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Motoroid / Photo]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680

[2025 서울 모빌리티쇼 = 모터로이드] 메르세데스-벤츠가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 '최고급 맞춤 제작'을 주제로 참가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모두가 선망하는 자동차’ 제공 목표 아래, 올해 럭셔리 리더십을 확고히 해 국내 고객들에게 더욱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와 럭셔리 브랜드 경험을 전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그 일환으로 이번 모빌리티쇼에서 최상위 차량 15대와 최고급 차량 개인 맞춤 제작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이를 통해 브랜드 근간인 럭셔리 위상을 한층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메르세데스-벤츠는 2세대 신형 ‘AMG GT’, ‘GT 55’, ‘GT 63 S E 퍼포먼스’, ‘CLE 쿠페’, ‘E -클래스 하이브리드 에디션 1’, 몽클레르 두 번째 협업 한정판 ‘G-클래스 패스트 투 퓨처’과 G클래스 라인업, 마이바흐 라인업 등을 선보였다.

이 가운데 최고급차의 대명사로 꼽히는 '벤츠 마이바흐 S680 4매틱' 차량이 럭셔리 분위기로 눈길을 사로잡았다.

마이바흐 S680 모델은 V형 12기통 가솔린 엔진을 탑재되며, 최고 출력 630마력, 최대 토크 91.7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차량 내부는 비행기 퍼스트 클래스 부럽지 않은 모습이다. 내부를 둘러싼 최고급 나파 가죽 시트는 부드럽고 고급스러우며, 동시에 넓고 여유로운 공간을 선사한다.

메르세데스-벤츠는 브랜드 고유의 ‘최고급 차량 개인 맞춤 제작’ 프로그램인 ‘마누팍투어’도 함께 소개했다.

‘마누팍투어’는 특별한 외장 색상 및 고품질 인테리어 소재를 고객 취향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메르세데스-벤츠 차량의 차별화된 디자인 옵션이다.

S-클래스, 메르세데스-AMG, 메르세데스-마이바흐, G-클래스 등 최상위 차량을 대표하는 모델 중심으로 적용되며, 특별한 색상, 소재, 수공예 마감의 세계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차량의 다양한 외장 페인트, 실내 가죽, 트림, 소재 등을 직접 만져보고 경험할 수 있는 ‘마누팍투어 스튜디오’를 부스 내 운영했다. 

스튜디오는 ‘내장 및 외장 컬러칩’, ‘가죽 내장재 원단’, ‘2열 헤드레스트 필로우’, ‘바닥 매트’, ‘대시보드 트림’ 등 실제 마누팍투어 프로그램을 이용할 때 차량에 적용하는 다양한 옵션들을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관련해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마티아스 바이틀 대표이사는 “지난 140여 년 동안 메르세데스-벤츠는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자동차 산업을 이끌어 왔으며, 그 여정 속에서 지켜온 핵심 가치는 고객이 꿈꾸는 자동차를 만들겠다는 것”이라 말했다.

이어 “이번 모터쇼에서 선보이는 최상위 차량들과 마누팍투어 프로그램은 메르세데스-벤츠가 국내 고객분들의 높은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해 온 결과다”라고 전했다.

< 마이바흐 S680 디테일 컷 >

Mercedes-Maybach S-Class S680 4MATIC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Photo]

포뮬러 바오 바오5

[2025 서울 모빌리티쇼 = 모터로이드] BYD가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 친환경 기술에 있어 첨단 기술 리더십을 갖춘 BYD의 주요 브랜드 대표 모델 8종을 선보였다.

소형 전기 SUV 'BYD 아토 3'와 올해 출시 예정인 퍼포먼스 중형 전기 세단 BYD 씰과 스타일리시 중형 전기 SUV '씨라이언 7'과 함께, 전기 슈퍼 스포츠카 'U9', 고급 브랜드 덴자의 럭셔리 7인승 플러그인하이브리드 'MPV D9', 'Z9GT' 등을 국내에 처음 전시해 BYD의 혁신적인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이 가운데 전문 개성화 브랜드 포뮬러 바오의 플러그인하이브리드 SUV 'BAO 5'는 박스형 스타일의 강인한 외관과 고급스러운 실내 공간으로 시선을 사로잡았다.

포뮬러 바오(FORMULA BAO, 方程豹) 브랜드의 첫 번째 SUV 모델인 '바오5(BAO 5)'는 오프로드 지향 중형 SUV이다.

바오5는 DMO(Dual Mode Off-Road) 슈퍼 하이브리드 기술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DMO는 BYD의 하이브리드를 위해 설계된 혁신적인 비하중 프레임과 전문화된 오프로드 하이브리드 아키텍처를 결합해 DiSus-P 지능형 유압 차체 제어 시스템을 오프로드 성능과 편안한 경험 사이의 최적화된 균형감을 확보했다.

