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맥라렌이 누적 생산 2만 대 돌파를 축하하는 행사를 가졌다.


영국의 슈퍼카 브랜드 맥라렌이 어느덧 누적 생산 2만 대를 돌파했다. 2011년 7월 첫 번째 상용차 모델인 'MP4-12C'가 생산된 이후 8년 만이다. 


맥라렌은 영국 워킹에 위치한 맥라렌 프로덕션 센터(MPC)서 2만 번째 생산을 축하하는 공식 기념행사를 진행, '2만 번째' 타이틀은 맥라렌 LT 역사를 잇는 모델이자 600시리즈의 최신 모델인 '600LT 스파이더' 모델이 차지했다. 



맥라렌은 지난해 4,800대 이상의 차량을 생산했으며, 자사의 미래 사업 계획인 '트랙25(Track)'에 따라 오는 2025년까지 연간 6,000대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맥라렌 CEO 마이크 플루이트(Mike Flewitt)는 "맥라렌은 지난 2년간 4,800대 이상의 차량을 수작업으로 생산해냈으며, 곧 연간 생산량 5천 대를 돌파할 것"이라며, "우리 제품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큰 성공을 거뒀던 600LT 스파이더로 이를 축하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맥라렌은 2016년 전 세계적인 수요 증강에 부응하기 위해 2교대 생산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덕분에 일일 생산량을 하루 10대에서 20대까지 두 배 가량으로 크게 늘렸다. 영국 워킹 공장서 생산된 차량은 전 세계 32개 이상의 시장에 수출되고 있다. 





맥라렌의 생산량 증가에 따라 매출액 역시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맥라렌은 지난 2015년 1,654대를 판매, 2016년 두 배 가까운 3,286대를 판매하며 급격한 상승 그래프를 보였고, 상승세는 일시적 상승에 그치지 않고 계속 이어져 최근 4년간 매출액이 무려 44%나 증가했다. 



맥라렌 급성장의 주된 요인으로는 신차 출시와 라인업 다양화 전략으로 꼽히며, 고객 맞춤 주문 제작을 담당하는 특별 부서 '맥라렌 스페셜 오퍼레이션(McLaren Special Operation, MSO)'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인 것도 한몫을 차지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맥라렌은 트랙 25 비즈니스 플랜에 따라 맥라렌 스피드 테일을 시작으로 오는 2025년까지 18종의 신차를 선보일 계획이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Special Edition]


스마트 파이널 콜렉터 에디션(Final Collector Edition)


독일 다임러 벤츠의 소형차 브랜드 스마트가 본격적인 전동화를 앞두고 내연기관 모델 단종을 기념하는 '파이널 콜렉터 에디션(Final Collector Edition)'을 선보였다. 


스마트는 지난 21년간의 세월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포투 시리즈를 기반으로 한 기념 모델을 21대 한정 생산하기로 결정, 독일의 유명 산업 디자이너 콘스탄틴 그릭(Konstantin Grcic)과 디자인 협업을 통해 제작했다. 





파이널 콜렉터 에디션은 스마트만의 발랄한 매력을 제대로 뽐내려는 듯 꽤나 화려하고 독특하게 꾸며졌다. 옐로우-블랙의 조화로 완성된 외장 컬러는 눈길을 사로잡기에 부족함이 없으며, 이는 휠까지 이어져 앞바퀴는 옐로우, 뒷바퀴는 블랙 컬러가 적용됐다. 



옐로우-블랙 투톤의 조합은 실내에도 고스란히 이어진다. 대시보드, 센터 콘솔, 시트 등을 포함한 실내 곳곳은 외관과 동일한 컬러의 조합이 적용됐으며, 헤드레스트와 기어노브에 기념 에디션을 증명하는 '#21' 자수도 새겨졌다. 




해당 기념 모델은 단순 디자인 변경에 그치지 않고, 오랜 협력 전문 튜너인 브라부스의 손을 거쳐 더욱 강렬하고 완벽한 차량으로 탄생할 예정이다. 



스마트 제품 관리 총책임자 다니엘 레스코(Daniel Lescow)는 "스마트는 자동차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새로운 형태의 도시 모빌리티에 대한 웅대한 비전을 담고 있다"라며, "파이널 콜렉터 에디션은 한 시대의 끝과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이정표이자, 미래의 지평선으로 향하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 전했다. 


