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더 2025 쏘렌토

기아(KIA)가 중형 SUV 쏘렌토의 연식 변경 모델인 '더 2025 쏘렌토'를 공식 출시, 본격 시판에 돌입한다. 

이번에 선보이는 '더 2025 쏘렌토'는 고객들이 선호하는 고급 안전 및 편의사양을 대폭 확대 적용해 상품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기아는 신규 사양인 스티어링 휠 진동 경고(햅틱) 및 선바이저 LED 조명을 전 트림에 기본 적용하고, 고객 선호도가 높은 스마트 파워테일게이트를 엔트리 트림인 프레스티지부터 기본화해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켰다.

또한 기존에 선택 사양으로 운영되던 기아 디지털 키 2, 터치타입 아웃사이드 도어핸들, 지문 인증 시스템 등 첨단 편의 사양을 시그니처 트림부터 기본화해 고객 만족도를 높였다.

이밖에도 시그니처 트림부터 적용됐던 디지털 센터 미러를 하위 트림인 프레스티지와 노블레스 트림에서도 선택할 수 있게 해 고객 선택권을 넓혔다.

디자인 특화 트림인 그래비티에는 전용 색상이 적용된 도어 사이드 가니쉬를 추가하고 블랙 스웨이드 내장재를 기본화해 고급스럽고 세련된 이미지를 극대화했다.

더 2025 쏘렌토의 가격은 2.5 가솔린 터보 모델 프레스티지 3,605만 원, 노블레스 3,891만 원, 시그니처 4,202만 원 , 그래비티 4,291만 원이며, 2.2 디젤 모델, 프레스티지 3,778만 원, 노블레스 4,064만 원, 시그니처 4,375만 원, 그래비티 4,464만 원이다.

1.6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2WD 모델은 프레스티지 3,885만 원, 노블레스 4,181만 원, 시그니처 4,464만 원, 그래비티 4,553만 원이며, 4WD 모델은 프레스티지 4,260만 원, 노블레스 4,557만 원, 시그니처 4,840만 원, 그래비티 4,929만 원이다. 

관련해 기아 관계자는 “올해 쏘렌토는 RV 차종 중 처음으로 상반기 국내 판매 1위를 차지하고, 월간 판매 1위도 놓치지 않고 있다”라며, “이번 연식변경 모델은 고객 선호 사양을 추가하고 트림별로 첨단 편의 사양을 기본화해 상품 경쟁력을 한층 더 높였다”고 말했다.

이어 “더욱 향상된 상품성을 바탕으로 RV 1위를 넘어 국내 베스트셀링카로 자리매김하겠다”라고 전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더 뉴 쏘렌토 vs 디 올 뉴 싼타페

기아(KIA)가 4세대 쏘렌토의 상품성 개선 모델인 '더 뉴 쏘렌토'를 공식 출시, 본격 시판에 나선다. 

4세대 기아 쏘렌토는 지난 2020년 첫 출시 후 매년 국내에서 6만대 이상 판매되며 3년 연속 중형 SUV 시장 1위를 지켜온 인기 모델이다.

이번에 선보이는 쏘렌토의 상품성 개선 모델은 기아 디자인 철학인 '오퍼짓 유나이티드'에 기반한 세련되고 강인한 외관과 함께 개방감과 편의성을 겸비한 실내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기아는 브랜드 디자인 철학 오퍼짓 유나이티드의 자연과 조화되는 대담함에서 영감을 받아 쏘렌토의 내외장 디자인을 신차 수준으로 변경해 고급감을 한층 끌어올렸다. 

외장은 '미래적인 대담함'이라는 콘셉트로 미래지향적이고 다부진 SUV 디자인을 갖췄다. 전면부는 라디에이터 그릴과 '시그니처 스타맵 라이팅' 주간주행등이 조화롭게 배치됐고 볼륨감 있는 후드와 범퍼, 스키드 플레이트가 어우러지며 강인한 SUV의 모습을 보여준다.