유압식 차체 제어 시스템 DiSus-P 등 BYD의 핵심 기술이 탑재되어 있다. 최대출력 505kW(약 700마력)의 강력한 성능을 가졌으며 정지상태에서 100km/h 가속까지 걸리는 시간은 4.8초다.

차체 크기는 전장 4,890mm, 전폭 1,970mm, 전고 1,920mm이며, 휠베이스는 2,800mm다.

관련해 BYD 아시아태평양 자동차 영업사업부 류쉐량 총경리는 “BYD는 탑승자의 안전과 주행 성능 그리고 친환경성까지 모두 아우르는 첨단 기술 개발을 위해 정진하고 있다”라며 “첨단 기술을 모두에게 공유함으로서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고, 재미있는 e모빌리티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힘써 나갈 것”이라 전했다.

한편, BYD는 이번 모빌리티쇼에서 'BYD Tech Wave' 컨셉의 부스 디자인을 통해 혁신적인 기술로 기후 변화라는 거대한 파도를 헤쳐나가는 BYD의 도전 의지를 표현하고자 혁신, 스마트 라이프스타일, 최첨단 기술 등을 강조한 각 브랜드 존의 공간 구성을 통해 브랜드의 미래지향적 방향성을 시각적으로 구현했다.

 

< BYD 포뮬러 바오 바오5 디테일 컷 >

FORMULA BAO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더 뉴 아이오닉 6

[2025 서울 모빌리티쇼 = 모터로이드] 현대차가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 참가, 완전히 새로워진 전용 전기차 ‘더 뉴 아이오닉 6(The new IONIQ 6)’를 최초 공개했다.

더 뉴 아이오닉 6는 22년 9월 출시한 아이오닉 6의 부분변경 모델로, 현대차의 전동화 시대 새로운 디자인 유형인 '일렉트리파이드 스트림라이너' 콘셉트를 계승하면서도 보다 매력적인 곡선미와 아름다운 비례감으로 날렵한 이미지가 극대화된 실루엣을 갖추고 새롭게 탄생했다.

현대차 아이오닉 6는 '정제된 순수한 흐름'이라는 진화된 콘셉트에 기반해 차체 흐름을 더욱 정교하고 자연스럽게 연결하는데 집중했다.

구체적으로 최전방 후드 시작점을 상향시키고, 기존 후드를 상어의 코를 연상시키는 샤크노즈 형상의 롱후드로 개선해 마치 공기를 가르며 질주하는 듯한 인상을 구현했다.

또 기존의 돌출형 스포일러를 없애고 덕 테일 스포일러를 연장해 공력성능은 유지하면서 날렵한 측면 윤곽을 완성했다.

헤드램프는 기존의 통합형 디자인에서 벗어나 미끈한 주간주행등과 메인 램프로 나눠 새로우면서도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로 거듭났고, 도어 하단부까지 늘린 블랙 가니시는 차체가 한껏 늘씬해진 느낌을 선사한다.

함께 공개한 '더 뉴 아이오닉 6 N Line'은 ‘22년 공개된 롤링랩, ‘RN22e’의 디자인 DNA를 계승해 스포티한 감각을 더했다.

날개를 연상시키는 가니시가 적용된 범퍼 디자인은 더 뉴 아이오닉 6 N Line의 인상을 한껏 스포티하고 공격적으로 변모시켜주고, 하나의 선을 입혀 강조된 사이드 실은 하체를 감싸며 시각적으로 자세를 한껏 낮춰준다.

더 뉴 아이오닉 6의 내장 디자인은 ‘나만의 안식처’ 콘셉트를 유지하며 보다 편안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경험에 주안점을 두고 개선했다.

센터 콘솔 구성요소의 배치를 다듬어 사용자 활용도와 편의성을 강화했으며, 도어 트림 소재의 경우 고급 내장재 생산에 활용되는 IMG 공법을 도입해 고급감을 끌어올렸다.

IMG 공법은 진공성형을 통해 사출된 사출물 표면에 엠보 처리된 스킨을 부착하는 기술로, 고급 내장재 생산에 주로 활용되고 있다.

관련해 현대차 현대디자인센터장 사이먼 로스비 전무는 더 뉴 아이오닉 6의 디자인을 소개하며 “아이오닉 6는 하나의 ‘일렉트리파이드 스트림라이너’로 시작해 이제는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모델 라인업으로 확장되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정제된 순수한 흐름이라는 진화된 디자인 콘셉트 아래 아이오닉 6의 디자인 디테일들을 더욱 정제되고 진보적인 방향으로 다듬어냈다”고 전했다.

< 더 뉴 아이오닉 6 디테일 컷 >

The new IONIQ 6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