모니터는 이전에 비해 112mm 앞으로 배치해 운전자의 조작 편리성이 크게 향상됐다.

신형 ES는 저중심 차체 설계와 최적의 중량 배분을 구현한 ES의 렉서스 GA-K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되며, 주행 상황에 따라 감속, 조향, 가속 등 직관적인 조작성과 즉각적인 반응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특히 ES의 스트롱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2.5ℓ D-4S 가솔린 엔진에 대용량 배터리와 강력한 2개의 모터가 장착돼 충전 상태에 따라 저속에서 모터만으로도 주행할 수 있으며, 주행과 동시에 충전이 가능하다.

또 저속부터 고속영역에 이르기까지 모터가 적극 개입하여 강력한 파워와 함께 17.2km/ℓ(ES 300h), 16.8 km/ℓ( ES 300h F SPORT)의 뛰어난 연비(복합 연비 기준)를 발휘한다.

이 외 리어 서스펜션 멤버 브레이스 설계 변경과 차체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퍼포먼스 댐퍼(이그제큐티브, F SPORT 모델 사양)를 통해 신형 ES 특유의 편안하고 안정적인 드라이빙을 제공한다.

안전한 주행을 돕는 렉서스 세이프티 시스템 플러스(LSS+)도 한층 강화됐다. 감지 범위가 확대된 긴급 제동 보조 시스템(PCS; 교차로 긴급 제동 보조(ITA) 기능 추가), 커브 감속 기능이 추가된 다이내믹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DRCC), 그리고 긴급 조향 어시스트(ESA) 지원 기능도 새롭게 적용됐다. 

또 주차 보조 브레이크(PKSB)는 전·후방의 사물 감지에 더해 보행자까지 감지 범위가 확대됐으며, 차량 주변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파노라믹 뷰 모니터가 추가되어 안전 및 편의성을 도모했다. (이그제큐티브, F SPORT 모델 사양)

이 밖에도 새로운 익스테리어 컬러로 소닉 크롬과 소닉 이리듐이, 인테리어 컬러에는 모브와 헤이즐이 추가돼 고급감과 세련미를 더했다.

렉서스는 이번에 새롭게 신형 ES 300h F SPORT 모델을 출시, 다이내믹한 주행과 개성을 추구하는 고객을 위해 선택의 폭을 넓혔다. 스포츠 패키지를 의미하는 F SPORT 모델은 렉서스의 스포츠 DNA를 담아낸 것이 특징으로 차별화된 외관 디자인과 주행성능을 자랑한다.

F SPORT 전용 메쉬 패턴 그릴, F SPORT 엠블럼, 스포츠 시트, 19인치 휠 등 F SPORT만의 차별화된 디자인을 연출했고 주행 조건에 따라 정교하게 감쇠력을 제어하는 전자제어 가변 서스펜션(AVS), 스포츠 주행을 지원하는 드라이브 모드 셀렉터 등의 적용으로 보다 다이내믹한 주행을 선사한다.

신형 ES 300h의 국내 판매 가격은 럭셔리 6,190만원, 럭셔리 플러스 6,400만원, 이그제큐티브 6,860만원이며, 11월부터 판매되는 신형 ES 300h F SPORT는 7,110만원(부가세 포함, 개별소비세 3.5% 기준)이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현대차의 엔트리급 경형 SUV 캐스퍼의 사전예약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까지 이뤄진 계약 중 70%가 PC가 아닌 모바일을 통해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현대차에 따르면 사전예약이 시작된 지난 14일부터 현재까지 집계된 캐스퍼의 사전 예약 대수는 2만6천여대에 달하며, 이 중 70%가 모바일, 30%가 PC를 통해 이뤄졌다.

캐스퍼는 현대차 최초로 기존의 영업망이 아닌 온라인 판매방식이 적용된 차종이다. 고객이 캐스퍼 전용 사이트를 통해 고객정보와 원하는 차량 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구매가 이뤄지며, 모바일 또는 PC로 계약하는 것이 어려우면 고객센터 전화를 통해서도 계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말 계약대수가 평일 계약대수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에 따르면 하루 평균 계약대수는 500-600대다.

또 계약자 중 약45%가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대차 전 차종의 여성 고객 비율인 28%보다 2배 가량 많은 것이다. 또 세대별로는 2030이 45%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현대차는 오는 29일 캐스퍼를 공식 출시할 예정이며, 출고는 내달 6일부터 진행된다. 월 생산계획이 4천대인 것을 감안하면 순서에 따라 차량을 받기까지 최대 6개월가량 기다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 

캐스퍼의 생산은 현대차가 광주광역시와 광주형 일자리 일환으로 합작 설립한 완성차 생산법인 광주글로벌모터스가 위탁생산하며 판매, 마케팅, 홍보, 광고, AS는 현대차가 맡는다. 이는 기아가 경차 모닝의 생산을 동희오토에 위탁하고 판매, 마케팅, 홍보, 광고, AS를 맡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캐스퍼는 현대차가 처음으로 선보이는 새로운 차급 엔트리 SUV로, 개성을 한껏 살린 내·외장 디자인과 컬러, 용도에 따라 실내 공간 조절이 가능한 시트,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과 앞좌석 센터 사이드 에어백 기본 적용으로 안전성 확보, 운전자 중심의 편의 사양이 탑재된 것이 특징이다.

엔진 라인업은 최고출력 100마력을 발휘하는 1.0 가솔린 터보 엔진과 최고출력 76마력을 발휘하는 1.0 가솔린 엔진으로 구성되며 변속기는 4단 자동변속기가 결합된다.

캐스퍼의 공인 연비는 1.0 가솔린 터보 모델이 12.8km/L, 1.0 가솔린 모델은 14.3km/L로15.7km/L인 기아의 모닝보다 낮다.

캐스퍼의 제원과 탑재된 파워트레인이 모닝과 비슷하나 캐스퍼가 SUV 형태로 제작되면서 모닝보다 더 무겁기 때문이다. 모닝의 공차중량은 910kg인 반면 캐스퍼 1.0 가솔린 모델은 985kg, 1.0 가솔린 터보 모델은 1,030kg이다.

판매가격은 기본 모델 스마트 1,385만원, 모던 1,590만원, 인스퍼레이션 1,870만원이다. 여기에 1.0 터보 엔진과 전용 외장 디자인으로 구성한 선택 사양인 캐스퍼 액티브를 선택하면 스마트와 모던은 95만원, 인스퍼레이션 90만원이 추가된다.

현대차는 올해 캐스퍼를 1만2천대 판매할 예정이며 내년부터는 5만대에서 7만대 가량 판매한다는 목표를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GGM의 캐스퍼 연간 생산량은 10만대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