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메르세데스 벤츠가 전동화 전용 브랜드 EQ의 플래그십 대형 전기 세단 'EQS'를 오는 8월에 출시한다.

EQS는 지난해 9월 출시된 7세대 신형 S클래스를 기반으로 개발됐으며, 디자인은 지난 2019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공개됐던 '비전 EQS 컨셉트'의 요소가 가미됐다.

비전 EQS 컨셉트

비전 EQS 컨셉트는 팽팽하게 당겨진 하나의 활과 같은 혁신적인 비율을 보여주며 EQ모델에서 추구하는 디자인 철학인 진보적인 럭셔리(Progressive Luxury)를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린 것이 특징이다. 

물 흐르듯 매끄럽고 단단한 조각품처럼 느껴지는 외장디자인은 공기역학까지 고려해 우아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와 이상적인 조화를 이룬다.

EQS의 1회 완충 시 주행가능거리는 700km(WLTP 기준)로 최대 647km를 주행할 수 있는 테슬라 모델S 롱레인지 플러스 모델보다 더 길다.

또 비전 EQS처럼 전륜과 후륜에 각각 전기모터가 탑재될 것으로 보이며 지난 1월에 공개된 벤츠의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인 MBUX 하이퍼스크린이 적용된다.

MBUX 하이퍼스크린은 인공지능(AI)을 통해 인포테인먼트, 컴포트 및 차량 기능의 조작과 디스플레이를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린다. 운전자와 조수석 사이 전 영역에 걸쳐 있는 대형 곡선의 스크린은 직관적이고 간편한 동시에 감성적인 디지털 경험을 선사한다.

EQS의 세부적인 내용은 오는 8월에 진행되는 월드 프리미어 행사를 통해 공개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는 올 하반기에 투입될 예정이나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EQS의 생산은 지난해 9월 새롭게 단장한 독일 진델핑겐의 새로운 팩토리 56에서 7세대 신형 S클래스 생산과 함께 이뤄진다.

팩토리 56은 첨단 생산시설로 혁신적인 기술과 프로세스를 도입했다. 메르세데스 벤츠에 따르면 높은 생산품질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기술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벤츠는 EQS 세단 버전에 이어 EQS SUV 버전, 중형급 전기차인 EQE의 세단 버전과 SUV 버전을 순차적으로 올해 안에 출시할 계획이다.

한편 플래그십 전기세단 EQS는 내달 15일(현지시간) 세계 최초 공개될 예정이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Auto Inside]

미국 포드가 유럽 전략형 중형 세단인 몬데오를 단종시킨다.

최근 포드는 2022년 3월 말부터 유럽에서의 몬데오 생산을 단계적 중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1993년에 출시된 몬데오는 포드의 유럽 전략형 세단이었던 시에라와 텔스타 후속 모델로, 1998년 스콜피오가 단종된 이후 유럽에서 포드의 기함 역할을 해왔다.

그러던 중 지난 2014년 현행 모델인 4세대 모델이 투입되면서 퓨전과 통합돼 유럽에서 포드의 주력 세단 모델이 됐다.

한국에서는 지난 1995년부터 판매돼오다 2011년 5월 북미 시장용 중형 세단인 퓨전으로 대체하게 됐다. 그러나 포드가 2015년부터 한국 시장에서 디젤 라인업을 늘리면서 퓨전의 수입이 중단되고 2015년 4월부터 몬데오 판매가 재개됐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SUV와 전기차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결국 단종 절차를 밟게 됐다.

포드는 유럽에서 판매되는 전차종을 2026년 중반까지 순수 전기차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로 전환하고, 2030년까지 순수 전기차로 100% 전환할 계획이다. 포드는 전기차 사업에 집중하고, 여기에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SUV 라인업을 확대하기 위해 판매가 감소하고 있는 세단을 단종키로 결정했다.

