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영국 애스턴마틴이 2인승 스피드스터 'DBR22'를 공개했다. 

DBR22는 애스턴마틴의 인하우스 비스포크 전담부서인 'Q 바이 애스턴마틴(Q by Aston Martin)' 출범 10주년을 기념하는 스페셜 모델로, 10대 내외의 소수 물량만 한정 생산될 예정이다. 

DBR22는 1959년 르망24시에서 우승을 안겨준 V12 스피드스터 ' DBR1'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됐다.

당시 로이 살바도리(Roy Salvadori)와 캐롤 쉘비(Carroll Shelby)가 운전대를 잡고 거둔 우승은 애스턴마틴 모터스포츠 역사에서 위대한 업적으로 기록되고 있다. 

전반적인 디자인은 오픈톱 형태의 볼륨감 넘치고 매끈한 바디를 특징으로 하며, 과거 DBR1의 모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모습이다. 

특히 바디 패널을 최소한 설계를 통해 근육질이 돋보이는 바디의 우아함을 강조했으며, 전면부는 카본 소재로 제작한 새로운 프론트 그릴이 적용됐다. 또 차량의 보닛에는 엔진 냉각과 공기의 흐름을 돕기 위해 움푹 파인 커다란 통풍구가 마련됐다. 

측면부는 DBR22 전용 21인치 알로이휠이 장착된 것이 눈길을 끌며, 해당 경량휠은 모터스포츠에서 파생된 센터-락 허브와 14-스포크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후면부는 가로 수평형의 얇고 기다란 테일램프를 적용해 세련미를 더했고, 정교하게 새겨진 애스턴마틴 영문 레터링과 리어 디퓨저 등이 적용됐다. 

실내는 카본 소재를 광범위하게 사용해 클래식과 현대적 감성이 공존하도록 꾸몄다. 최신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와 새로운 대시보드를 통해 깔끔한 실내 구성을 완성했다. 대시보드와 시트 등에는 부드러운 가죽을 사용해 고급감을 더했다. 

차내에는 5.2리터 V12 트윈터보 엔진이 탑재돼 최고출력 715마력(PS), 최대토크 753Nm(76.7kg.m)의 성능을 낸다. 정지 상태에서 60mph(96km/h)까지는 3.4초가 소요되며, 최고 속도는 319km/h다. 

이외에도 적응형 댐퍼에 대한 맞춤형 보정을 통해 비틀림 강성을 개선하고, 제동력 향상을 위한 고성능 브레이크 시스템 등이 적용됐다.   

DBR22의 생산은 맞춤형 제작 비스포크 전담부서 'Q 바이 애스턴마틴'이 맡으며, 콘셉트카 형태로 제작된다. 

한편 애스턴마틴의 특별차량전담부서 'Q 바이 애스턴마틴'은 고객이 원하는 색, 디자인, 이미지, 소재 등 모든 것을 실현해 주는 맞춤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DS 4 트로카데로

DS오토모빌이 프리미엄 해치백 DS 4의 엔트리 트림인 '트로카데로(Trocadero)'를 국내 공식 출시한다.

DS 4는 DS가 2014년 브랜드 독립 이후 글로벌 시장에 4번째로 내놓은 완전변경 신차로, 국내에는 지난 7월 상위 트림인 리볼리로 먼저 소개됐다.

이번에 새롭게 추가되는 트로카데로는 DS 4의 독창적이고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운동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합리적인 상품 및 가격 구성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외관은 DS 고유의 아방가르드 정신을 바탕으로 해치백과 쿠페형 SUV의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스타일을 갖췄다. 특히 DS 4는 제37회 국제자동차페스티벌에서 '2022 올해의 가장 아름다운 자동차'로 선정되는 등 완성도 높은 디자인으로 인정받고 있다. 전후면 모두 LED 램프로 구성했으며,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램프가 고급감을 더한다.

실내는 심미적이면서도 기능성을 고려해 설계됐다. DS E-토글 스위치는 기존 기어 변속기를 대체해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했으며, 공조장치 DS 에어는 송풍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미니멀한 디자인으로 마감했다. 기본 적용된 7인치 디지털 계기판과 10인치 풀 HD 인포테인먼트 스크린은 차내 각종 기능과 무선 애플 카플레이 및 구글 안드로이드 오토 등 인포테인먼트의 편리한 사용을 돕는다. 무선 충전 패드도 마련됐다.

