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Motoroid / Column]

포르쉐 타이칸 vs 로터스 에메야 vs 테슬라 모델 S

영국 로터스(LOTUS)가 최초의 하이퍼 GT '에메야(Emeya)'를 선보임에 따라, 수입 럭셔리 브랜드를 대표하는 고성능 EV 세단의 경쟁 구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시장의 선구자 테슬라 모델 S(Model S), 포르쉐의 첫 번째 전기 세단 타이칸(Taycan)이 에메야의 대표 경쟁 차종으로 꼽히며, 이들 세 차종은 각기 다른 스타일과 주행 성능, 첨단 장비, 공간 구성을 앞세워 럭셔리 EV 세단 시장을 정 조준했다.

로터스 에메야, 테슬라 모델 S, 포르쉐 타이칸 등 세 차종은 모두 길이 5m를 넘나드는 체구를 지녔다. 그중에서 에메야는 헤비급 한계 체중을 꽉 채우는 선수처럼 기골이 장대하다. 5,139mm의 차체 길이는 F-세그먼트 세단을 넘보고, 휠베이스는 셋 중 유일하게 3m를 초과한다. 전고 역시 1,459mm로 가장 높아 실내 쾌적함이 남다르다. 공기저항계수는 Cd 0.21로 바람 가르는 실력도 상당하다.

트렁크 용량의 경우, 에메야는 기본 용량 4인승이 426L, 5인승이 509L로 캐디백 적재도 거뜬하다. 또한, 보닛 아래에 ‘프렁크’라 부르는 31L 크기의 적재 공간이 있어 보스턴백 놓기 ‘안성맞춤’이다. 타이칸은 407L로 소폭 작으며, 모델 S는 미국차 특성상 SAE 기준에 따른 적재 용량 측정 방식을 따르고 있어 1:1 비교는 무리다.

위 세 가지 맞수는 '하이퍼'란 수식에 걸맞은 압도적인 주행 성능을 뽐낸다. 볼륨 모델 위주로 비교하면, 로터스 에메야 및 에메야 S가 612마력을 발휘한다. 테슬라 모델 S는 670마력, 포르쉐 타이칸 4S는 598마력이다. 900~1,000마력을 가볍게 넘나드는 최상위 모델은 모두 0→100km/h 2초대의 머리털 쭈뼛 서는 성능을 앞세운다.

예비 오너가 가장 관심 가질 부문은 배터리 급속 충전 속도와 1회 충전 주행거리 등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 800V 전압 시스템을 사용하는 에메야는 셋 중 가장 빠른 350kW 초급속 충전을 지원한다. 

덕분에 현대차그룹 전기차와 동일한 충전 인프라를 누릴 수 있고, 배터리 잔량 10→80% 충전도 단 18분에 끊는다. 특히 에메야는 400kW 충전도 거뜬해 ‘14분 충전’도 가능하다.

1회 충전 주행거리는 가장 멀리 가는 모델로 비교했다. 모두 복합 기준 500km 이상의 넉넉한 주행거리를 확보했다. 도심 주행거리에서 가장 앞서는 건 모델 S로 578km이며, 고속도로에선 에메야가 551km로 경쟁차 대비 24~57km 뛰어나다. 모터스포츠에서 단련한 로터스의 탁월한 공기역학 성능을 알 수 있는 대목으로, 구름저항이 낮은 피렐리 타이어도 한 몫 보탰다.

자율주행 시대로 향하는 마라톤 경주에서, 각 브랜드를 대표하는 플래그십 모델은 가장 선두에서 대열을 이끌고 있다. 에메야는 하드웨어부터 기선을 제압한다. 4개의 라이다(LiDAR)와 18개의 레이더, 7개의 800만 화소 카메라, 5개의 500만 화소 등 다양한 센서로 중무장한 결과다. 덕분에 어두운 도로나 악천후 조건에서도 차 주변 최대 200m 반경의 장애물까지 스캔할 수 있다.