그 일환으로 포드는 최근 7인승 MPV인 갤럭시와 S-MAX에 풀-하이브리드 버전을 새롭게 추가했다. 또 소형급 SUV인 쿠가 PHEV와 푸마 PHEV, 중형급 SUV인 익스플로러 PHEV 버전 판매에 집중하기로 했다.

또 포드는 올해 말 출시될 순수전기차 머스탱 마하-E GT를 투입해 머스탱 마하-E 라인업을 강화하고 오는 2023년에 출시되는 순수전기차를 투입할 계획이다.

포드는 이를 위해 스페인 발렌시아에 있는 엔진공장에서 2022년 말부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과 하이브리드 모델에 탑재되는 2.5리터 Duratec 하이브리드 엔진을 생산한다. 2.5리터 Duratec 하이브리드 엔진은 현재 멕시코에 있는 치후아후아(Chihuahua)에서만 생산되고 있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아우디가 소형급 전기 SUV Q4 e-트론(tron)의 양산을 시작했다. 

Q4 e-트론(tron)은 폭스바겐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MEB를 기반으로 개발됐으며, 독일 츠비카우 공장에서 양산이 이뤄진다. 폭스바겐 외 다른 브랜드의 전기차가 츠비카우 공장에서 생산되는 것은 Q4 e-트론이 처음이다.

크기는 형제인 폭스바겐 ID.4와 비슷하다. 이 때문에 Q4 e-트론와 ID.4는 같은 라인에서 생산된다. 올 가을에 공개될 쿠페형 스타일을 갖춘 Q4 e-트론 스포트백도 올해 4분기부터 같은 라인에서 양산될 예정이다.

디자인은 지난 2019년 제네바 모터쇼를 통해 공개된 Q4 e-트론(tron) 컨셉트카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컨셉트카는 얇은 전면부 헤드램프, 대형 라디에이터 그릴을 특징으로 역동성을 강조한 휠 아치, 유선형 사이드 윈도우, 날카로운 D필러 등을 갖췄다. 특히 차체는 Q3 만큼 크지만 프론트 오버행이 눈에 띄게 짧고 휠베이스는 Q3보다 길다.

배터리는 82kWh 리튬이온배터리가 탑재돼 1회 완충 시 주행가능거리는 280마일(약 451km)다. 또 전륜과 후륜에 각각 전기모터가 탑재돼 최고출력 302마력을 발휘한다.

아우디는 Q4 e-트론을 내달 세계 최초로 공개하고 오는 6월 독일에서 판매를 개시할 예정이다.

Q4 e-트론은 한국에서도 판매될 예정이다.

아우디코리아 관계자는 “아우디 Q4 e-트론을 출시할 계획이나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며 “시기는 내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아우디는 Q4 e-트론 라인업을 포함해 5년 동안 폭스바겐그룹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MEB를 기반으로 한 전기차 20종을 출시할 계획이다. 또 2022년부터는 포르쉐와 공동 개발한 전기차 전용 플랫폼 프리미엄 플랫폼 일렉트릭(PPE)를 기반으로 하는 전기차도 투입할 예정이다. 이들은 독일 잉골슈타트 공장과 네카르줄름 공장에서 양산된다.

또 아우디는 전기차 개발에 집중하기 위해 차세대 엔진을 개발하지 않고 기존 엔진의 개량형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엔진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예정이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현대자동차의 새로운 MPV '스타리아(STARIA)'가 사전계약 첫날 1만대를 돌파했다.

현대차는 지난 25일부터 전국 영업점을 통해 사전계약에 들어간 ‘스타리아’의 첫날 계약대수가 1만1,003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준중형 아반떼(1만58대), 투싼(1만842대) 등의 사전계약 대수를 상회하는 수치로, 스타리아가 기존 MPV 시장의 외연을 승용 시장까지 확대하는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스타리아가 혁신을 통해 미래형 모빌리티의 경험을 선제적으로 제시한 부분이 고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스타리아 라운지는 주행감 및 편의안전 사양을 극대화한 고급 모델로 고객들의 다양한 차량 라이프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스타리아는 현대차의 미래 모빌리티 디자인 테마 '인사이드 아웃' 이 반영된 점이 특징이다. 인사이드 아웃은 실내 디자인의 공간성과 개방감을 외장까지 확장한 개념으로, 스타리아는 우주선을 연상시키는 유려한 곡선의 외관과 넓은 실내공간 및 개방감을 갖췄다.

