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GranCabrio Folgore

이탈리아 마세라티가 순수 전기차 '그란투리스모 폴고레'와 '그란카브리오 폴고레’를 국내 공식 출시한다.

GranTurismo Folgore

'그란투리스모 폴고레(GranTurismo Folgore)'는 마세라티 최초의 순수 전기차로, 브랜드를 대표하는 아이코닉한 모델인 그란투리스모를 혁신의 정점으로 끌어올린 모델이다. 

함께 출시되는 형제차 '그란카브리오 폴고레(GranCabrio Folgore)'는 100% 전기 파워트레인을 적용해 새로운 차원의 오픈 에어링 경험을 제공한다.

마세라티 코리아는 그레칼레 폴고레 공식 출시에 이어 그란투리스모 폴고레와 그란카브리오 폴고레를 도입하며 한국에서 풀 라인업을 완성하게 됐다. 

이를 기반으로 마세라티 코리아는 강력한 네튜노 엔진을 얹은 가솔린 모델과 마일드하이브리드 모델, 순수 전기 모델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 옵션을 통해 국내 시장에서의 존재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그란투리스모 폴고레와 그란카브리오 폴고레의 외관은 시대를 초월하는 독보적인 디자인을 갖췄다. 길게 뻗은 보닛과 중앙 차체가 네 개의 펜더와 교차하는 브랜드 특유의 클래식한 비율을 그대로 유지했으며, 루프 라인은 역동적으로 떨어져 필러의 유려한 곡선을 강조한다. 또한 브랜드의 새로운 라이트 시그니처인 수직형 라이트를 적용해 스포티함을 더했다.

폴고레 전용 그릴은 실크 블랙 베이스 위에 글로시 블랙 인서트를 더했으며 프론트 스플리터, 손잡이, 윈도우 몰딩, 리어 핸들 또한 글로시 블랙 컬러를 입었다. 마세라티 삼지창 로고 및 ‘Folgore’ 레터링은 어두운 구리색으로 마감했다.

전용 스플리터, 다이아몬드 컷 글로스 블랙 전용 휠 및 프론트 디퓨저는 공기저항계수를 내연기관 버전에 비해 약 7% 개선시켜 주행가능거리 최적화에 기여한다. 

또한 휠 아치 내부의 소음을 줄이기 위해 폴고레 전용 에어 인렛을 범퍼와 휠 아치 사이에 배치했다.

컨버터블인 그란카브리오 폴고레는 소프트탑을 장착해 탁월한 오픈 에어링 경험을 선사한다. 소프트탑은 시속 50km까지 주행해도 작동 가능하며 개방에 걸리는 시간은 14초에 불과하다. 

루프는 터치 버튼 또는 손가락 제스처로 간편하게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넥 워머를 기본 탑재해 루프를 열고 주행해도 운전자와 동승자를 따뜻하게 감싸준다.

실내는 최첨단 기술과 장인정신을 결합해 ‘대조적 요소들의 균형’을 실현했다. 장인의 손길이 느껴지는 고급스러운 소재들이 12.3인치 중앙 디스플레이와 8.8인치 컴포트 디스플레이, 12.2인치 디지털 대시보드, 헤드업 디스플레이, 디지털 시계, 디지털 리어뷰 미러 등 첨단 기술과 어우러져 마세라티만의 ‘이탈리안 럭셔리’를 유감없이 드러낸다.

특히 지속가능성을 고려해 신소재 ‘에코닐’을 개발, 시트, 천장 및 필러에 사용했다. 에코닐은 바다에서 수거된 폐그물 등을 활용해 재생한 나일론으로, 마세라티는 에코닐을 차량에 적용하기 위해 본래 하이엔드 가죽 제품 공정에 사용되는 고주파 가죽 프린팅 기술을 자동차에 최초로 도입했다.

또한 폴고레 버전만의 독보성을 강조하기 위해 실내에 세계 최초로 레이저 가공 기법을 적용, 대시보드 마감과 도어 안쪽에 유일무이한 개성을 더했다.

그란투리스모 폴고레와 그란카브리오 폴고레는 전기차임에도 불구하고 하이퍼포먼스를 즐길 수 있도록 설계됐다. 800V 기술 기반의 120Ah LG에너지솔루션 리튬-이온 배터리를 장착, 배터리는 이탈리아 토리노 소재의 미라피오리 배터리 허브 조립 공장에서 생산된다. 