차내에는 직렬 4기통의 1.5리터 블루HDi 엔진과 8단 자동 변속기가 탑재되며, 최고출력 131마력, 최대토크 30.6kmg으로 리볼리 트림과 동일하다. 공차 중량은 1,430kg으로 상위트림 대비 45kg 더 가볍다. 이를 통해 리터당 효율이 소폭 상승, 복합 기준 16.5km, 도심 15.2km, 고속도로 18.6km에 달한다.

기본 트림임에도 불구,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도 대거 탑재됐다.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 운전자 주의 알람 시스템, 교통 표지 인식 시스템, 전방 충돌 알람 시스템, 사각지대 충돌 알람 시스템, 전후방 주차 보조 시스템, 후방 카메라 등이 기본 적용됐다.

관련해 스텔란티스 코리아 제이크 아우만 사장은 "지난 7월 한국 시장에 선보인 DS 4 리볼리 트림이 빼어난 디자인과 높은 상품성으로 큰 관심을 받은 만큼, 더욱 많은 소비자들이 DS 4를 경험할 수 있도록 구매 장벽을 낮춘 트로카데로 트림을 추가하게 됐다"라며, "개선된 효율과 더욱 합리적인 가격 구성으로 경쟁력을 갖춘 DS 4를 만나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DS 4 트로카데로 트림의 가격은 4,460만 원이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ID.4

국내 출격을 앞두고 있는 폭스바겐의 전기차 'ID.4'의 국고보조금이 공개됐다.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에 따르면 폭스바겐 ID.4 Pro의 국고보조금은 651만 원이다. ID.4의 국고보조금이 651만 원으로 책정된 것으로 보아, 국내 가격을 보조금 100%를 받을 수 있는 5,500만 원 수준으로 책정한 것으로 보인다. 

ID.4 Pro의 국내 인증 주행거리는 상온 405km, 저온 288km(20인치 타이어 기준)이다. 독일 츠비카우 공장 내 같은 라인에서 생산되는 형제 모델인 아우디 Q4 e-트론 40(368km), 아우디 Q4 스포트백 e-트론 40(357km) 보다는 높다. 

다만 저온주행거리가 상온 대비 71.1% 수준에 그치며, 100km 이상 큰 폭 차이가 난다. 저온 주행거리가 상온 대비 30% 가량 떨어지는 수준으로, 저온에서의 낮은 주행거리 효율은 다소 아쉬운 점으로 꼽힌다. 

차내에는 82kWh 용량의 배터리팩과 150kW(최고출력 204마력, 최대토크 31.6kg.m) 싱글 전기모터가 결합된다.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는 8.5초가 소요되며, 최고 속도는 160km/h로 제한된다. 

ID.4는 환경부 배출가스 및 소음 인증을 마치고 막바지 국내 출시 준비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폭스바겐은 전기차 ID.4를 통해 국내서 디젤차 위주의 라인업을 꾸리며 '디젤차 재고떨이' 브랜드로 비쳤던 과거 이미지 쇄신에 나설 전망이다. 

폭스바겐은 골프, 파사트 GT, 티록 등 디젤 엔진이 탑재된 차종으로 국내 라인업을 꾸리며 환경에 대한 배려를 도외시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메르세데스-벤츠나 BMW, 아우디 등 국내 진출해있는 수입 브랜드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나 가솔린차 비중을 크게 늘리는 등 디젤차 판매 비중을 30% 이하로 대폭 낮추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폭스바겐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비판은 지속돼 왔다.

이에 따라 폭스바겐은 올해부터 가솔린 모델뿐 아니라 전기차를 새롭게 투입, 디젤차 비중 낮추기에 돌입할 전망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폭스바겐이 '디젤 일색'의 이미지를 떨쳐내고 새로운 방향 전환에 나섰다는 분석이 함께 나온다.

국내 시장 투입을 앞둔 ID.4는 올 초부터 전국 영업점을 통해 비공식 사전계약을 받기 시작했으며, 그 대기 수요가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공식 사전계약만으로도 상당한 출고 대기가 밀려있어 초반부터 상당한 출고 지연이 예상된다. 

폭스바겐이 가솔린 엔진, 전기 모터가 탑재된 신모델을 대거 투입해 디젤 일색의 이미지를 떨치고 새로운 전환을 맞이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GT500 코드 레드

포드의 전문 튜너 쉘비 아메리칸(Shelby American)이 2022 우드워드 드림 크루즈(Woodward Dream Cruise)서 궁극의 머스탱 'GT500 코드 레드'를 공개했다. 