또한 현대차 최초로 지능형 안전 기술을 전 모델 기본 적용한 점도 고객들의 좋은 반응을 이끌었다. 전방 충돌방지 보조, 차로 이탈방지 보조,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 후방 교차 충돌방지 보조 , 차로 유지 보조,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등을 탑재해 고객들의 기대 수준을 만족시켰다.

스타리아의 판매가격은 디젤 및 자동변속기 기준으로 카고 3인승 2,726만원, 카고 5인승 2,795만원, 투어러 9인승 3,084만원(단일 트림 운영), 투어러 11인승 2,932만원, 라운지 7인승 4,135만원(단일 트림 운영), 라운지 9인승 3,661만원부터 시작한다. (라운지 7인승은 개별소비세 3.5%기준)

한편 현대디자인담당 이상엽 전무는 “인사이드 아웃 테마가 적용된 스타리아는 실내 디자인의 공간성과 개방감을 실외까지 확장한 새로운 모빌리티”라며 “다양한 인승의 모델과 시트, 고급 모델인 스타리아 라운지 등으로 패밀리 고객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고객의 다양한 니즈를 만족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링컨코리아가 풀사이즈 럭셔리 SUV '뉴 링컨 네비게이터'를 국내 공식 출시했다.

링컨 네비게이터는 풀사이즈 대형 다운 넓은 실내 공간에 풍성한 편의 기능, 고급스러운 내부 소재 등이 더해져 퍼스트 클래스에 탑승한 듯한 우수한 승차감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뉴 링컨 네비게이터에는 탑승자가 느낄 수 있는 모든 곳에서 럭셔리한 요소들을 찾아볼 수 있다. 탑승하기 전 은은하게 점등되는 시그니처 라이팅과 웰컴 매트 조명, 거대한 차체에서 느껴지는 웅장함과 더불어 링컨의 시그니처 전면부 그릴, 그리고 그 위에 빛나는 링컨 스타 엠블럼을 통해 링컨만의 현대적인 우아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네비게이터는 링컨 브랜드의 핵심 가치인 '안식처에서 경험하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된 링컨의 플래그십 모델이다. 풀사이즈 SUV의 여유로운 실내 공간에 더해 럭셔리한 내부 디자인, 다양한 편의 기능들은 탑승자가 조용히 휴식을 취하거나 편안한 주행을 경험할 수 있도록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실내 공간은 액티브 모션 마사지와 열선, 통풍 기능이 포함된 프리미엄 가죽 시트뿐만 아니라 퍼펙트 포지션 시트가 적용되어 있어 탑승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최적의 체형과 자세에 맞춰 섬세한 조정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탑승자들은 싱크 3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적용된 센터의 터치스크린과 2열 좌석의 10인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편의 기능을 즐길 수 있다. 넓은 파노라마 비스타 루프는 뛰어난 가시성을 선사해 탑승자가 개방감을 느낄 수 있게 하며 파워 러닝 보드는 네비게이터에 보다 손쉽게 탑승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는 20개의 스피커에 적용된 하이엔드 브랜드 레벨 울티마 오디오 시스템과 함께 조화를 이루며 고요함 속에서 원음에 가까운 청음 경험을 선사한다. 이러한 내부 설계와 디자인은 운전자가 마치 하늘 위를 유유히 활공하는 퍼스트 클래스에 탑승한 듯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

큰 차체만으로도 엄청난 존재감을 자랑하는 네비게이터는 강력한 파워 트레인을 품었다. 트윈 터보 차저 3.5리터 V6 엔진은 457마력과 최대토크 71kg.m의 힘을 발휘한다. 이와 함께 10단 자동 변속기는 즉각적인 반응을 통해 부드러운 주행을 실현한다. 또한, 도로 상황에 맞는 드라이브 모드를 간편하게 선택하여 최적의 드라이빙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