또 혁신적인 배터리 구성 방식과 레이아웃, 배터리 모듈 배치로 전고를 낮춰 스포티함을 유지했다.

특히 두 모델은 총 3개의 300kW 전기 모터(전륜 1개·후륜 2개)를 탑재했다. 모터는 전기차 레이싱 대회 ‘포뮬러 E’ 레이스카에 장착된 전기 모터를 뿌리로 개발돼 브랜드 고유의 모터스포츠 DNA를 유지했다. 

또한 퍼포먼스를 위해 배터리보다 모터 성능을 더 강력하게 설계, 후륜구동 모드에서도 전체 출력 100%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후륜 휠에 최대 400마력까지 전달한다.

이 같은 파워트레인 셋업을 통해 최고 출력 778마력을 발휘하며 최고 속도의 경우 그란투리스모 폴고레가 시속 325km, 그란카브리오 폴고레는 290km로 독보적인 퍼포먼스를 구현한다. 또한 복합 기준 1회 충전 시 그란투리스모 폴고레는 최대 341km, 그란카브리오 폴고레는 최대 321km까지 주행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마세라티의 핵심 요소인 엔진음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V8 엔진의 전통적인 사운드를 디지털 음향 기술로 재현, 전기차에서도 혁신적인 사운드 경험을 선사한다.

그란투리스모 폴고레와 그란카브리오 폴고레는 다양한 환경에 최적화된 4가지 주행 모드를 갖췄다. 주행 모드는 에너지를 절약해 주행 가능 거리를 최대로 확보하는 ‘맥스 레인지’, 전형적인 ‘그란투리스모’ 경험을 제공하는 기본 주행 모드 ‘GT’, 일상 주행 환경에서도 짜릿한 퍼포먼스를 선사하는 ‘스포트’, 성능을 극대화해 가장 강렬한 드라이빙 경험을 즐길 수 있는 ‘코르사’로 구성된다.

특히 회생제동 시스템을 통해 속도를 줄이면서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회생제동 강도는 스티어링 휠 뒤의 패들을 통해 주행 중에도 4단계로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다.

그란투리스모 폴고레와 그란카브리오 폴고레는 운전의 편리함을 넘어 일상의 순간까지 우아하게 만드는 다양한 편의 품목을 갖췄다.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레벨2 수준의 마세라티 액티브 드라이빙 어시스트 등 운전자 보조 기능은 물론 ‘마세라티 인텔리전트 어시스턴트’ 멀티미디어 시스템, 소너스 파베르 오디오 시스템, 무선 애플 카플레이 및 안드로이드 오토를 적용해 몰입도 높은 주행 경험을 선사한다. 특히 에어 스프링 기반의 차체 높이 조절 기능도 기본 제공된다.

관련해 다카유키 기무라 마세라티 코리아 총괄은 “마세라티의 유산과 미래를 동시에 아우르는 그란투리스모 폴고레와 그란카브리오 폴고레는 혁신적인 기술과 타협 없는 아름다움, 최고의 퍼포먼스가 완벽하게 공존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두 모델의 출시를 통해 국내 시장에 풀 라인업을 완성하게 되어 매우 뜻깊으며, 마세라티가 제시하는 전동화의 방향성과 고유의 브랜드 가치를 직접 경험해 보시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르노 5 E-Tech 일렉트릭

르노가 올해 1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38만9016대의 신차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비 6.5% 증가한 판매 실적이다.

구체적으로 르노는 올해 1분기 본고장인 유럽에서 24만6036대의 신차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한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전기차, 하이브리드 등 전동화 차량의 판매 호조가 돋보인다. 르노의 지난 1분기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87.9% 증가했으며, 하이브리드 자동차 판매량도 전년 동기 대비 46.1% 증가했다.

2025 유럽 올해의 차를 수상한 '르노 5 E-Tech 일렉트릭'은 1분기에 약 1만7000대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유럽 시장에서 소형 전기차 판매 1위를 차지하는 등 르노 브랜드의 실적 상승을 이끌었다.

르노 5 E-Tech 일렉트릭은 르노의 소형 전기차 개발 경쟁력을 보여주는 모델로, 르노 그룹의 소형 전기차 전용 플랫폼 ‘AmpR 스몰(Small)’을 처음 적용한 도심형 B 세그먼트 전기차다.

