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바야흐로 전기차 시대다.


불과 수년 전만 해도 먼 미래로 여겨졌던 전기차 시대가 개막했다. 주요 완성차 제조사들은 모두 전기차 개발·생산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전세계 전기차 보급대수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과거 화석연료 시장에서 전기로의 에너지 변화는 자동차 시장뿐만 아니라 원자재 시장까지 판도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전기차 보급 확대와 수요 증가에 따라 전기차에 주로 쓰이는 코발트, 리튬, 구리, 니켈 등의 수요가 함께 급증하게 된 것이다. 


구리는 전기차의 필수적인 주요 원자재로 꼽힌다.


특히 구리는 전도율과 연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 전기차에 필수적인 원자재로 꼽힌다. 구리는 금·은만큼이나 뛰어난 전기전도성을 갖지만 가격은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하다. 지난해 11월 기준 금값이 온스당 1200달러, 구리가 온스당 0.2달러 정도라고 치면 가격차는 무려 6000배에 이른다. 




이에 전기차 시장 규모 확대에 발맞춰 구리 소비량도 함께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전기차에 탑재되는 대다수 부품에 구리가 쓰이기 때문이다. 전기차의 심장 역할을 맡고 있는 전기차 모터 생산에도 구리가 필수적이며, 기타 전자제품, 배선, 배터리 등 수많은 부품에 구리가 사용된다. 



세계 최대 광산업체 글렌코어에 따르면 내연기관차보다 전기차 제조에 들어가는 구리 함유량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코퍼닷컴에 따르면 내연기관 자동차의 구리 함유량은 8~23kg 정도지만, 전기차에는 80kg 이상의 구리가 사용, 순수 전기버스 제작에는 무려 370kg의 구리가 필요하다. 




구리가 전기차 생산의 필수적인 핵심 원자재로 떠오른 만큼, 오는 2027년 전기차의 구리 수요는 170만 톤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17년 중국의 연간 구리 생산량과 맞먹는 수치다. 


한편, 내연기관차의 수요 감소에 따라 내연기관차 시동 배터리에 사용되던 납의 수요는 점차 줄어들 것으로 보이며,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사용되던 백금 역시 그 수요가 절반가량으로 감소하게 될 전망이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올해 여러 악재로 주춤했던 외제승용차 판매가 다시 호황기로 진입했다. 


관세청과 한국수입차협회에 따르면 올 1~11월 수입차 등록대수는 24만 255대로 기대했던 '25만 대 돌파'를 앞두고 있으며, 외제승용차 수입액은 사상 처음으로 1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 기간 신차와 중고차를 합산한 외산 승용차 수입 대수는 29만 2,000여 대를 기록, 전년 동기 대비 약 14% 증가했다. 참고로 지난해 연간 외산 승용차 수입 대수는 28만 7천 대였으며, 금액상 96억으로 100억 달러에 미치지 못했다. 



전체 수입차의 70%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독일 등 유럽산 자동차는 20.9% 증가한 71억 9,400만 달러(17만 7,406대), 판매 비중이 16%인 미국산(5만 1,241대)은 12.5% 증가한 16억 4,200만 달러, 일본산 자동차(5만 2,592대)는 2.6% 증가한 10억 4,900만 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상용차를 포함한 전체 자동차 수입액은 108억 6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13.7%가 증가한 수치이며, 수입 대수도 10.7% 증가한 29만 6340대를 기록했다. 



한국 수입차협회에 따르면 올해 11월 누계 기준 등록대수는 24만 255대로 전년 동기 대비 13.0%가 증가했다. 24개 공식 수입 브랜드로 구성된 올해 수입차 시장 규모는 25만 대 규모를 상회할 전망이다. 



BMW 화재 등의 여러 악재에도 불구, 수입차 판매가 증가한 요인으로는 지난해까지 판매가 중단됐던 아우디, 폭스바겐이 올해부터 본격 판매를 재개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풀이된다. 이 기간 아우디는 전년 동기 대비 1149% 증가한 1만 1893대, 폭스바겐은 1만 4282대를 각각 기록했다. 




또 개별소비세 인하와 신차효과로 판매 성장을 보인 다수 브랜드들의 고른 약진도 한몫을 차지했다.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인 주요 브랜드로는 포르쉐(66%), 롤스로이스(36.7%), 일본 토요타(42.6%), 볼보(23.5%)가 있다. 이외에도 XC 라인업을 내세운 볼보가 23.5%, 2008 SUV 등의 인기에 힘입은 푸조가 27.1%의 오름세를 보이며 눈에 띄는 성장폭을 보였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中 패러데이퓨처가 심각한 경영 위기를 겪고 있다.