측면부는 수직으로 배열한 헤드램프와 리어 콤비네이션램프가 캐릭터 라인을 따라 이어져 조화를 이루고 새로운 디자인의 알로이 휠을 적용해 단단하고 정제된 느낌을 강조했다. 후면부는 두 개의 리어 콤비네이션램프를 연결하는 스타맵 그래픽이 적용됐고 하단부 범퍼와 조화를 이루는 와이드한 리어 스키드 플레이트로 견고한 이미지를 구현했다.

실내는 '경계가 없는 이어짐'을 주제로 수평적인 조형을 통해 높은 개방감을 연출했다. 차내 12.3인치 크기의 클러스터와 내비게이션을 하나의 화면처럼 매끄럽게 연결한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기아의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ccNC’가 적용돼 다양한 정보를 통일감 있게 보여준다.

 

나아가 디자인 특화 트림 그래비티는 전용 디자인 라디에이터 그릴과 휠이 적용됐으며, 아웃사이드 미러 커버와 루프랙 등에 블랙 색상을 입히고 단단한 느낌을 주는 전후면 전용 스키드 플레이트와 전용 가죽 시트로 강인함과 고급감을 한 층 높였다.

색상은 볼캐닉 샌드 브라운, 시티스케이프 그린, 인터스텔라 그레이 등 3종을 추가한 외장 5종과 신규 색상 올리브 브라운을 포함한 내장 3종으로 운영된다.

기아는 새로운 모빌리티 경험을 선사할 다양한 첨단 사양을 쏘렌토에 대거 적용했다.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지원해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는 물론 고객이 서비스센터를 방문하지 않아도 차량 내 주요 제어기에 대한 업데이트가 가능하며, e 하이패스 기능이 추가돼 실물 하이패스 카드 없이 유료도로 통행료 결제가 가능하다.

또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영상 및 고음질 음원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데이터 환경을 제공하는 스트리밍 플러스를 적용, 서비스를 원하는 고객은 기아 커넥트 스토어를 통해 월 단위로 원하는 기간만큼 이용할 수 있다.

쏘렌토에 적용된 빌트인 캠 2는 전후방 QHD급 고화질 영상 및 음성을 외장 마이크로 SD 카드에 저장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기아 커넥트 앱과 무선으로 연결해 영상을 확인하고 다운로드 받을 수 있어 편의성이 높다.

기아 디지털 키 2는 운전자가 스마트키 없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워치를 지니고 차량으로 가까이 가면 도어 잠금을 해제하고, 시동을 걸 수 있게 해주며 사용자별 개인화 설정도 지원한다.

지문 인증 시스템은 시동을 걸거나 차량 내 간편 결제 또는 발레 모드 해제 시 인증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어 고객의 간편한 이동을 돕는다.

이 외에도 무선(OTA)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비롯한 e 하이패스, 스트리밍 플러스, 빌트인 캠 2, 기아 디지털 키 2 등 첨단 사양은 물론 전방 충돌방지 보조, 고속도로 주행 보조 2등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도 적용했다.

아울러 10 에어백 시스템, 프로젝션 타입 후진 가이드 램프 등 안전사양과 디지털 센터 미러, 스마트 파워테일게이트, 운전석 에르고 모션 시트, 1열 릴렉션 컴포트 시트 등 다양한 편의사양을 더해 탑승객의 안전하고 편안한 이동을 돕는다.

고객은 2.5 가솔린 터보, 2.2 디젤, 1.6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등 3가지 파워트레인과 프레스티지, 노블레스, 시그니처 트림 및 디자인 특화 트림 그래비티를 선택할 수 있다.

가격은 2.5 가솔린 터보 3,506만 원 ~ 4,193만 원, 2.2 디젤 3,679만 원 ~ 4,366만 원, 1.6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4WD 4,161만 원 ~ 4,831만 원이며, 하이브리드 2WD 모델은 친환경차 세제혜택 후 기준 3,786만 원 ~ 4,455만 원이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더 뉴 쏘렌토

기아(KIA)가 인기 중형 SUV 쏘렌토의 상품성 개선 모델인 '더 뉴 쏘렌토'의 디자인을 공개했다.