GT500 코드 레드는 2020년부터 매년 10대 한정 생산되고 있는 강력 트랙 머신으로, 2022년 한정 물량 10대를 포함해 총 30대가 제작될 예정이다. 

GT500 코드 레드가 주목받는 이유는 일반적인 양산형 모델에서 접해볼 수 없는 폭발적인 성능에 있다.

5.2L V8 트윈 터보 엔진이 탑재된 해당 차량은 최고출력 1,000마력, 최대토크 1,058Nm(93 옥탄가 기준)의 성능을 발휘하며, 에탄올 비율이 높은 'E85' 연료 주입 시 최고출력 1,300마력, 최대토크 1,356Nm의 파워를 낸다.

이는 평범한 머스탱 튜닝카로는 흉내 낼 수 없는 수준의 출력이며, 새로운 엔진 컨트롤 시스템과 맞춤형 피스톤, 더 큰 인터쿨러, 개선된 인젝터, 고성능 배기 시스템 등 대대적인 성능 업그레이드의 결과물이다. 

디자인은 쉘비 와이드바디 외장 패키지를 적용해 한층 강력한 외관을 완성했다.

카본 소재로 제작된 보닛과 프론트 스플리터, 리어 디퓨저 등이 적용됐고, 측면에는 20인치 경량 알루미늄 휠과 고성능 피렐리 P-제로 타이어(앞 205/30R 20, 뒤 345/30R R20)가 눈길을 끈다. 후면부에는 다운 포스를 위한 거대한 리어 윙도 탑재됐다. 

이 외에도 코드 레드 모델 전용 서스펜션 튜닝이 적용돼 최저지상고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실내는 뒷좌석 시트가 제거됐고, 추가적으로 카본 실내 장식과 한정판 넘버링이 새겨진 뱃지가 적용됐다. 

GT500 코드 레드의 가격은 20만 9,995달러(한화 약 2억 8,300만 원, 머스탱 쉘비 GT500를 제외한 업그레이드 패키지 비용)이다. 

머스탱 GT500 코드 레드 디테일 컷 >

Shelby Mustang GT500 Code Red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베뉴 N라인

현대차 인도 법인은 내달 공식 출시를 앞둔 '베뉴 N라인(VENUE N Line)'의 내외장 디자인을 공개했다. 

베뉴 N라인은 i20 N라인에 이어 인도 시장에 투입되는 두 번째 퍼포먼스 모델로, 베뉴 부분변경(페이스리프트)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외장 디자인은 현대차의 대형 SUV '더 뉴 팰리세이드'를 닮은 외모에 N라인 특유의 스포티함을 가미한 스타일링을 특징으로 한다. 

변경된 전면부 그릴과 헤드램프 디자인이 더 뉴 팰리세이드와 패밀리룩을 이루며, 한층 과감한 스타일링으로 많은 변화가 감지된다.

라디에이터 그릴은 파라메트릭 실드 패턴을 새롭게 적용했고, N라인 전용 범퍼와 스키드 플레이트, 레드 악센트가 들어간 펜더와 사이드실 등이 눈길을 끈다. 

또 사각의 헤드램프과 분리된 주간주행등(DRL) 형태는 기존의 형상을 유지했으며, 후면부 범퍼는 전면부와 마찬가지로 와이드한 형상에 리플렉터와 후진등을 배치했다.

이 외에도 16인치 크기의 N라인 전용 휠과 레드 브레이크 캘리퍼, 확장된 스포일러, 크롬 머플러, N라인 전용 뱃지 등으로 스포티한 분위기를 더했다. 

실내는 올-블랙 대시보드를 기반으로 하며, 기어노브와 스티어링휠, 시트 등 내부 곳곳에 레드 컬러로 포인트를 줬다. 또한 N라인 엠보싱과 N 스티어링 휠, 스포츠 시트, 알루미늄 페달, 패들 시프등 등이 적용됐다. 

차내에는 1.0리터 3기통 가솔린 엔진이 7단 DCT 자동 변속기의 조합으로 최고출력 120마력(PS), 최대토크 172Nm(17.5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더 역동적인 운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개선된 서스펜션과 스티어링 튜닝 작업이 이뤄졌으며, 향상된 제동력을 위해 4개의 디스크 브레이크가 함께 제공된다. 