1972년부터 1996년까지 약 550만 대의 판매고를 올리며 당대의 베스트셀러로 명성을 떨쳤던 르노의 아이코닉 모델, 르노 5를 미래지향적으로 재해석해 주목을 받고 있다.

유럽 외 지역의 성장세도 두드러진다. 르노는 유럽 외 지역에서 지난해 1분기 대비 11.6% 성장한 14만659대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인터내셔널 게임 플랜’의 성공적인 안착을 알렸다. 르노의 ‘인터내셔널 게임 플랜’은 한국, 인도, 중남미, 터키, 모로코 등 5개의 글로벌 허브를 기반으로 2027년까지 총 8종의 신차를 출시해 유럽과 유럽 이외 지역간 시너지를 창출하는 전략이다.

인터내셔널 게임 플랜의 핵심 거점 중 하나인 한국 시장의 르노코리아는 올 1분기에만 1만4000대 이상의 신차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 대비 147.6% 증가한 판매 실적을 거두었다.

특히, 중형 SUV ‘그랑 콜레오스’가 2025년 1분기에만 1만1341대의 판매고를 기록하며 르노코리아의 실적 상승을 견인했다. 르노코리아가 4년만에 출시한 신차 그랑 콜레오스는 출시 이후 올 3월까지 3만3000대 이상 판매되며 르노코리아의 호실적에 기여하고 있다.

이 밖에도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브라질에서의 호실적을 바탕으로 중남미에서 전년도 1분기 대비 21.1% 증가한 6만3700대의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모로코에서는 소형 해치백 클리오의 선전과 소형 SUV 카디안의 출시에 힘입어 약 9천대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해 2024년 1분기 대비 45.5% 증가한 실적을 거두었다.

르노는 2025년 글로벌 시장에 신차를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성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유럽 지역에 소형 전기 크로스오버 SUV ‘르노 4 E-Tech 일렉트릭’을 출시하고 기존 주요 차량의 페이스리프트 모델도 지속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또 그랑 콜레오스의 본격적인 해외 시장 진출 등 수출 지역 확대를 통해 르노 브랜드의 글로벌 영향력을 더욱 키워 나갈 방침이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AMG GLC43 4매틱 한성 에디션

메르세데스-벤츠 한성차가 국내 10대 한정의 'AMG GLC43 4매틱 한성 에디션'을 출시했다.

AMG GLC 43 4매틱 'AMG 한성 에디션 2025'은 한성차에서만 판매하는 한정판 모델로, 국내에서 단 10대만 선보인다.

AMG 특유의 감성과 한성자동차만의 프리미엄이 더해진 스페셜 모델로 고성능 SUV의 역동적인 주행과 블랙 디테일 중심의 디자인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 특징으로, 기존 'AMG GLC 43 4매틱'과 차별화된 ‘AMG 한성 에디션’만의 감성을 느낄 수 있다.

외장 색상은 옵시디언 블랙을 적용했으며, 세심한 디테일을 더하는 ‘AMG 전용 연료 캡’에 블랙 마감의 ‘21인치 AMG Y-스포크 휠’과 ‘AMG 나이트 패키지 I’를 더해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 실내는 ‘AMG 퍼포먼스 카본 마이크로파이버 스티어링 휠’을 적용해 스포티하면서도 감각적인 분위기를 동시에 갖췄다.

차내에는 최고출력 421마력, 최대토크 51kg·m의 AMG 2.0리터 4기통 엔진을 기반으로, AMG 스피드쉬프트 MCT 9단 변속기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결합되어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단 4.8초 만에 도달하는 강력한 퍼포먼스를 자랑한다.

이 외에도 부메스터 3D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MBUX 증강 현실 내비게이션, 디지털 라이트,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플러스 등 다양한 최신 기술 사양이 기본 적용되어, 최상의 안전과 편의성을 모두 경험할 수 있다.

관련해 한성차 김마르코 대표는 “AMG GLC 43 4MATIC을 기반으로 한 AMG 한성 에디션은 고성능과 감성을 모두 갖춘 스페셜 모델”이라며 “매번 큰 사랑을 받아온 AMG한성 에디션 시리즈의 명성을 잇는 이번 모델은 일상에서도 AMG의 진정한 드라이빙 퍼포먼스를 경험할 수 있는 최적의 선택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AMG GLC 43 4매틱 ‘AMG 한성 에디션 2025’의 가격은 1억 700만원으로, 메르세데스-벤츠 스토어 웹사이트를 통해 구매 가능하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Photo]

테슬라(TESLA)가 상품성을 대폭 강화한 부분변경 '신형 모델 Y(뉴 모델 Y, 코드명 주니퍼)'를 국내 출시, 한국 시장 공략에 나선다.