4세대 쏘렌토는 지난 2020년 출시 후 매년 국내에서 6만 대 이상 판매, 3년 연속 중형 SUV 시장 1위를 지키는 등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올해도 상반기까지 3만 6천 대 이상 판매되며 큰 사랑을 받고 있다.

기아는 더 뉴 쏘렌토에 브랜드 디자인 철학인 '오퍼짓 유나이티드'를 반영해 신차 수준으로 디자인을 변경했다.

이번에 선보이는 '더 뉴 쏘렌토'는 오퍼짓 유나이티드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키워드 중 '자연과 조화되는 대담함'을 기반으로 미래지향적인 세련미와 강인한 이미지가 조화를 이룬 외장과 첨단 기술 기반의 모던한 실내 디자인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외관은 '미래적인 대담함'이라는 콘셉트로 미래지향적이고 다부진 SUV 디자인을 갖췄다. 전면부는 입체감이 느껴지는 패턴 모듈이 적용된 라디에이터 그릴과 수직적인 이미지를 강조한 '시그니처 스타맵 라이팅' 주간주행등을 조화롭게 배치해 첨단기술로 진보한 차세대 모빌리티의 세련된 첫인상을 연출한다.

여기에 볼륨감이 한 층 강조된 후드가 차체를 더욱 커 보이게 하는 효과를 주고, 과감한 비례로 디자인한 범퍼가 하단부 스키드 플레이트와 어우러져 SUV로서 당당한 자신감 있는 이미지를 부여한다.

측면부는 수직으로 배열한 헤드램프와 리어 콤비네이션램프가 캐릭터 라인을 따라 이어져 조화를 이루고 새로운 디자인의 알로이 휠을 적용해 단단하고 정제된 느낌을 강조했다. 또 후면부는 두 개의 리어 콤비네이션램프를 연결하는 스타맵 그래픽을 적용하고 하단부 범퍼와 조화를 이루는 와이드한 리어 스키드 플레이트로 견고한 SUV의 이미지를 구현했다.

실내는 '경계가 없는 이어짐'을 주제로 수평적인 조형을 통해 와이드한 이미지를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12.3인치 크기의 클러스터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하나의 화면처럼 매끄럽게 연결한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기아의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ccNC'가 적용돼 다양한 정보를 통일감 있게 보여준다.

 

그 아래에 좌우 끝까지 이어지는 날렵한 송풍구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공조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는 전환형 조작계가 유기적이고 기술적인 조화를 이룬다. 센터 콘솔에 적용한 지문 인증 시스템은 시동을 걸거나 차량 내 간편 결제 또는 발레 모드 해제 시 인증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어 고객의 간편한 이동을 돕는다.

디자인 특화 트림 그래비티는 전용 디자인 라디에이터 그릴과 휠이 적용됐으며, 아웃사이드 미러 커버와 루프랙 등에 블랙 색상을 입히고 단단한 느낌을 주는 전ㆍ후면 전용 스키드 플레이트와 전용 가죽 시트로 강인함과 고급감을 한 층 높였다.

더 뉴 쏘렌토는 인터스텔라 그레이, 시티스케이프 그린, 볼캐닉 샌드 브라운 등 3종을 추가한 5종의 외장 색상과 신규 색상 블랙·올리브 브라운을 포함한 내장 색상 3종을 운영한다.

관련해 기아 관계자는 "기아 쏘렌토는 시대가 요구하는 디자인에 발맞춰 매 순간 가장 세련된 SUV의 기준을 제시하며 많은 고객의 사랑을 받아왔다"라며, "기존 쏘렌토를 계약하고 출고를 기다리시는 고객께는 순차적으로 안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기아는 가솔린과 디젤 모델, 그리고 하이브리드 4WD 모델은 8월 중순에 가격을 공개하고 출시할 예정이며 하이브리드 2WD 모델은 인증 절차가 완료되는 대로 환경친화적 자동차 세제 혜택 후 가격을 공개하고 출시할 예정이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현대차

현대차는 지난 9월 내수 5만 6,910대, 수출 29만 8,130대를 포함해 총 35만 5,040대를 판매했다고 밝혔다.