한편, 스마트는 작년 5월 오는 2020년까지 모든 라인업의 전동화를 구축하겠다는 미래 계획을 밝힌 바 있으며, 이에 따라 내연기관 모델은 가까운 미래에 생산이 종료될 예정이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Tuning ]



벤틀리는 세계 3대 명차로 꼽히는 최고급 브랜드다. 유려한 바디라인과 호화스러운 실내를 자랑하며, 주문을 받아 장인의 수작업을 통해 완성되는 차량이다 보니 공급량도 그리 많지 않다. 때문에 오랜 기간 재력가와 유력인사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으며, 자연스레 부와 명예의 상징으로 자리 잡게 됐다. 


벤틀리 울트라탱크(Ultratank) by.AcademeG


이런 벤틀리를 가지고 무모한(?) 도전을 시행한 이들이 있어 주목된다. 벤틀리 컨티넨탈 GT 차량을 탱크로 꾸며 선보인 것. 다소 끈금없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헛소리가 아니다. 러시아 채널 '아카데미G(AcademeG)'가 벤틀리로 만든 탱크 '벤틀리 울트라탱크(Ultratank)'를 소개한다. 




academeG - https://youtu.be/taLvoVXFDmM


필자는 지금껏 무한궤도를 차량에 장착한 튜닝카들을 몇 차례 소개한 바 있지만, 진짜 '탱크'로 재탄생시킨 튜닝카를 소개하는 것은 처음이다. 아카데미 G는 거대한 무한궤도를 장착하기 위해 차량을 완전히 손봤다. 불필요해진 휀더는 제거됐고, 궤도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기본 뼈대의 수정도 이뤄졌다. 


academeG - https://youtu.be/taLvoVXFDmM


벤틀리의 기존 W12 엔진 대신 아우디의 V8 엔진이 탑재됐고, 일부 패널과 도어는 완전히 제거됐다. 또 벤틀리의 호화스러운 실내 장식들도 더 이상 불필요한 사치품으로 여겨져 모두 탈거됐다. 또 새롭게 필요한 부품은 정밀하게 설계했으며, 이러한 작업에는 엄청난 집념과 열정이 뒤따른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진짜 '탱크'로 새롭게 변화한 벤틀리는 바퀴 대신 탱크의 무한 궤도를 갖춰 험로에서도 일정한 속도로 주행할 수 있게 됐으며, 진흙탕이나 모래밭 같은 곳도 빠지지 않고 문제없이 달릴 수 있게 됐다. 


academeG - https://youtu.be/taLvoVXFDmM


오랜 열정으로 만들어낸 벤틀리 울트라 탱크를 본 네티즌들은 "정말 놀라운 일이다. 더 많은 인정을 받아야 마땅하다", "대단하다", "처음에는 탱크와 벤틀리라는 소재의 조합이 매우 회의적으로 느껴졌지만, 정말로 멋지다", "최고의 작품" 등의 뜨거운 반응을 보였으며, "탑승 시 안전 예방 조치를 따라야만 할 것 같다"는 우스꽝스러운 댓글도 달렸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Special Edition]



영국의 SUV 전문 브랜드 랜드로버가 우주개발기업 버진갤럭틱(Virgin Galactic)과 공동 개발한 스페셜 에디션 차량을 공개했다. 


레인지로버 에스트로넛 에디션(Space Rover Astronaut Edition)이라 명명된 해당 차량은 개별 맞춤 제작을 전담하는 랜드로버 특별부서 'SVO'가 제작을 맡았으며, 우주 공간서 영감을 받은 독특한 내·외관 장식을 특징으로 한다. 



외장 컬러는 깊고 강렬한 밤하늘을 본 뜬 제로-그래비티블루(Zero-Gravity Blue) 색상으로 입혀졌고, 퍼들 램프는 맞춤형 디자인으로 새로 제작돼 우주비행선의 투톤 실루엣을 연상시킨다. 또 차량 측후면에 에스트로넛 에디션 배지를 부착해 스페셜 에디션임을 증명했다. 





실내 역시 우주비행선 콘셉트로 새롭게 꾸며졌다. 카본 소재로 맞춤 제작된 센터 콘솔, 암레스트 등 실내 곳곳에 우주비행선 심볼(DNA of Flight)이 그려졌으며, 알루미늄 도어 핸들, 헤드레스트, 글로브 박스 등에는 버진 갤럭틱의 미래 우주인 커뮤니티의 별자리 패턴이 새겨졌다. 또 원한다면 자신의 이니셜까지 새겨 넣을 수 있다. 