링컨 네비게이터에 탑재된 코-파일럿 360 주행 보조 시스템은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기능은 물론, 차선 유지 시스템, 액티브 브레이킹이 포함된 충돌 방지 보조 시스템, 사각지대 정보 시스템, 헤드업 디스플레이, 오토 하이빔 헤드 램프, 360도 카메라, 향상된 주차 보조 시스템 등이 포함되어 있어 운전자의 주행 피로를 덜어주고 목적지까지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뉴 링컨 네비게이터는 리저브 단일 트림에 7인승(2열 캡틴 시트) 또는 8인승(2열 벤치 시트) 두 가지 옵션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가격은 1억1,840만원(부가세 포함, 개별소비세 3.5% 적용)이다.

한편 링컨코리아는 지난해 선보인 콤팩트 SUV 코세어, 중형 노틸러스 그리고 대형 에비에이터에 이어 풀사이즈 대형 네비게이터 출시를 통해 링컨의 SUV 전 라인업을 완성했다. 이렇게 완성된 럭셔리 SUV의 풀라인업을 통해 국내 시장에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며 높은 경쟁력을 선보일 예정이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그린카, 쏘카, SK렌터카 등 자동차 렌트·리스업체 10곳이 현재 보유 중인 차량을 오는 2030년까지 무공해차(전기·수소차)로 100% 전환한다. 

환경부는 25일 서울 상암 문화비축기지에서 SK렌터카, 그린카, 피플카, 더케이오토모티브, 롯데렌탈, 선경엔씨에스렌트카, 쏘카, 제이카, 화성렌트카, 현대캐피탈 등 자동차 렌트·리스업체 10곳, 한국자동차환경협회와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100 선언식을 가졌다.

환경부는 자동차 렌트·리스업체가 국민에게 적은 비용으로 무공해차를 접할 기회를 제공하고 대부분 공공기관과 기업들이 차량을 임차해 운영하는 점을 고려, 무공해차 대규모 전환 수요를 창출하는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100의 첫 번째 주자로 자동차 렌트·리스업체를 선정했다.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100은 민간기업이 보유하거나 임차한 차량을 2030년까지 100% 무공해차(전기차·수소차)로 전환하는 것으로 그린뉴딜 대표과제인 친환경 미래차 보급과 수송부문 탄소중립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민간기업의 자발적 무공해차 전환을 유도·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참여기업은 무공해차 전환을 공개적으로 선언하고 매년 단계적으로 무공해차 비율을 높여나간다. 

환경부는 참여기업에게 전기차·수소차 구매 시 보조금을 우선 배정하고 사업장에 충전 기반 시설을 설치하는 등 다각도로 지원할 계획이다.

첫 번째 주자로 나선 10개 자동차 렌트·리스업체의 보유 차량수는 전체 자동차 렌트업계의 75% 수준인 약 69만7천여대다. 그러나 무공해차는 1.7%인 1만1천대에 불과하다.

이 업체들은 올해 약 1만여대의 무공해차를 새로 구매하고 보유 중인 약 6천여대의 내연기관차를 처분할 예정이다. 이를 시작으로 무공해차 비율을 단계적으로 늘려 2025년 23만대, 2028년 63만대, 2030년까지 99만대(누적)의 무공해차를 구매해 2030년 100% 전환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내달 초엔 제조·금융업이, 내달 중순에는 물류·운수업이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100 사업에 참여한다는 선언을 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더욱 많은 기업이 2030 무공해차 전환 100 선언에 동참할 수 있도록 업계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다양한 지원과 협력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기아의 차세대 준대형 세단 K8이 사전계약 하루 만에 1만8,015대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9년 11월 출시한 3세대 K5 모델이 보유하고 있던 기아 세단 역대 최다 첫날 사전계약 대수 7,003대를 무려 1만1,012대를 초과 달성한 것이다.