내수는 전년 동월 대비 29.8% 증가했다. 세단은 주력 세단 그랜저가 4, 643대, 아이오닉 6 2,652대, 소나타 4,585대, 아반떼 4,454대 등 총 1만 6334대가 팔렸다. RV는 팰리세이드가 3,464대, 싼타페 2,327대, 아이오닉 5 2,396대, 투싼 2,452대, 캐스퍼 4,032대 등 총 1만 7059대가 판매됐다.

이 외 포터는 8,503대, 스타리아는 2,814대 판매를 기록, 중대형 버스와 트럭은 2,554대 판매됐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G90 2,217대, G80 2,863대, GV80 1,527대, GV70 2,348대, GV60 332대 등 총 9646대가 팔렸다.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23.4% 증가한 29만 8,130대를 기록했다.

현대차는 코로나19 재확산세·반도체 부품 수급 차질·인플레이션 확대 및 경기 불황 등으로 어려운 경영 환경이 지속되고 있으며, 본격적으로 판매를 시작한 아이오닉 6를 비롯해 올해 말 신형 그랜저 등 경쟁력 있는 신차를 출시하고 생산 및 판매 최적화 전략 등을 통해 시장 점유율 확대와 수익성 강화를 이끌어낸다는 방침이다.

기아는 9월 글로벌 시장에서 내수 4만 9대, 수출 20만 9137대를 포함해 24만 9146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1.0% 증가한 수치다.

차종별 실적은 스포티지가 4만 2168대로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됐으며, 셀토스가 2만 8847대, 쏘렌토가 2만 122대로 뒤를 이었다.

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1.8% 늘었다. 지난달 내수에서 가장 높은 판매량을 기록한 차량은 쏘렌토(5,335대)로 기록됐다.

승용 모델은 K8 3,990대, 레이 3,860대, K5 2,055대, 모닝 1,940대 등 총 1만 3,000대가 판매됐다. 쏘렌토를 비롯한 RV 모델은 스포티지 4441대, 셀토스 3513대, 니로 2361대 등 총 2만 1325대가 판매됐다.

이 외에도 상용 모델은 봉고Ⅲ가 5303대 팔리는 등 버스와 트럭을 합쳐 총 5,684대가 판매됐다.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0.9% 증가한 20만 9137대를 기록했다. 차종별 해외 실적의 경우, 스포티지가 3만 7,727대 팔리며 해외 최다 판매 모델에 이름을 올렸고, 셀토스가 2만 5,334대, K3(포르테)가 1만4,952대로 뒤를 이었다.

기아는 코로나19 재확산·반도체 부품 수급 차질 등으로 경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이지만 유연한 반도체 배분과 차량 생산 일정 조정 등으로 공급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있으며, 향후 경쟁력 있는 신차와 내실 있는 판매 전략 등으로 시장 점유율과 수익성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반도체 수급난 등의 사유로 현대자동차그룹의 납기 지연이 이어지면서 차량 출고 지연이 지속되고 있다. 비인기 차종은 평균 6개월 안팎의 대기 기간이 소요, K5, K8 하이브리드 등의 인기 차종은 출고까지 1년 이상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제네시스의 주력 SUV 'GV80 2.5T' 모델은 출고까지 최장 2년 6개월 이상이 소요될 정도로 심각한 출고 지연을 겪고 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현대차그룹의 인기 하이브리드 차종들이 또 다시 품질 논란에 휩싸였다. 

최근 기아의 인기 SUV 모델인 '신형 쏘렌토 하이브리드'에서 달릴수록 엔진 오일이 오히려 증가하는 문제로 고객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

엔진오일 증가 문제로 자동차 결함 신고가 폭주하고 있다 (자동차 리콜 센터 캡쳐)

이런 현상은 쏘렌토뿐 아니라 싼타페, 투싼, 스포티지, K8 등 현대차그룹의 다른 하이브리드 차종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차량 소유주 사이에서 일파만파로 퍼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온라인 동호회, 커뮤니티 등에는 이번 엔진오일 이슈와 관련한 우려 섞인 게시글들이 계속해서 올라오고 있다. 