'중국의 테슬라'를 꿈꾸던 전기차 업체 패러데이퓨처(FF)가 심각한 경영 위기에 놓였다. 


지난 6월, 패러데이퓨처는 중국 헝다그룹으로부터 8억 6천만 달러(한화 약 9770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투자금을 지원받았다. 이후 수 년에 걸쳐 12억 달러를 투자받는 조건으로 지분 45%를 넘겼지만, 헝다그룹의 투자가 무산되면서 재정난과 심각한 노사갈등에 빠졌다. 




자금줄이 끊긴 패러데이는 해결방안으로 임금 삭감과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다. 일부 직원의 해고와 남은 직원들의 임금을 20% 삭감, 새로운 자금을 조잘하기 전까지 두 달간의 무급휴가를 요구하기에 이르렀고, 과거 중국 직원들의 임금 미지급 폭로까지 이어지며 노사갈등이 격화되는 양산까지 보이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공동창업자 '닉 샘슨(Nick Sampson)'과 글로벌 제품 및 기술 부총괄 '피터 새버지언(Peter Savagian)'의 사임 소식이 전해졌다. 두 사람 모두 회사를 이끌던 핵심 인력이며, 닉샘슨은 전 테슬라 임원 출신으로 2012년부터 패러데이퓨처의 제품 개발 담당을 맡아온 인물이다. 니갬슨은 사임서에 '패러데이퓨처는 사실상 파산 상태이며, 더 이상 내 길이 아니라고 판단, 회사를 떠난다"라는 뜻을 전했다. 




패러데이퓨처측은 추가 투자자금 확보 시 운영을 재개할 예정이지만, 중국 전문가들은 재정난뿐만 아니라 심각한 노사갈등을 함께 겪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파산 위기라고 내다봤다. 


FF91


패러데이퓨처는 지난 2014년 설립된 중국 전기차 업체로, 오는 2019년 첫 번째 양산차가 될 'FF91 크로스오버' 출시를 목표로 삼았다. 헝다그룹이 거액을 투자함에 따라 테슬라에 견제할 대항마로 떠오르기도 했지만 무리한 사업 확장과 노사갈등으로 미래가 불투명한 실정이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최신 차량에 첨단 기능이 대거 탑재됨에 따라 수리비도 대폭 증가하고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자동차 협회(AAA)가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동 긴급제동장치, 차선 유지 보조 기능 등 다양한 반자율 주행 기능의 도입으로 안전도는 크게 향상됐지만 작은 충격에도 첨단 부품이 손상될 수 있어 높은 수리비로 이어질 수 있다. 





AAA는 북미서 인기를 끌고 있는 세 가지 주요 인기 차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반자율 기능을 위한 센서 및 카메라가 차량 곳곳에 부착됨에 따라 사이드미러, 윈드 스크린의 손상만으로도 최대 3000달러(한화 342만 원)의 수리비가 청구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동 긴급제동 및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기능의 수리 비용은 대략 900~1300달러(한화 100만 원~150만 원), 후방 레이더 2050달러(한화 235만 원), 안전 보조 장치가 부착된 사이드 미러 1100달러(한화 약 125만 원), 주차 센서는 1300달러(한화 150만 원)의 수리비가 청구될 수 있다. 






AAA 전문 이사 존 닐슨(John Neilsen)은 "오늘날 첨단 안전 기능은 크게 보편화되고 있다"라며, "운전자가 자신의 차량에 탑재된 기능과 작동법, 사고나 고장 발생 시 수리 비용은 얼마나 드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Auto Inside]



영국 자동차 전문매체 왓 카(What Car?)가 실시한 자동차 신뢰도 조사(Reliability Survey)서 5개 일본 브랜드가 'Top 10'에 이름을 올렸다. 


이번 조사는 영국 전역의 차량 소유자 중 신차 구입 후 4년이 경과하지 않은 1만 8248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31개 브랜드에 걸친 159개 모델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가 진행됐다. 설문 응답자는 배터리와 차체, 브레이크, 엔진, 전기, 배기, 조명, 기어박스, 클러치 등 차량 전반의 결함 발생 여부에 대해 답했다. 




스즈키는 97.7%로 지난해 1위였던 렉서스를 꺾고 1위를 차지했고, 렉서스가 97.5%로 그 뒤를 이었다. 이어 토요타가 96.8%로 3위, 기아, 스바루, 미쓰비시가 95.8로 공동 4위를 차지했다. 스코다는 7위(95.6%), 알파로메오가 8위(95.4%), 현대가 9위(95.4%), 세아트가 마지막 10위(95.2%)에 이름을 올렸다. 