테슬라 모델Y는 테슬라를 대표하는 스포츠유틸리티차(SUV·Sport Utility Vehicle)이자 지난해 국내외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전기차다.

테슬라가 업그레이드된 '모델 Y' 신차 투입으로 지난해 국내 수입차 판매 1위를 차지했던 명성을 이어갈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테슬라코리아는 이달 초 코드명 '주니퍼'로 통하는 '신형 모델 Y'를 국내 시장에 선보였다.

이번 모델은 글로벌 시장에서 350만 대 이상 판매, '가장 많이 판매된 전기차'로 등극한 모델 Y의 부분 변경 모델이다.

특히 모델 Y 주니퍼는 외관부터 실내까지 풀체인지 수준의 변화를 이끌어낸 것이 특징이며, 기존 모델 Y의 단점을 완벽하게 개선했다.

외관은 사이버트럭과 사이버캡에서 영감을 받은 새로운 디자인 언어가 적용됐으며, 강인함과 부드러움이 함께 공존하는 세련된 모습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실물로 살펴본 모델 Y 주니퍼는 구형 모델 대비 한층 심플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선사했다.

실내에는 내부 전체를 감싸는 엠비언트 라이트가 새롭게 적용해 한층 고급스러운 실내 분위기를 연출 가능하며, 2열의 헤드룸 개선, 등받이를 뒤로 젖힐 수 있는 전동 리클라이닝 기능 등이 새롭게 추가됐다.

특히 차량을 함께 살펴본 구형 모델 소유주는 새롭게 추가된 '엠비언트 라이트'를 가장 만족스러운 실내 변화 중 하나로 꼽았다.

구형 모델의 경우, 차주들이 엠비언트 라이트 부재에 아쉬움을 느껴 사외 튜닝으로 별도 추가해야 했지만, 이제는 내부 디자인 변경없이 순정 사양으로 내부 분위기 변화와 포인트를 줄 수 있게 됐다.

여기에 런치 시리즈 모델은 도어실과 콘솔 등에 전용 워드마크가 새겨졌다. 또한 문을 열면 전용 퍼들 램프가 점등된다.

트림의 경우, RWD, 롱 레인지, 런치 시리즈까지 총 세 가지 트림으로 출시됐다. 이중 런치 시리즈는 신형 모델 Y의 출시를 기념하는 한정판 모델로 런치 시리즈 전용 디자인과 강한 출력을 갖췄으며, 출시와 동시에 고객들의 주문이 몰리면서 론치 시리즈의 판매는 종료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인증 기준으로 롱 레인지 및 런치 시리즈는 최대 476km의 주행 가능 거리와 5.4km/kWh의 전비를 제공, RWD 모델은 최대 400km를 주행할 수 있고 전비는 5.6km/kWh다.

구체적으로 후륜구동 RWD 모델의 경우 1회 충전 시 주행가능 거리는 최대 400km, 최고 속도는 시간당 201km, 정지 상태에서 100km/h 가속까지는 5.9초가 소요된다.

사륜구동 롱레인지와 론치 시리즈 트림의 경우 최고 속도는 같으며, 1회 충전 시 주행가능 거리가 476km로 RWD 트림보다 76km가량 길고 정지 상테에서 100km/h 가속까지는 4.8초가 소요된다.

테슬라 모델 Y 주니퍼는 뛰어난 가격 경쟁력까지 함께 갖췄다. 신형 모델 Y의 국내 가격은 RWD 5299만 원, 롱 레인지 6314만 원, 런치 시리즈 7300만 원으로, RWD는 부분 변경 이전과 가격을 동결, 가격 경쟁력을 높였다.

특히 주니퍼 RWD 트림의 경우, 구형 모델 대비 700만원가량 저렴한 5299만원으로 책정됐는데, 이는 정부가 정한 전기차 보조금 전액 지원 대상 '5300만원 미만'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내외관과 상품성이 대폭 향상된 '테슬라 모델Y 주니퍼'가 국내 시장에서 또 한번 큰 인기를 끌지 귀추가 주목된다.

< 테슬라 신형 모델Y(주니퍼) 디테일 컷 >

TESLA New Model Y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