문제를 제기한 차량 소유주들의 게시글 가운데는 "달릴수록 엔진오일이 오히려 증가했다", "엔진오일에서 휘발유 냄새가 많이 난다", "같은 문제로 엔진오일을 교체해 봤으나 동일 증상이 재발했다", "엔진오일 증가 문제로 센터에 방문했으나 별다른 해결책을 받지 못했다" 등의 글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일부 차주들은 엔진오일에서 휘발유 냄새가 비정상적일 정도로 심하게 나 주행 중 화재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우려섞인 불만을 토로했다. 

엔진오일이 증가하는 결함 소식이 퍼저나가면서 수개월간 기다렸던 차량의 계약을 취소하겠다는 고객들까지 나오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한 고객은 "오래 기다린 게 아쉽지만 불안감을 갖고 차량을 타고 싶진 않아 취소를 결정했다"라고 밝혔으며, 또 다른 고객은 "가족과 함께 탈 차량이라 고민 끝에 다른 차종을 알아보기로 했다"고 토로했다. 

해당 문제와 관련해 업계에서는 동절기 또는 냉간 시 엔진이 충분한 온도로 상승되지 않은 조건에서 연료가 분사돼 일부 기화되지 않은 연료가 오일 팬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 제작 결함조사 업무를 위탁 수행하고 있는 교통안전공단 산하 자동차안전연구원(카트리, KATRI)은 해당 문제에 대한 불만이 자동차리콜센터에 폭주하자 최근 해당 차량에 대한 사전 조사에 착수했다.  

자동차안전연구원은 사전 조사 결과, 문제가 있다고 판단 시 국토부에 정식 조사를 건의, 공식 조사에 들어가게 되며, 안전상 우려가 발견되면 제작 결함 조사 및 시정 조치(리콜)를 내리게 된다.   

한편 현대차그룹의 엔진오일 증가 문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6년 유로6 디젤 엔진이 탑재된 일부 차종에서 엔진오일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해 고객 불만이 속출했으며, 2018년에도 중국에서 엔진오일 증가에 따른 중국 소비자 불만이 제기된 바 있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현대차그룹이 전세계적인 반도체 수급난에도 불구,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사상 최대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현대차와 기아, 제네시스의 2021년 미국 판매량은 148만 9,118대로, 전년도의 122만 4,758대보다 21.6%가 증가했다. 이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지난 2016년(142만2,603) 보다도 7만3천여 대나 많은 것이다.

구체적으로 현대차는 지난해 19% 증가한 73만8,081대, 기아는 19.7% 늘어난 70만1,416대, 제네시스는 203% 증가한 4만9,621대를 각각 기록했다. 이에따라 현대차그룹은 일본 혼다(146만6630대)를 제치고 미국 내 점유율 5위를 달성했다.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12월 공급망 차질로 인한 재고 부족으로 5개월 연속으로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 기간 현대차는 전년 동월 대비 23%, 기아는 9.8%가 각각 감소했다. 반면 제네시스는 70% 증가한 4,999대를 기록했다.

차종별로는 현대차 아반떼(현지명 : 엘란트)가 18%증가한 12만4,422대, 코나가 18% 늘어난 9만 69대, 팰리세이드가 5% 증가한 8만6,539대, 싼타크루즈가 1만 42대, 싼타페가 11% 증가한 11만2,071대, 투싼이 22% 증가한 15만949대를 각각 기록했다.

기아는 포르테가 11만5,929대, K5 9만2,342대, 쏘울 7만5,126대, 스포티지 9만4,601대, 쏘렌토 8만1,785대, 텔루라이드가 9만3,705대를 기록했다.

한편 지난해 미국 시장 판매량 1위는 일본 토요타가 GM을 제치고 선두 자리에 이름을 올렸다. 토요타는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총 233만2000대를, 반도체 공급난 사태로 큰 타격을 입은 GM은 221만8000대를 기록했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현대차가 싼타페 하이브리드의 사전계약을 개시했다. 