1위~31위 브랜드


지난해 최하위를 기록했던 지프는 29위(82.7%)로 아슬아슬하게 최하위를 면했고, 재규어(84.9%)와 랜드로버(76.5%)는 각각 28위, 30위로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렀다. 전기차 브랜드인 테슬라는 전체 31개 브랜드 중 57.3%라는 낮은 수치를 기록하며 새로운 꼴찌에 이름을 올렸다. 




모델별 Top 5


모델별 신뢰도 조사에서는 토요타 야리스와 스즈키 Sx4 S-Cross가 100% 점수를 받아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닛산 리프가 3위(99.7%), 토요타 라브가 4위(99.6%), BMW 3시리즈가 5위(99.5%)에 이름을 올렸다. 



왓 카 편집장 스티브 헌팅포드(Steve Huntingford)는 "매년 실시되는 우리의 설문 조사는 브랜드·모델별 신뢰도 조사서 일본 브랜드가 여전히 높은 신뢰도를 기록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설문 응답자 중 30%는 신차 구입 후 1년간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결함 증상을 겪은 것으로 드러났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 애플카, 오는 2023~2025년 사이 출시되나? 

- 대만 TF 인터내셔널 증권의 밍치궈 애널리스트 曰 "아이폰의 뒤를 잇는 애플의 혁신 제품 될 것" 



에플 전문 분석가로 유명한 대만 TF 인터내셔널 증권의 밍치궈 애널리스트가 오는 2023~2025년 사이 애플카가 출시될 것으로 예측했다. 


밍치궈 애플리스트는 급격한 기술적 진보에 따라 자동차 분야에 큰 변동이 일어나고 있고, 미래 자동차 시장에 '대규모 대체 수요'가 등장, 그 중심에 애플이 존재할 것으로 내다봤다. 


애플이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등 다양한 분야서 선두주자로 인정받고 있을뿐만 아니라, 가전제품 산업이나 자동차 시장에서 경쟁사보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의 통합을 더 잘 구축해낼 것이라는 주장이다. 




밍치궈 애널리스트는 "애플이 거대 자동차 금융 시장에 진입하여 크게 성장할 것"이라며, "애플카는 2007년 등장한 아이폰과 마찬가지로 자동차 산업에 혁명을 일으킬 것"이라 전했다. 또 맥루머스 역시 "애플카는 차세대 혁신 제품이 될 것"이라며 그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애플은 지난 2015년 자율주행차 분야 진출을 위한 작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지난여름 애플 최고경영자 팀 쿡이 블룸버그와의 인터뷰를 통해 "애플이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다"고 말하며 '애플카'에 대해 처음 언급했다. 


당시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애플은 완전한 애플카를 만들기보다는 자율 시스템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애플 브랜드의 차를 만들 가능성에 대해서도 부인하지 않았다. 또 애플은 개발 중인 자율주행 기술을 '모든 AI 프로젝트의 어머니'라 강조하며 매우 중요시 보고 있다는 사실을 전하기도 했다. 





최근 애플이 테슬라의 신차 개발과 모델 3 생산을 진두지휘했던 더그 필드 전 부사장을 영입함에 따라 미래 애플카 개발에도 탄력이 받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지난 7월에는 애플의 자율차 기술을 빼내 중국으로 출국하려던 전 애플 직원 장샤오랑이 미국 연방수사국(FBI)에 의해 검거되는 과정에서 애플이 자율차에 대규모 투자를 감행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갓길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 양 끝에 비상시 이용하도록 마련된 길]


갓길은 고속도로나 자동차 전용도로 양 끝에 비상시 이용하도록 마련된 길이다. 사고 발생 시 환자나 구조 물자 따위를 긴급 운반하는 차량이 지나가거나 고장 난 차량이 일시 정지하는 장소로 주로 쓰인다. 


갓길은 분명 아무런 용도 없이 그냥 만들어진 도로가 아니다. 긴급 차량 통행과 고장 차량 정차 공간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갖고 있는 도로다. 하지만 갓길을 바라보는 시민들의 교통안전 의식 수준은 '세계 6위의 자동차 생산대국'이라는 자격과 걸맞기에는 아직 많이 부족해 보인다. 




갓길 위에 사적인 목적으로 주차를 해놓는 경우, 교통체증을 피하기 위한 갓길 얌체 운전, 잠을 자기 위해 갓길에 정차하는 행위 등…운전을 하다 보면 이렇게 비상식적인 행동을 일삼는 운전자들을 심심찮게 만나볼 수 있다. 