특히 지난해 K7 국내 판매 실적(41,048대)의 약 44%를 사전계약 하루만에 달성하며 국내 세단 시장에 새로운 돌풍을 예고했다.

K8이 이러한 실적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지난 15일부터 비공식적으로 사전계약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는 신차 붐 조성을 위해 사전계약 첫날 계약대수를 최대한 끌어올리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전국 영업점을 통해 공식적으로 사전계약을 받기 시작한 것은 지난 23일부터다.

K8은 기아의 새로운 지향점을 보여주는 첫 번째 모델로 프리미엄 준대형 세단에 걸맞은 편안하고 안정적인 주행성능, 운전의 부담을 덜어주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모든 승객을 위한 편안하고 쾌적한 탑승 공간, 감성적 만족감과 편리한 연결성을 겸비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이 특징이다.

기아는 K8 3.5 가솔린 모델에 국산 준대형 세단 최초로 전륜 기반 AWD 시스템을 적용해 차별화된 주행 감성을 확보했다. AWD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노면 조건과 주행 상태를 판단, 구동력을 전·후륜에 능동적으로 배분할 수 있어 탑승객에게 더욱 안정적인 주행감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3.5 가솔린 모델에 적용된 전자제어 서스펜션은 주행 상태에 따라 전·후륜 쇼크 업소버(shock-absorber) 감쇠력 제어를 최적화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주행을 가능하게 해준다.

3.5 가솔린 모델과 3.5 LPI 모델은 국내 최초로 투 챔버 토크 컨버터가 적용된 신규 8단 자동변속기를 탑재했다.

모델별 가격은 2.5 가솔린 3,279만원~3,868만원, 3.5 가솔린 3,618만원~4,526만원, 3.5 LPI 3,220만원~3,659만원이다.(개별소비세 3.5% 기준)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현대차그룹이 초고속 충전 브랜드 ‘E-pit’를 공개하며 초고속 충전 인프라 구축에 나섰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초고속 충전인프라 20개소 120기 구축을 시작으로 충전 생태계 플랫폼 육성계획 등 미래 충전 비전을 제시하는 신규 브랜드 ‘E-pit’를 공개했다.

모터스포츠 레이싱의 피트 스톱(Pit stop)에서 영감을 받은 E-pit는 전기차를 위한 피트 스톱을 지향한다. 충전과 연관된 모든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제공하며 고객의 일상과 시간을 의미 있게 만드는 충전 플랫폼으로 진화한다는 계획이다.

E-pit는 빠르고 쉽고 편안하며,프리미엄한 3가지 핵심 서비스를 지향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의 800V 시스템을 탑재한 전기차를 이용하는 고객은 E-pit 충전소에서 기존 충전 시간보다 최대 50% 줄어든 약 18분내 80% 충전이 가능하다. 이는 5분 충전으로 약 100km 주행이 가능한 속도다.

또 E-pit 충전소는 별도 조작없이 인증, 충전, 결제까지 한번에 가능한 '플러그앤차지' 기능을 적용했다. 기존 여러 단계를 거쳐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했으며 이와 함께 디지털 월렛을 적용해 충전소에서 충전사업자별 별도의 물리적 카드 없이 E-pit 앱을 활용해 인증 및 결제가 가능하다.

E-pit 충전소 만차 시 대기자간 분쟁을 방지하기 위해 앱 대기표 발급 시스템인 디지털 큐 서비스도 적용해 대기고객 편의성도 개선했다.

전기차 충전 고객 편의를 위해 충전기의 무겁고 뻣뻣한 케이블 사용성도 개선됐다. 자동 높낮이 조절, 회전 기능 및 보조 손잡이 등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더하고 충전기 손잡이에는 자동 살균 LED를 설치했다.