외장 컬러는 폴라 화이트(Polar White), 쉐도우 그레이(Shadow Grey), 썬더 블루(Thunder Blue) 등의 컬러 중 선택할 수 있다. 

베뉴 N라인은 한층 스포티한 매력을 원하는 고객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현대차 인도 법인은 현재 베뉴 N라인의 예약을 받고 있다. 

베뉴 N라인은 오는 9월 6일 인도 시장에 공식 출시될 예정이며, 국내 출시 여부는 미정이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그랜저 풀체인지 (7세대, GN7)

올 하반기 출격을 앞둔 현대차 신형 그랜저(7세대, GN7)의 티저 이미지가 공개됐다.

신형 그랜저는 과거 성공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1세대 각 그랜저'의 헤리티지를 계승하고, 5m가 넘는 대형차급 차체를 통해 국산 플래그십 세단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개된 티저 이미지에는 정통 세단 형태의 전반적인 실루엣과 독특한 윈도우 라인, 램프류 등의 모습이 담겼다. 

특히 전면부 좌우를 가로지르는 기다란 주간주행등(DRL)이 눈길을 끌며, 후면부는 얇고 슬림한 가로 수평형의 테일램프로 세련된 분위기를 풍긴다. 측면부 C 필러 영역에는 뒷좌석과 구분되는 윈도우가 마련됐다.

또한 5m가 넘는 기다란 전장을 살펴볼 수 있는데, 신형 그랜저는 제네시스 G80보다 긴 차체를 가질 것으로 알려졌다. 

파워트레인의 경우, K8과 동일한 2.5L 및 3.5L GDi 가솔린 엔진, 3.5L LPG 등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향후 순수 전기 버전도 내놓을 예정이다. 또 차세대 플래그십 세단인 만큼 5인승 모델 외에도 독립형 4인승 모델도 출시될 것으로 알려져 기대가 쏠리고 있다. 

현대차는 신형 그랜저의 모습이 담긴 영상을 자사의 주요 채널에 공개하는 등 데뷔 전 대대적인 신형 그랜저 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한편 신형 그랜저는 티저 이미지가 공개되기 이전부터 선 계약만 4만 대가 돌파할 정도로 대기 수요가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더 이상 사전계약을 받지 않는다고 밝혔으며, 이미 4만 명 이상의 대기 수요가 채워졌기 때문에 출시 초반부터 출고 지연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메르세데스-AMG GT3 에디션 55

창립 55주년을 맞이한 메르세데스-AMG가 특별함을 품은 '메르세데스-AMG GT3 에디션 55'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메르세데스-AMG GT3 에디션 55(Mercedes-AMG GT3 Edition 55)는 강력한 퍼포먼스를 자랑하는 'AMG GT3'를 기반으로 하며, 5대 소량 한정 생산돼 더욱 특별한 가치를 지닌다. 

특히 에디션 55가 AMG 브랜드 출범 55주년을 기념하는 만큼, AMG 본연의 가치를 드러내는 독특한 디자인 요소들이 대거 반영됐다. 

메르세데스-AMG GT3 에디션 55는 고유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AMG만의 매력을 제대로 느낄 수 있도록 전용 외장 데코와 레터링 등의 디테일을 더했다. 

거대한 리어윙과 차량 곳곳에 새겨진 55주년 레터링이 눈길을 끌며, 도어에는 AMG의 본고장인 '아팔트바흐(Affalterbach)' 엠블럼이 크게 새겨졌다.

실내는 카본 소재를 사용해 스포티한 분위기를 완성했고, 실버 엑센트가 들어간 안전벨트 등이 적용됐다.

차내에는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6.3L V8 엔진이 탑재, 최고출력 650마력의 출력을 낸다. 이는 FIA 인증 버전보다 약 100마력(73kW)이 더 향상된 출력이다.

이뿐만 아니라 고성능 배기 시스템에 의무적으로 적용됐던 소음기를 제거해 더 생동감 넘치는 사운드를 느껴볼 수 있다.   

또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쉬(Bosch)에서 공급하는 최신 DDU(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며, 고해상도 그래픽 스크린을 통해 차량의 속도와 엔진 상태, 작동 온도, 랩 타임 등의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시동을 걸면 화면에 뜨는 AMG 55주년 로고, 독점 제공되는 IWC 파일럿 크로노그래프 워치, 한정판 넘버링(Edition 55 - 1 of 55) 등을 특징으로 한다. 