주목해볼 만한 가장 큰 특징은 컵 홀더 속 디스크다. 해당 디스크는 지난해 비행을 마친 버진 스페이스십 유니티호의 착륙 스키드로 제작됐으며, 우주선의 세부 사항과 'See you up there'라는 문구가 새겨졌다. 차내에는 P400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엔진, 5.0리터 V8 슈퍼차저 엔진 등 다양한 랜드로버의 엔진이 탑재될 예정이다. 





랜드로버 디자인 총괄 디렉터 제리 맥러번(Gerry McGovern)은 "랜드로버 차량은 2014년 버진 갤럭틱과 파트너십을 맺은 이후 버진 갤럭틱팀의 일부가 됐다"며, "에스트로넛 에디션이야말로 개척 정신과 진정한 모험 정신을 함께 공유하는 두 브랜드의 가치를 축하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 전했다. 레인지로버 에스트로넛의 정확한 가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한편, 버진 갤럭틱은 상업 우주여행을 목표로 우주관광 서비스를 준비중이며, 현재까지 약 700여 명이 우주비행 여행을 예약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약자 중에는 버진 갤럭틱의 설립자인 리처드 브랜슨 회장과 천재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방삭, 할리우드 스타 리어나도 디캐프리오, 앤젤리나 졸리, 팝스타 레이디 가가, 저스틴 비버도 우주여행 대기 명단에 이름을 올려 주목을 받기도 했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수소차 시대를 향한 아우디의 발걸음이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영국 자동차 전문지 오토카 보도에 따르면, 아우디는 전기차 배터리 및 기타 전기차 부품 공급에 대한 우려에 따라 수소연료전지차 개발 가속화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아우디 CEO 브람 숏(Bram Schot)은 "수소연료전지에 더 많은 우선순위를 두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따라 아우디가 개발 중인 수소연료전기차가 올해 말 콘셉트카의 형태로 공개될 것으로 보이며, 해당 차량에 탑재될 기술은 현대차와의 수소연료전지 기술 파트너십 협력에서 비롯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우디 h-트론 콰트로 컨셉트


아우디는 지난 2004년부터 수소차 개발에 뛰어들어 기술적인 부분에서 충분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6년에는 한 번 충전으로 약 600km를 달릴 수 있는 'h-트론 콰트로 컨셉트'를 선보인 바 있다. 해당 차량은 수소 탱크를 가득 채우는데 불과 4분이 소요되며, 정지 상태에서 100km/h 도달까지 7초면 충분하다. 


현대자동차 x 아우디


아우디는 지난해 현대자동차와 수소전기차 관련 연료전지 기술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하고 미래 수소전기차 시장의 주도권 확보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 이에 양사는 수소전기차 분야서 공고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수소전기차 기술 확산 및 시장 활성화를 위해 특허 및 주요 부품을 공유하는데 합의했다. 





피터 메르텐스 아우디 기술 개발 총괄 역시 수소전기차를 '전동화 기반의 차량 중 가장 진화된 형태'라 언급하며 수소전기차 개발에 전념할 뜻을 밝혔으며, 현대자동차와의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 및 수익성 강화를 위한 방법 모색과 수소차 양산 모델 개발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아우디를 비롯한 BMW, 토요타 등 여러 글로벌 업체들이 수소전기차에 눈길을 돌리고 있음에 따라 수소전기차 시장의 미래 성장 가능성 및 비전에 대한 공감대가 더욱 확고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글로벌 수소전기차 시장의 판도가 어떻게 흘러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편, 수소차 시장 선점에 나선 전 세계 업체들의 경쟁도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수소차 시장의 선두주자로 나선 현대차 그룹은 오는 2030년까지 수소 완성차 50만대 분을 포함 70만 대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 토요타는 BMW와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수소전기차 플랫폼을 공동 개발 중이며, 혼다는 GM과 합작법인을 설립해 수소전기차 연료전기 시스템을 공동 생산할 계획이다. 후발주자로 나선 중국 역시 오는 2030년까지 수소차 100만 대 보급을 목표로 세우고 수소차 개발 및 상용화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BMW 3시리즈 Li


BMW가 콤팩트 세단 3시리즈의 롱휠베이스 버전인 'BMW 3시리즈 Li'를 공개했다. 