E-pit 충전소는 캐노피 건축물로 만들어져 악천후에도 고객이 편안하게 충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캐노피는 컨템포러리 미니멀리즘을 디자인 컨셉으로 정제된 깔끔한 바디에 견고하면서도 순수(Pure)한 이미지를 구현했다. 아이코닉한 디자인으로 미래 전기차 시대 도래 메시지를 전달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향후 충전인프라 생태계 육성을 위해 실행 네트워크 구축, 다각적인 협업 추진, 충전인프라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 3가지 중점 전략방향을 구상하고 있다.

도심형 초고속 충전기 보급 확대를 위한 기술개발, 사업자 제휴 및 협업 추진체 구성 등 실행 네트워크 구축을 시작으로 아파트 중심 실제 생활 거점에서의 충전 불편해소를 위해 충전 솔루션을 개발, 이를 필요로 하는 사업자들에게 제공하고, 충전인프라 구축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협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국내 충전사업자와의 상생과 신규 사업기회 창출 및 품질, 고객경험 개선을 위해 고도화된 충전인프라 서비스 플랫폼도 개발할 예정이다. 충전사업자가 충전인프라 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하면 개별적인 서비스 시스템 개발과 운영 부담을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사업 운영이 가능하다.

또 충전사업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일반 서비스 사업자도 충전과 연계한 주차, 세차 등을 포함해 혁신적인 부가서비스를 통합형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충전기, 충전서비스의 안정적인 품질관리도 수월해질 것이다.

E-pit 충전소는 내달 중순에 전국 12개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개소할 계획이며(72기), 도심 내 주요 거점에도 충전소 8개소(48기)를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며, 지속적으로 확대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DC콤보 타입1의 모든 전기차는 E-pit 충전소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Auto Inside]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유니폼에 쉐보레 로고가 빠진다.

잉글랜드 프로 축구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이하 맨유)는 유니폼에 새겨진 쉐보레 로고 대신 독일 소프트웨어 회사인 '팀 뷰어(TeamViewer)'의 로고를 다음 시즌부터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따라 7년간 맨유 유니폼에 새겨졌던 쉐보레 로고는 이번 시즌 끝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GM과 맨유는 지난 2012년 8월 공식 스폰서십 계약을 체결했다. GM은 2014-15시즌부터 맨유 유니폼에 쉐보레 브랜드 로고를 부착하는 조건으로 총 7년간 5억5,900만달러(약 6,311억원)를 지불하기로 결정했다.

GM이 맨유와 대규모 스폰서십 계약을 체결했던 것은 쉐보레 브랜드 인지도를 개선하기 위함이었다. 북미 시장에서 100년 전통의 브랜드 역사와 두꺼운 고객층을 확보한 쉐보레이지만 유럽, 아시아 등에서는 낯선 브랜드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GM은 지난 2013년 말 유럽시장에서 쉐보레 브랜드를 철수시키기로 결정했음에도 쉐보레 브랜드 인지도 개선을 위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축구팬을 보유한 맨유와 대규모 스폰서십 계약을 체결한 것이다.

해당 계약에 따라 2014-15시즌부터 2019-20시즌까지 맨유 유니폼에는 쉐보레 로고가 새겨졌고, 추가적으로 GM은 맨유 선수들에게 쉐보레 카마로 등 차량을 제공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맨유는 GM과의 계약 만료일이 다가오자 새로운 스폰서 찾기에 나섰고, 독일 팀뷰어와 새로운 스폰서십 계약을 체결했다. 구체적인 계약 관련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로이터 통신 등 관련 소식통에 따르면 5년간 약 5,500만유로(738억원)인 것으로 알려졌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World News]

지프가 오는 3월 27일부터 4월 4일까지 모압(Moab)에서 개최되는 세계적인 오프로드 축제 '2021 이스터 지프 사파리'를 통해 7대의 지프 컨셉카를 선보인다.

올해 55주년을 맞이하는 이스터 지프 사파리 축제는 지프 브랜드만의 고유한 축제로, 매년 부활절 시즌에 오프로드에 열광하는 지프 오너들과 함께 한 주 동안 상상 이상의 장애물과 장엄한 코스를 탐험하는 오프로드 행사다.