하드웨어뿐 아니라 ‘두뇌’ 역시 주목할 만하다. 에메야는 듀얼 엔비디아 드라이브 오린(NVIDIA DRIVE Orin)으로 구동하는 차세대 소프트웨어를 심었다.

반면 테슬라는 2021년부터 레이더 없이 ‘테슬라 비전’이라고 부르는 고해상도 8개의 카메라와 자체 OS를 조합한 시스템으로 자율주행 시대에 성큼 다가가고 있다. 반면, 포르쉐는 이 부문에선 어깨 펴기 힘들다.

가격 및 보증에서도 세 차종은 차이를 보이며, 기본 사양 차이를 확인하면 차량 결정에 큰 도움이 된다. 먼저 로터스 에메야는 앞좌석 8방향 전동 시트와 4방향 럼버 서포트, 2열 8인치 터치 스크린 등이 기본으로 들어간다. 라이다 등으로 구성된 ‘하이웨이 어시스트 팩’은 370만 원 선택 사양으로 마련했고, 23개 스피커와 2,160W(와트)의 출력을 지닌 영국 KEF 레퍼런스 오디오도 690만 원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에메야는 기본 모델부터 나파 가죽으로 실내를 꼼꼼히 감쌌으며, ‘나만의 로터스’를 만들 고객 맞춤형 비스포크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반면, 수많은 선택 옵션을 갖춘 타이칸의 경우, 에메야와 비슷한 장비 수준으로 맞추면 가격 증가 폭이 상당하다. 헤드업 디스플레이도 200만 원대 유상 옵션이며, 21개 스피커와 1,455W 출력의 부메스터 오디오도 670만 원 옵션으로 준비했다.

시작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모델 S는 외부 페인트 옵션 비용이 다소 비싼 편이다. 21인치 휠도 600만 원대 선택 사양으로 마련했다. 전반적으로 테슬라다운 ‘심플함’을 앞세우지만, 로터스와 포르쉐에서 느낄 수 있는 럭셔리한 소재 질감은 찾기 힘들다. 차체 등 하드웨어가 상대적으로 노후됐다는 점도 약점으로 꼽힌다. 

제조사마다 보증기간 차이도 제법 있다. 차체 및 일반 부품 보증의 경우, 로터스가 5년/15만km로 가장 넉넉한 보증기간을 제공한다. 수입차 최대 기간일 뿐 아니라 5년/10만km를 제공하는 현대차보다도 넉넉하다. 고전압 배터리 보증의 경우, 세 차종 모두 기간은 8년으로 동일한데 주행거리는 타이칸이 16만km, 에메야가 20만km, 모델 S가 24만km까지 보증한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Latest News]

테슬라

테슬라가 한국에서 모델 S·모델 X 구매자들을 대상으로 '무료 수퍼차징 프로그램'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테슬라코리아에서 무료 수퍼차징 혜택을 제공하는 것은 지난 2020년 이후 3년 만이다. 

무료 수퍼차징 프로그램은 최신 가격에 모델 S 또는 모델 X를 주문하고 2023년 6월까지 차량을 인도 받는 고객을 대상으로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준비된 수량이 모두 소진될 경우 조기 종료될 수 있다.

해당 혜택 적용 시, 3년 동안 무료 수퍼차징을 무제한으로 누리는 것은 물론, 빠르게 최신형 차량을 인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테슬라는 이번 혜택이 신규 모델 S 또는 모델 X 고객에게 Tesla 수퍼차저 네트워크의 쾌적한 충전 환경과 편의성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 세계에 45,000개 이상 설치된 수퍼차저는 테슬라 오너들이 선호하는 충전 수단이다. 전국에는 134개의 수퍼차저 스테이션이 설치돼 있으며,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모델 S와 모델 X는 테슬라 럭셔리 플래그십 모델로 한국에는 지난 3월 출시됐다. 각 모델의 주행 가능 거리는 최대 555km와 478km로 업계 최고 수준이다. 모델 S Plaid는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2.1초, Model X Plaid는 2.6초 만에 도달하며 압도적인 성능을 자랑한다.