롱휠베이스는 기존 차량의 휠베이스를 길게 늘려 한층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한 모델을 뜻하며, 롱휠베이스를 의미하는 'Li'가 이름 끝에 추가된다. 




BMW를 비롯한 다양한 자동차 제조사들이 크고 넓은 자동차를 선호하는 중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전략 모델을 계속해서 출시 중이며, 이번에 BMW가 선보이는 '3시리즈 Li' 역시 중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모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길게 늘려진 BMW 3시리즈 Li는 일반 3시리즈 대비 전장은 120mm, 휠베이스는 110mm 늘어나 휠베이스는 2,961mm, 전장은 4,829mm에 달한다. 이는 상급 모델인 5시리즈의 휠베이스(2,975mm)와 비교해봐도 크게 차이 나지 않는 수준이며, 덕분에 한층 여유로운 2열 공간을 확보했다. 


휠베이스와 더불어 뒷좌석 레그룸도 넉넉해졌다. 또 탑승객의 쾌적함을 위해 헤드레스트가 특별 제작돼 장착됐으며, 이 밖에도 새롭게 제작된 스피커 커버, 조명, 지능형 음성 비서 기능 탑재 등으로 일반 모델과 차별을 뒀다. 





차내에는 2.0 가솔린 터보 엔진과 8단 자동 변속기가 함께 맞물려 최고출력 184마력, 최대토크 30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최신 기능으로는 보행자 감지 기능, 차선 이탈 경고 기능, 사각 지대 경고, 후방 충돌 방지 기능,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등의 최신 운전자 지원 시스템이 탑재됐다. 



중국 전용 모델로 출시돼 중국 현지 생산되는 해당 차량은 넓고 안락한 실내 공간을 선호하는 중국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것으로 기대되며, 재규어 XE L, 메르세데스-벤츠 C 클래스 롱휠베이스, 아우디 A4L 등과 경쟁을 펼치게 될 전망이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독일 자동차 업체 다임러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의전차로 사용되고 있는 마이바흐 차량과 관련해 "북한에 어떻게 공급됐는지 전혀 모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정은은 지난 24-26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에서 열린 북·러 정상회담서 '메르세데스 마이바흐 S600 풀만 가드', '메르세데스 마이바흐 S62' 등 두 대의 리무진을 사용했으며, 앞서 수차례 진행된 남북정상회담과 미·북 정상회담서도 해당 차량을 사용해 관심을 쏠린 바 있다. 





김정은은 이 외에도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600'을 소유할 정도로 다임러의 고급 세단을 애용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다임러 측은 북한과 자사와의 관계를 부정하며 곤혹스럽다는 입장을 내놨다. 김정은이 다임러사의 고급 세단을 연이어 사용하는 모습이 포착되자 대북제재 위반 가능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현재 유엔 안보리는 대북 제재를 통해 사치 품목의 북한 반입을 금지하고 있으며, 지난 2013년부터 고급 럭셔리 자동차도 사치 품목에 포함되고 있다. 



김정은의 마이바흐 사용으로 대북제재 결의안 위반 의혹이 재차 제기되자, 다임러는 "우리는 해당 차량들이 북한에 어떻게 전달됐는지 전혀 알지 못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이어 "다임러는 법을 준수하는 올바른 수출은 책임 있는 기업 활동의 기본 원칙이며, 우리는 정당한 수출만을 진행하고 있다"라며, "대북제재 조치 이행에 따라 북한과 15년 넘게 거래를 하고 있지 않으며, 북한은 우리의 공식 고객이 전혀 아니다"라고 전했다. 




김정은의 다임러 차량들은 중고차 시장 등의 루트로 공급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다임러 역시 "제3자에 의한 판매는 우리의 관할과 책임의 영역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메르세데스 마이바흐 S600 풀만 가드는 연간 10여 대만 생산되는 특수 방탄 차량으로, VR9 등급의 방탄 능력을 갖춰 무게는 무려 5통이 넘는다. 타이어 펑크에도 시속 100km로 주행할 수 있으며, 뛰어난 방탄성능으로 세계 각국 정상들의 의전용 차량으로 애용되고 있다. 차내에는 6.0리터 V12엔진이 탑재돼 최고출력은 523마력, 최대토크는 82.6kg.m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