이뿐만 아니라, 이스터 지프 사파리에선 지프의 가치, 헤리티지 그리고 미래 방향성을 모두 담고 있는 컨셉카를 지프의 부품 사업부인 지프 퍼포먼스 파츠 산하에 '모파(Mopar)'와 협력을 통해 제작한다.

올해는 가장 진보적인 파워트레인이 탑재된 총 7대의 컨셉카를 공개하고 지프가 가장 친환경적인 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한 의지의 메시지가 담긴 ‘로드 어헤드(Road Ahead)’ 캠페인의 이정표를 남길 수 있는 첫 번째 순수전기차(BEV)를 선보인다.

지프 브랜드 마니아들과 팬들을 위한 7종의 컨셉카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프 '매그니토'는 올 뉴 지프 랭글러 루비콘 2도어를 기반한 컨셉카로 지속 가능하고 조용하며, 민첩하면서 확실한 암벽 등반력까지 갖춘 완전한 기능의 BEV이다. 지프 브랜드의 엔지니어들과 디자이너들의 손에서 탄생한 지프 매그니토는 새로운 수준의 효율성과 환경 책임을 다하면서 동시에 지프의 4x4 성능까지 탑재한 무공해 차량이다.

지프 매그니토는 맞춤형 축방향 자속 전기 모터를 사용해 최대 6,000rpm의 285 마력을 발휘하고 e-모터와 연결된 6단 수동변속기를 장착하고 있다. 약 6.8초만의 제로백을 구현하는 지프 매그니토의 e-모터는 70KW/h를 지원하는 800V 시스템을 운영하고 4개의 배터리팩을 지니고 있다. 지프 매그니토의 외관은 브라이트 화이트(흰색) 바디 컬러 페인트에 서프 블루 액센트를 가미해 맞춤형 데칼을 차량 전체에 입히고 있으며, 로얄 블루 스티칭으로 인테리어를 완성한다.

짚스터 비치는 1968년에 제작된 짚스터 커맨도(C-101)를 기반으로 둔다. 4x4 차량과 함께하는 여가 활동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설계된 짚스터 커맨도는 자동변속기가 탑재된 최초의 준중형 사륜구동 차량으로, 당시 지프 CJ(Jeep CJ)와는 달리 문, 수동 창문, 히터, 루프탑 등과 같은 편의성이 제공된 차량이다.

짚스터 커맨도를 올 뉴 지프 랭글러 루비콘으로 완벽하게 계승해서 오마주한 짚스터 비치 컨셉카는 빈티지한 외관과 맞춤형 빨간색의 가죽 시트로 디자인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지프 랭글러가 제공하는 온로드 및 오프로드 성능을 발휘한다. 2.0 리터 터보차지 4기통 엔진을 커스터마이징 해 약 25% 더 높은 340마력을 지원하고 4:1 트랜스퍼 케이스에 결합된 8단 자동변속기를 장착하고 있다.

지프 레드 베어는 올 뉴 지프 글래디에이터 루비콘을 바탕으로, 거친 지형에는 동급의 파워트레인이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제작된 컨셉카로, 픽업트럭의 유산과 함께 지프 4x4 성능, 궁극의 다재다능함, 연비 및 주행 거리를 지원한다.

지프 레드 베어는 V6 3.0 리터 터보차지 에코디젤 엔진을 지니고 있어 260의 마력 발휘하며, 토크플라이트 8단 자동변속기와 연결되어 낮은 RPM 상황에서도 변속을 가능케하며 거친 노면을 손 쉽게 주파할 있도록 91:1이라는 놀라운 크롤비를 지원한다. 지프 매니아들의 열정을 기반으로 제작된 지프 레드 베어는 파이어크래커 레드(빨간색) 바디 페인트에 금색 액센트를 포인트로 준다.