메르세데스-AMG GT3 에디션 55은 전 세계 5대 한정 생산되며, 가격은 62만 달러(한화 8억 2,600만 원)이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EV9

위장막을 뒤집어쓴 채 막바지 주행 테스트에 한창인 기아의 순수 전기차 'EV9'가 포착됐다.  

기아는 내년 1분기 글로벌 데뷔를 앞둔 대형 전기 SUV 'EV9'의 최종 테스트 프로그램과 세부 내용을 공개했다. 

EV9는 디자인, 성능, 주행거리, 기술 및 편의 사양, 내구성 등을 시험하기 위해 남양연구소에서 차량의 한계치까지 테스트 중이며, 모든 측면에서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기 위해 44개월간의 개발 기간을 거친 것으로 알려졌다. 

콘셉트 EV9

특히 EV9는 4륜 구동으로 거친 지형의 트랙을 오르고 물길을 질주하는 등 가혹 조건에서 구동 테스트와 도강 테스트를 하며 강도 높은 검증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또 기아에 따르면, 한국에서의 테스트 이외에도 유럽 벨기 자갈도로, 독일 뉘르부르크링, 오프로드 암벽 주행 등 글로벌 전역의 다양한 주행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콘셉트 EV9

기아는 EV9가 유럽 올해의 차에 선정된 브랜드 첫 전용 전기차 EV6의 성공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EV9는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하는 기아의 두 번째 전용 전기차로, 브랜드의 새로운 디자인 철학인 '오퍼짓 유나이티드'가 반영된 것이 특징이다.

EV9는 2022 부산국제모터쇼에 등장해 관심을 사로잡았던 '컨셉트 EV9'의 디자인과 디테일 요소들이 반영될 것으로 알려져 큰 기대를 사고 있으며, 내년 상반기 중 출시될 예정이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Column]

캐딜락

아메리칸 럭셔리 브랜드 캐딜락이 브랜드 설립 120주년을 맞이했다.

캐딜락은 1902년, 미국 디트로이트(Detroit)가 자동차 산업 중심지로 도약하는데 크게 일조한 '헨리 릴런드'에 의해 설립된 이후 기술, 디자인 및 혁신의 측면에서 120년 동안 업계 최고의 리더십을 발휘하며 '아메리칸 럭셔리'를 상징하는 브랜드로 성장해왔다.

캐딜락 1902 모델 A (Model A)

그리고 1903년, 단기통 10마력 엔진을 장착해 브랜드 최초로 출시한 '모델 A'를 통해 당시 우수한 성능과 정밀한 기술을 인정받아 미국 상류사회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하며 럭셔리 브랜드의 초석을 다졌다.

캐딜락 1927 라살(LaSalle)

특히 1908년과 1912년에는 각각 세계 최초 자동차 부품 표준화 및 세계 최초 전자식 '셀프-스타터'를 개발해 영국 왕실 자동차 클럽으로부터 드와 트로피를 수상하는 등 혁신적인 기술력을 통해 자동차를 위한 '세계의 표준'을 제시했다.

캐딜락 1936 60 스페셜 (60 Special)

또한 캐딜락은 세계 최초 V8 엔진 양산 시작(1914년), 세계 최초 V16 엔진 개발(1930년), 미국 최초 자동차 선루프 상용화(1938년), 4단 하이드라-매틱 자동 변속기 출시(1941년), 업계 최초 커브드 윈드실드 장착(1948년), 업계 최초 기상변화에 따른 자동 헤드램프 활성화 기능 장착(1964년), 미국 최초 쿨링 시스템 장착(1968년), 업계 최초 어댑티브 시팅 적용(1998년) 등 자동차 업계를 선도하는 테크놀로지를 통해 브랜드 가치를 증명했다.

캐딜락 1918 타입 57(Type 57)

캐딜락 브랜드는 한국과도 연이 깊다. 한국에서 캐딜락의 첫 시작은 대한제국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처음으로 한국에 소개된 캐딜락 모델은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의 어차로 '국가등록문화재 318호'로 지정돼 있는 '1918년식 타입 57 리무진'이다.

캐딜락 1976 플리트우드 엘도라도 컨버터블 (Fleetwood Eldorado Convertible)

특히 20세기 중반, 캐딜락 세단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캐딜락 플리트우드' 시리즈는 대한민국의 역대 대통령과 각계 각층의 리더를 의전용으로 활용되며 한국 시장에서 캐딜락의 위상을 높였다.