현대차는 당초 지난해 7월 4세대 싼타페의 부분변경 모델을 출시하면서 하이브리드 모델을 투입할 계획이었으나, 같은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쏘렌토 하이브리드가 정부 에너지 소비효율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서 친환경차 세제혜택 대상에 포함되지 않자 출시를 잠시 보류하고 장고에 들어갔다.

그러던 중 지난 1월 산업통상자원부가 친환경차의 에너지소비효율(연비) 기준 등을 보완한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요건 등에 관한 규정을 개정·고시했다.

하이브리드카의 경우 기존에는 배기량과 연비로만 구분했으나 이번 개정을 통해 차체 크기도 함께 고려하도록 바뀐 것이다.

해당 규정에 따라 싼타페 하이브리드가 정부가 정한 하이브리드카에 포함되자 현대차는 개정된 규정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7월부터 판매하기로 하고 지난 4월 환경부의 소음 및 배출가스 인증을 완료했다.

이달 1일 사전계약을 받기 시작한 싼타페 하이브리드에는 최고출력 180마력을 발휘하는 스마트스트림 1.6리터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엔진, 1.49kW 리튬 이온 배터리, 최고출력 44.2kW의 전기구동모터, 스마트스트림 6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됐다.

시스템 합산 최고출력은 230마력, 복합연비는 15.3km/ℓ(5인승, 17인치 휠, 2WD 기준)이다. 또 저속에서 엔진 개입 없이 구동 모터로만 주행하는 EV 모드 주행 시 뛰어난 실내 정숙성까지 확보해 탑승객에게 편안한 주행 감성을 제공한다.

현대차는 싼타페 하이브리드를 익스클루시브, 프레스티지, 캘리그래피 세 가지 트림으로 운영하며 판매 가격은 세제 혜택 적용 전 개별소비세 3.5% 기준으로 익스클루시브 3,557 ~ 3,607만원 프레스티지 3,811 ~ 3,861만원, 캘리그래피 4,271 ~ 4,321만원의 범위에서 책정된다. 최종 가격은 본 계약 시점에 공개한다.

 

익스클루시브 트림은 10.25인치 내비게이션, 스마트 파워 테일게이트, 레인센서, 자외선 차단 전면유리 등 고객 선호가 높은 사양을 기본화하고 하이브리드 전용 17인치 휠ㆍ타이어를 적용했다. 아울러 고객들이 합리적으로 차량을 구성할 수 있도록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선택 사양으로 운영한다.

프레스티지 트림은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 후방 교차충돌방지 보조, 안전 하차 보조, 후석 승객 알림을 기본 적용해 탑승객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한다.

캘리그래피 트림은 하이브리드 전용 19인치 휠·타이어, 프레스티지 트림과 차별화된 디자인의 전면부 그릴ㆍ후면부 차량 하부 보호판, 차체 색상과 동일한 색상의 클래딩으로 고급스러운 외관을 갖췄으며 현대 디지털 키, 스마트폰 무선충전, 220V 인버터를 기본화해 편의성을 높였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기아가 인기 SUV 쏘렌토의 연식 변경 모델인 'The 2022 쏘렌토'를 출시하고 본격 판매에 돌입했다.

기아의 신규 엠블럼을 적용한 The 2022 쏘렌토는 주 고객층이 선호하는 다양한 사양을 트림별로 기본 적용해 상품 경쟁력을 끌어올린 것이 특징이다.

특히 기존 선택사양으로 운영해 온 LED 실내등(맵램프, 룸램프, 러기지램프)을 모든 트림에 기본 적용하고, 주력 트림인 노블레스 트림과 최상위 시그니처 트림엔 프리미엄 스티어링 휠,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인 전방 충돌방지 보조,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등을 기본 적용해 상품성을 크게 높였다.

시그니처 트림에는 추가로 내비게이션 기반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고속도로 주행 보조 기능을 기본 적용했다. 노블레스 트림도 내비게이션 적용시 해당 기능을 지원한다. 

아울러 쏘렌토의 최상위 트림인 시그니처에 차별화된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그래비티'를 디젤 엔진 모델까지 확대 운영해 고객들의 선택 폭을 넓혔다. 쏘렌토 그래비티는 20인치 블랙 알로이 휠과 볼륨감 있는 그래비티 전용 가죽시트를 비롯해 주요 외장 포인트를 블랙 색상으로 적용해 한층 더 강인한 이미지를 연출했다.