지프 오렌지 필즈는 올 뉴 지프 랭글러 2도어를 기반으로 두고 세계적인 아이콘으로서의 입지를 다진 지프 랭글러가 갖춘 오픈-에어링과 재미있고 자유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선사한다. V6 3.6 리터 펜타스타 엔진을 장착한 지프 오렌지 필즈는 285 마력을 발휘하고 토크플라이트 8단 자동변속기와 연결돼 있다.

폭스(FOX)사의 서스펜션을 지니고 있으며, 맞춤형 하이탑 스틸의 휀더 플레어 아래에는 17인치 알류미늄 휠과 37인치 머드타이어 갖추고 있어 오프로드 성능을 향상시켜준다. 사틴 블랙에 바디 페인트에 커스텀 그래픽과 빈티지 지프 휀더 뱃지로 외형 디자인을 완성하고 오렌지 액센트와 체크 무늬 팔걸이 등으로 디자인 포인트를 한층 더 돋보이게 한다.

지프 파아웃은 2019년 올 뉴 지프 글래디에이터 컨셉카인 지프 웨이아웃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린 컨셉카로 오프로드 모험의 정의를 다시 정립한다.

지프 파아웃은 글래디에이터의 동급최고 페이로드, V6 3.0 리터 에코디젤 엔진으로 보다 효율적인 연비와 장거리를 지원하여 모험을 추구하는 이들에게 최적의 차량이다. 지프 파아웃의 특징으로는 맞춤형 배치가 가능한 AT 오버랜드 이큅먼트 해비태트 트럭 토퍼를 장착하고 있어 약 500cm의 폭과 230cm의 높이를 자랑하는 토퍼는 단 몇초만에 설치가 완료돼 최대 4명까지 편안하게 잘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지프 파아웃은 매력적인 목재 인테리어를 활용하고 조명, 냉장고, 주방 시스템, 선반 등 모두 갖추며 진한 스모크 블루 가죽에 오렌지 스티칭으로 스타일을 완성한다.

양산차량 생산에 들어간 지프 랭글러 루비콘 392는 V8 엔진을 품은 올 뉴 지프 랭글러 루비콘 컨셉카이다. 심장에서부터 전사의 피가 끓고 있는 지프 랭글러 루비콘 392 V8 6.4리터 엔진으로 최고출력 485 마력을 발휘하며 자연 흡기 엔진으로 75%에 달하는 엔진 공회전 속도를 지원하며 오프로드 및 주행 성능을 향상시킨다.

지프 탑 도그는 올 뉴 지프 글래디에이터를 기반으로 두며 지프 퍼포먼스 파츠의 커스텀 액세서리로 산악 바이커들을 위한 가장 재밌는 컨셉카이다. K-9 블루의 바디 페인트를 입힌 지프 탑 도그는 기존 화물 칸을 개조시켜 화물 운반 능력을 확장했다.

산악 바이커들이 모험을 떠날 때 손쉽게 물품을 안전히 보관할 수 있는 서랍이 조수석 위치에 포함되며, 운전자쪽에는 배터리로 작동하는 냉장고와 그릴 스탠드를 갖추고 있어 산악 바이커들이 다음 모험을 떠나기 위한 공급원 역할을 수행한다. V6 3.6 리터 펜타스타 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285 마력을 발휘하고 토크플라이트 8단 자동변속기와 맞물린다.

짐 모리슨 지프 브랜드 북아메리카 부사장은 “모압에서 개최되는 이스터 지프 사파리는 오랜 기간동안 지프 브랜드의 4x4 성능을 확인하고, 새로운 지프 브랜드 컨셉과 지프 퍼포먼스 파츠를 매년 이 행사에 참석하는 마니아층의 가장 열성적인 고객들과 교류할 수 있는 본고장이다”라며, “올해 이스터 지프 사파리에서는 우월한 퍼포먼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파워트레인, 성능, 토크 그리고 그 무엇보다도 재미를 선사해 지프 브랜드가 왜 명백하게 탁월하고 분명히 유능한지 보여줄 것이다”라고 전했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