좌우 각도 조절이 가능한 17인치 터치스크린, 요크 스티어링 휠, 새롭게 추가된 2열 디스플레이 등 내부 인테리어는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으로 새롭게 업그레이드된 것이 특징이다.

업데이트 된 모델 S의 가격은 1억 2,806만 1천원,  모델 S Plaid 1억 4,106만 1천원이며, 모델 X는1억 4,306만 1천원, 모델 X Plaid는 1억 5,706만 1천원이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World News]

핀란드의 한 남성이 자신의 테슬라 모델 S 차량을 다이너마이트로 폭파시켜 화제가 되고 있다. 

핀란드 퀴멘락소 지방에 거주 중인 모델 S 소유주 '투오마스 카타이넨(Tuomas Katainen)'은 테슬라의 배터리 교체 비용이 너무 과하다는 주장과 함께 자신의 차량을 폭파시켰다.

투오마스 카타이넨은 차량의 고장 수리를 위해 테슬라 서비스 센터에 차량을 한 달 동안이나 입고 시켰지만, 정확한 고장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고 배터리를 통으로 교체해야한다는 답변을 받았다.

또 그는 배터리셀 교체 작업 비용으로 2만 유로(한화 약 2700만원)가 소요된다는 견적을 받았으며, 배터리 교체를 통해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다는 보장은 없었다.  

테슬라 모델 S는 8년/24만km의 배터리 보증을 실시하고 있지만, 그가 타던 차량은 보증 기준을 초과해 배터리 무상 교체를 받을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을 납득할 수 없던 그는 다이너마이트로 자신의 차량을 폭파시키기로 결정, 폭발 장면을 찍어 유튜브 채널에 업로드했다. 폭파한 차량 내부에는 테슬라 CEO인 일론 머스크를 닮은 인형도 실려있었다. 

모델 S의 폭파는 한적한 채석장에서 이뤄졌으며, 30kg에 달하는 대량의 다이너마이트 폭발과 함께 모델 S는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산산 조각이 났다. 

테슬라 모델 S의 폭발 사연과 과정이 담긴 영상은 업로드 1주일도 채 되지 않아 누적 조회수 200만회를 돌파하며 화제가 되고 있다. 

해당 영상을 본 누리꾼들은 "배터리 가격이 이 정도라면 중고 전기차를 사는 것은 큰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걸까", "굉장한 결정과 콘텐츠", "배터리 교체 비용이 이렇게 비싸다면 이건은 미래의 차가 될 수 없다", "전기차 구입 예정이었는데 참고해야겠다", "아깝긴 하지만 차주의 심정이 이해가 간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미국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가 미국과 중국에서 판매되는 ‘모델S’ 가격의 낮췄다.

테슬라는 미국 시장에서 모델S의 판매가를 7만4,990달러(약 8,600만원)에서 7만1,990달러(약 8,259만원)로 4%가량 인하, 중국시장에서도 모델S의 판매가격을 3% 낮췄다.


테슬라 모델S는 판매가격 인하는 한국시장도 반영됐다. 테슬라코리아 홈페이지에 따르면, 모델S 롱레인지의 판매가격은 기존 1억799만원에서 384만3천원 인하된 1억414만7천원, 모델S 퍼포먼스는 기존 1억3,299만9천원에서 385만2천원 인하된 1억2,914만7천원으로 책정됐다.

이번 가격인하로 모델S는 보조금에 따라 9천만원 이하로 구입할 수 있게 됐다. 