캐딜락 1992 알란테 쿱(Allante Coupe)

캐딜락은 1996년, 국내 공식 직판 시스템을 구축하며 국내 고객에게 다양한 제품을 소개하고 차별화된 '아메리칸 럭셔리(American Luxury)'를 제공하기 시작해 상품성과 브랜드 가치를 인정받아 왔다.

캐딜락 2004 CTS-V

특히 2020년부터, 퍼포먼스 세단 CT4, 럭셔리 중형 세단 CT5, 엔트리급 럭셔리 SUV XT4, 어반 럭셔리 SUV XT5, 대형 3열 럭셔리 SUV XT6, 초대형 플래그십 SUV 에스컬레이드 등을 새롭게 출시하며 세단과 SUV를 아우르는 제품 라인업을 완성했다.

캐딜락 2014 에스컬레이드(Esclade)

캐딜락은 올해도 제품군을 적극적으로 넓히며 브랜드 가치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 지난 2월 국내 출시한 에스컬레이드 ESV는 압도적인 사이즈와 디자인에서 비롯된 특유의 웅장함, 뛰어난 기술력을 모두 갖춰 ‘SUV의 제왕’이라는 타이틀을 얻을 만큼 초대형 SUV 시장에서 독보적인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캐딜락_CT5-V 블랙윙

또 캐딜락 역사상 가장 강력한 677마력의 '6.2L 핸드 빌트 슈퍼차저 V8' 엔진을 얹어 역대급 퍼포먼스를 완성한 CT5-V 블랙윙은 지난 3월 출시돼 캐딜락의 오랜 레이싱 헤리티지에 대한 경험을 전달하며 브랜드의 특별한 매력을 선사하고 있다.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캐딜락은 GM 그룹의 럭셔리 브랜드로 역할을 다하는 만큼, 앞으로도 국내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아메리칸 럭셔리에 대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도를 이어 나간다는 방침이다. 

캐딜락 리릭

특히 브랜드 최초 전기차 '리릭'을 시작으로 브랜드 전동화 모델을 국내 시장에도 발빠르게 도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채널을 통해 소통해 나갈 전망이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에어 사파이어

테슬라 대항마로 주목받는 루시드가 고성능 전기 스포츠 세단 '에어 사파이어(Air Sapphire)'를 공개했다. 

에어 사파이어는 최고출력 1,200마력 이상의 성능을 발휘하는 전기 스포츠 세단으로, 이전의 에어 퍼포먼스 모델보다 더욱 강력하다. 이는 대표적인 경쟁 차종인 테슬라 모델 S 플레이드(1,020마력)를 능가하는 수준이다. 

에어 사파이어가 폭발적인 파워를 낼 수 있는 요인으로는 3개의 전기 모터가 꼽힌다. 앞 차축에 1개, 후방에 2개의 전기 모터가 각각 탑재돼 동력을 전달한다. 

덕분에 최고출력 1,200마력의 강력한 파워를 발휘,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2초 안에 도달한다. 160km/h까지는 4초 미만의 시간이 소요되며, 쿼터마일(1/4마일, 402.3미터)은 9초 이내에 돌파한다. 최고속도는 320km/h다. 

빠른 스피드와 넘치는 출력을 컨트롤하기 위한 거대한 카본 세라믹 브레이크 시스템과 새로운 서스펜션, 댐퍼, 안티 롤 바 등이 적용됐다. 또 파워 스티어링과 ABS 시스템의 성능 개선도 이뤄졌다. 

타이어는 고속 주행에도 안정적인 차량의 밸런스를 위해 광폭 타이어(앞 265/35 R20, 뒤 295/30 R21)가 장착됐다.

외관은 스텔스 룩(Stealth Look) 패키지를 기본 제공, 딥블루 느낌의 사피이어 블루 컬러가 적용돼 한층 스포티한 외관을 완성했다.

실내는 확장된 사이드 볼스터와 통합형 헤드레스트가 적용된 스포츠 시트, 고급 소재인 알칸타라로 감싼 스티어링 휠, 디지털 클러스터 등을 특징으로 하며, 대형 커브드 디스플레이와 와이드 터치 스크린을 적용해 미래지향적인 분위기를 낸다. 

에어 사파이어 에디션의 가격은 24만 9,000달러(한화 약 3억 3400만원)으로 책정됐으며, 루시드는 내년 본격적인 고객 인도를 개시할 전망이다. 

< 루시드 에어 사파이어 에디션 디테일 컷 >

Lucid Air Sapphire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