갓길 위에서 펼쳐진 술자리 / BMW 동호회 비머베르크 명* 회원님


하지만 최근 이보다 더 몰상식한 갓길 행태가 포착돼 경악을 금치 못하게 만들고 있다. 그것은 바로 '갓길 위에서 펼쳐진 술자리'. 농담처럼 들리겠지만 우리나라에서 펼쳐진 실제 장면이다. 고속도로 갓길에 한 관광버스가 정차해있고, 그 옆으로는 의자와 테이블이 깔렸다. 테이블 위에 일렬로 나열된 초록색 병의 정체는 다름 아닌 '소주'. 심지어 술자리에 필요한 음식거리나 짐을 더 꺼내기 위해 버스 트렁크를 열고 있는 장면도 함께 포착됐다. 



더 놀라운 점은 사진 속 수십 명의 사람들 중 그 누구도 이러한 비상식적인 행동에 대해 지적하거나 말리는 사람이 없다는 사실이다. 관광지도 아닌 갓길에서 펼쳐진 술자리. 우리나라 갓길에서 바라보는 경치가 술이 땡길 만큼 너무 멋졌던 것은 아닐 터. 올바른 교통 의식을 가지고 있었더라면 절대 행하지 못할 비상식적 행태다. 


사진 자료 : KBS


갓길은 교통사고 치사율이 무려 40%에 달하는 비안전지대다. 빠른 속도로 차량이 달리고 있는 고속도로 옆, 치사율은 무려 40%에 달하는 이곳에 함께 모여 술을 마시는 것은 정말 위험한 행위라 볼 수 있다. 


더군다나 일반 차량은 주행도 할 수 없는 이곳에서 술이 허용될 리가 없다. 도로교통공단은 갓길을 "고장 등의 부득이한 경우에 한해 주차나 정차를 허용하며, 긴급차량과 고속도로 보수·유지 등의 작업 차량이 통행 가능하다"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심지어 도로공사 관련 차량이나 구급차도 일반적인 경우에는 하위 차로로 달린다. 




일부 시민들의 이러한 몰상식한 행태는 언제쯤이면 사라지게 될까? 선진국 진입 조건 중 하나가 바로 시민의식의 선진화다. 우리나라가 진정한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교통선진의식과 시민의식, 공중도덕의 성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 해당 기사는 비머베르크 동호회 명*님께 사진 사용을 허락받아 작성된 기사임을 알립니다. 사진 저작권자의 명시적 허락없이 무단 도용 및 배포는 금합니다. >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자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인간의 욕구는 끝이 없다. 자동차만 살펴봐도 단번에 알아차릴 수 있다. 한계와 끝을 모르고 인간은 더 빠른 차를 개발해왔고, 그 결과 슈퍼카가 탄생, 자연스레 누군가의 드림카로 자리매김해왔다. 그렇다면, 영국서 가장 인기 있는 슈퍼카는 무엇일까? 




슈퍼카 드라이빙 익스피리언스를 전문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영국 트랙데이즈(TrackDays.co.uk)가 지난해 2월부터 올해 2월까지 접수된 시승 예약률을 발표했다. 높은 예약률을 기록하며 인기를 증명한 슈퍼카 TOP 10을 만나보자. 



람보르기니 가야르도가 예약률 19.2%를 기록하며 당당히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12.4%를 기록한 아우디 R8이 차지했으며, 3위는 애스턴마틴 V8 밴티지와 닛산 GTR, 페라리 430이 9.0%로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다음으로 페라리 360이 8.4%, 아리엘 아톰 7.2%, 애스턴마틴 DB9 7.2%, BMW i8 2.6%, 포르쉐 911 카레라가 1.9%를 차지하며 그 뒤를 이었다. 


제조사별 예약률도 람보르기니가 23%를 기록하며 압도적 1위에 올랐다. 애스턴마틴이 17%로 2위, 페라리가 14%로 3위에 올랐다. 아리엘과 닛산이 12%를 차지하며 공동 4위를 차지했고, 아우디가 10%, 포르쉐 4%, 재규어 3%, 맥라렌 3%, BMW가 2%로 그 뒤를 이었다. 



트랙데이즈 댄 존스(Dan Johns)는 "우리는 모두 슈퍼카를 소유하기를 꿈꾸며, 특히 람보르기니 가야르도는 많은 영국인들이 꿈꾸는 슈퍼카로 드러났다. 람보르기니 가야르도가 320km/h 이상의 최고 속도와 제로백(0→100km/h) 3초의 엄청난 성능을 가진 것을 감안했을때 크게 놀랄 일은 아니다"라고 전했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