테슬라의 가격 인하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테슬라는 지난 5월 북미 모델S 및 모델X 판매가를 5,000달러(약 573만원), 모델3 2,000달러(약 229만원), 7월 모델Y 3,000달러(약 334만원)를 내렸고, 이달 초 중국에서도 상하이공장에서 생산된 모델3 판매가를 24만9,900위안(약 4,255만원)으로 8% 가량 인하한 바 있다.


이에 업계에서는 ”메르세데스-벤츠, 폭스바겐, 볼보 등 기존 자동차 업체들이 다양한 전기차 라인업을 출시하고 있고, 루시드모터스 등 전기차 스타트업이 시장에 진출하면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가격을 낮추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고, 최근 모델S 등 테슬라의 주력 세단 판매량이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는 예측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테슬라가 올해 목표치인 50만대 납품을 달성하기 위해 모델S의 판매가를 인하한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테슬라는 지난 3분기 설립 사상 최대인 13만9,300대의 전기차를 납품했다고 밝혔으나, 시장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했고 일부 전문가들이 ”테슬라가 연간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으면서 당시 주가가 하락했다.


보급형 세단 모델3와 SUV 모델Y의 판매 호조로 전체 납품량은 늘었지만, 고가 라인업인 모델S와 모델X의 납품량이 1만5,200대로 전년 동기대비 2,200여대 가량 감소했기 때문이다.

엘론머스크 테슬라 CEO는 지난 7일 내부 이메일을 통해 "테슬라가 올해 전기차 50만대 생산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며, "4분기가 중요하다. 품질 향상과 함께 생산량을 높이기 위한 어떤 조치든 해달라"고 직원들에게 독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엘론 머스크는 지난 1월 올해 테슬라의 차량 인도량이 50만대는 가뿐히 넘을 것이라 호언장담했지만, 현재까지 생산 실적은 기대 목표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전기차 50만대 생산까지는 18만2,000여 대가 남은 상황이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Tuning]

 

빅 리모스가 제작한 테슬라 리무진

 

기나긴 리무진으로 변신한 테슬라 모델 S가 세계적인 온라인 쇼핑몰 이베이에 등장해 화제다.

 

영국의 리무진 튜닝 전문업체 '빅 리모스(Big Rimos)'가 모델 S를 반으로 잘라 휠베이스를 길게 늘린 리무진을 제작해 선보인 것. 반으로 갈린 차체는 새로운 알루미늄 패널이 덧대였고, 기존의 동력 방식이나 전기모터는 그대로 유지됐다.

 

 

큰 단차 없이 매끄럽게 이어진 바디라인으로 미루어 보아, 아직 최종 완성된 모습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럴듯한 모양새를 갖춘 것을 확인해볼 수 있다. 엔진 및 파워트레인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음에 따라, 테슬라 기존 모델 S85와 동일한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과연 해당 튜닝카가 '세계 최초의 테슬라 리무진 세단'이라는 타이틀을 성공적으로 획득하고 도로를 누빌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Tuning]

 

Photo : Qwest

 

영국 노퍽에 본사를 두고 있는 자동차 애프터마켓 회사 퀘스트(Qwest)가 세계 최초로 테슬라 모델 S 기반의 슈팅 브레이크 모델을 제작해 선보였다.

 

 

세단 타입인 테슬라 모델 S의 실용성을 아쉽게 여긴 창립자는 모델 S의 후면부를 변형시켜 넓은 적재 공간을 갖춘 슈팅브레이크 모델로 재탄생시켰다. 기존 모델 S의 트렁크 부분은 과감히 절단됐고, 대신 새로운 루프와 C 필러가 추가돼 디자인의 큰 변화가 일어났다. 슈팅 브레이크 특유의 높고 매끄러운 루프라인으로 공간 활용도와 실용성을 크게 끌어올린 것도 이번 변화가 갖는 장점 중 하나다.