The 2022 쏘렌토는 기존 대비 편의·안전사양을 더해 상품성을 강화했으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을 책정해 매력도를 높였다.

The 2022 쏘렌토의 가격은 2.5 가솔린 모델의 판매 가격이 트렌디 2,958 만원, 프레스티지 3,252만원, 노블레스 3,552만원, 시그니처 3,846만원 그래비티 3,944만원이며, 2.2 디젤 모델의 판매 가격은 트렌디 3,056만원, 프레스티지 3,351만원, 노블레스 3,650만원, 시그니처 3,944만원, 그래비티 4,043만원이다. (개별소비세 3.5% 기준)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현대기아차의 내수 판매량이 코로나 19가 확산되기 전이었던 1월 수준으로 회복했다. '

현대자동차의 2020년 7월 내수판매량은 7만 7,381대를 기록했으며, 이는 지난해 6만 286대를 기록했던 7월보다 28.4%늘어난 수치다. 또 기아자동차는 4만 7,050대를 기록, 전년 동월 대비 0.1% 감소했다. 


현대기아차의 내수 판매 회복세는 올 초부터 연이어 출시된 신차들이 이끌었다. 



현대차 그랜저가 5개월 연속, 아반떼가 2개월 연속 월 판매량 1만대를 돌파한데다 싼타페와 팰리세이드가 나란히 6천여대를 기록한 것이 주효했다. 



또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3월 이후 4개월 만에 1천여대를 돌파한 G90에 힘입어 4개월 연속 1만대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G80은 3배가까이 늘어난 6,504대, GV80이 3,009대를 기록했다.



4세대 신형 쏘렌토는 지난 3월 출시 이후 4월 9,270대, 5월 9,298대, 6월 1만 1,596대, 7월 9,488대가 팔리는 등 4개월 연속 기아차 월간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이에 효자 모델로 등극한 쏘렌토가 기아차 판매를 견인하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또 승용 모델로 K5가 8,463대, 모닝이 3,949대가 판매됐다. 



기아차는 올 하반기 신형 카니발과 쏘렌토 가솔린 2.5 터보 모델 등을 앞세워 내수 판매 증가에 더욱 힘을 실을 전망이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신차효과를 이어가며 승승장구했던 르노삼성자동차 XM3의 인기가 한 풀 꺾인 모습을 보였다.

3일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한국지엠, 르노삼성자동차, 쌍용자동차가 발표한 지난달 내수 판매량에 따르면 르노삼성차의 XM3는 1,909대가 판매되며 전월대비 64.2%나 줄었다. 



6월까지 4개월 연속 월 판매량 5천대를 돌파했던 XM3가 지난달 처음으로 2천 대 이하로 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XM3는 출시 5개월 만에 누적판매량 2만4,161대를 돌파하는 저력을 보였다.



XM3의 경쟁 차종인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는 2,494대를 기록하며 쉐보레 전체 내수 실적을 견인했다. 또 트래버스와 콜로라도는 각각 329대, 369대가 판매되며 꾸준한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XM3와 같은 시기 투입된 기아차 4세대 쏘렌토는 9,488대가 판매되며 4개월 연속 9천대를 넘겼다. 다만 풀체인지급 변화를 거친 싼타페 부분변경 모델이 판매를 개시한 만큼 하반기 판매가 쉽지 않아 보인다. 또 기아차 K5는 8,463대, 모닝은 3,949대를 각각 기록했다. 



지난 4월 7세대 모델이 투입된 현대차 아반떼가 2개월 연속 월 판매량 1만 대를 돌파했으며 지난달 초 풀체인지에 가까운 부분변경 모델이 투입된 싼타페는 6천여 대를 기록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는 3월 이후 4개월 만에 1천여 대를 돌파한 G90에 힘입어 4개월 연속 1만 대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G80은 3배 가까이 늘어난 6,504대, GV80이 3,009대를 기록했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