 

 

깔끔한 마감 처리와 설계 덕분에 순정을 의심케하는 퀄리티를 자랑하며, 동시에 '세계에서 가장 빠른 EV 슈팅 브레이크'라는 타이틀을 획득하게 됐다. 엔진 및 파워트레인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음에 따라, 테슬라 모델 S P90D 슈팅브레이크의 제로백(0100km/h)은 기존과 동일한 2.7초로 추정된다.

 

 

비록 제조사에서 공식적으로 출시한 모델은 아니지만, 수많은 네티즌들은 뛰어난 완성도와 높은 실용성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네티즌 Rhys Adams "매우 멋집니다! 주문하고 싶어요!", Mike Thrnton "얼마입니까? 현재 90D를 소유 중이고 주문 의사가 있어요", John Boglin "좋은 작업! 내가 본 최고의 마차 중 하나다", Paul Hailes "정말 놀랍고 환상적이야!" 등의 반응을 보였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Official]

테슬라의 배터리 기술 책임자 커트 켈티(Kurt Kelty)가 11년 만에 테슬라를 떠났다. 테슬라 보급형 전기차 모델 3의 일평균 주문량이 1,800대를 넘어서며 공급 차질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시점에서 커트 켈티가 테슬라를 떠난 것은 '최악의 타이밍'이라 볼 수 있다. 



켈티는 2006년 테슬라 이직 전, 파나소닉에서 약 15년간 전지의 기획과 개발, 마케팅을 담당했다. 니켈 수소 2차 전지, 리튬 이온 2차 전지 등을 연구했으며, 무려 16건의 특허를 출원할 정도로 배터리 부문에서 인정받는 인물이다. 테슬라에서는 2차 전기 셀,배터리 팩의 안전성과 성능을 중점으로 담당해왔으며, 테슬라가 파나소닉과 합작해 미국 네바다주에 배터리 공장을 설립하는 프로젝트를 이끌기도 했다. 


테슬라는 "커트 켈티가 회사를 떠나 새로운 기회 모색에 나섰으며, 그가 테슬라를 위해 한 모든 일에 대해 감사드린다"고 전했으며, 이에 따라 커트가 담당해왔던 부문들은 테슬라 기존 팀에 분산될 전망이다. 



한편, 테슬라는 최근 모델 3을 비롯한 전기차 판매 호조를 보이고 있다. 새로운 보급형 전기차 모델 3은 일평균 주문량 1,800대를 넘기며 새로운 돌풍을 예고했고, 모델 S와 모델 X의 지난달 주문량도 2분기 주문량보다 15%나 증가했다. 테슬라의 전체적인 판매 호조에 따라 주가도 50% 이상 상승했다. 시가 총액이 포드 자동차를 넘어섰으며, 일시적으로 미국 최대 자동차 완성차 업체 제너럴 모터스를 밀어내고 미국 자동차 시총 1위를 탈환하기도 했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Official]



테슬라 보급형 전기차 모델3이 일평균 주문량 1,800대를 넘기며 새로운 돌풍을 예고했다. 


테슬라가 미국 캘리포니아 주 프리몬트 공장에서 '모델 3 고객 인도 행사'를 열고 주요 제원과 가격을 공개한지 불과 1주일 만이며, 특별한 광고나 마케팅, 캠페인 없이도 인기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전 세계의 놀라움을 자아내고 있다. 



주문량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안 그래도 밀려있던 대기자 목록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델3 공급 차질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으며, 테슬라 CEO 엘론머스크는 이를 두고 '모델 3 생산 지옥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라고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현재 테슬라 측이 밝힌 계획에 따르면, 오는 3분기에 1,500대를 생산하고 연말에 주당 5,000대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내년 말에는 주당 1만 대까지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엘론머스크는 '당장의 수요를 맞추기엔 어려움이 따르겠지만, 내년말까지는 주당 1만 대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 전하며 생산 능력 향상에 대해 자신감을 표했다. 

모델 S와 모델 X도 판매 호조를 보이고 있다. 두 모델에 대한 지난달 주문량도 2분기 평균 주문량보다 15%나 증가했고, 2개 차종을 합한 판매 대수는 2만 2,026대로 전년 동기 대비 53%나 증가했다. 모델 3의 등장에 따라 판매량이 줄어들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오히려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아 세 차종의 수요에 대한 간섭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테슬라의 전체적인 판매 호조에 따라 주가도 50% 이상 상승했다. 시가 총액이 포드자동차를 넘어섰고, 일시적으로 미국 최대 자동차 완성차 업체 제너럴 모터스를 밀어내고 미국 자동차 시총 1위를 탈환하기도 했다. 



한편, 테슬라는 모델 3 인도 시작에 발맞춰 서비스 부문 강화에 나섰다. 현재 예약 대수만 50만 대 이상으로 집결된 모델 3의 본격적인 인도에 발맞춰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서비스 센터 수요에 대비하겠다는 의도다. 테슬라는 100개의 서비스 센터를 추가하고 대대적인 서비스 규모 확장에 나설 계획이며, 올해 1,400명의 수리 엔지니어도 새롭게 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Auto Inside]



테슬라 전기차의 이름(모델 S, 모델 3, 모델 X)과 향후 출시될 네 번째 전기차 '모델 Y'를 모두 나열하면, 'S3XY'라는 단어가 완성된다. 분명 '섹시한', '요염한'이라는 의미를 가진 'SEXY'라는 단어를 의도한 듯 보이지만, 'E'가 아닌, '3'이 포함됐다. 


테슬라는 어떤 이유로 'SEXY'가 아닌, 'S3XY'라는 단어를 완성하게 된 것일까? 



실제로 '모델 3' 출시 당시, 이 차의 이름이 '모델 E'가 될 것이라는 추측이 난무했고, 테슬라 역시 '모델 E'라는 이름을 고수하고자 노력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포드가 '모델 E'를 자사의 전기차 이름으로 쓰기 위해 미리 선점해버렸고, 이에 테슬라는 'E'를 뒤집은 '3'을 사용하기로 결정하게 된다. 



테슬라가 의도치 않게 '모델 E'대신 '모델 3'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됐지만, 결과적으로 더욱 참신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기발한 아이디어로 색다른 제품을 선보이는 테슬라의 '이름마저 평범하게 짓고 싶지 않다'는 의도가 반영된 것처럼. 


한편, 테슬라는 올해 하반기 '모델3'의 데뷔에 이어, '모델X'보다 작은 전기 콤팩트 SUV '모델 Y'의 출격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져 기대를 사고 있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Official]



테슬라 '모델 Y'는 '모델 X'보다 작은 전기 콤팩트 SUV로, 올해 하반기 '모델 3'의 데뷔 이후 출격을 준비 중이다. 


2015년 가을, 모델 Y에 대한 정보가 슬슬 공개되기 시작했지만, 아직 명확한 세부 사항은 크게 알려진 바 없다. 하지만, 테슬라 모델 Y는 출시 전부터 테슬라 돌풍의 핵심 주연으로 뽑히고 있는 모양새다. 


미국 투자금융 회사 모건 스탠리(Morgan Stanley)의 애널리스트 '아담 조나스(Adam Jonas)'는 '모델 Y가 결국 테슬라의 베스트셀러 모델이 될 것'이라며, "우리는 콤팩트 SUV부문이 결국 모든 OEM 업체에서 세계 최대 세그먼트가 될 것이라 믿는다"고 언급했다. 또한 "우리는 모델 Y가 넉넉한 내부 공간 및 트렁크 공간, 모듈식 좌석 구성으로 인해 테슬라 모빌리티의 중심에 설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모델 Y가 등장하게 되면, 테슬라의 전기차 이름(모델 S, 모델 3, 모델 X, 모델 Y)이 'S3XY(SEXY)'라는 단어로 완벽하게 완성된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