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v70'에 해당되는 기사 32건

  1. 2020.10.29 '디젤-가솔린'으로 무장한 제네시스 GV70..."하이브리드 부재 아쉬워" 1
  2. 2020.10.19 "수입SUV 긴장해!" 제네시스 GV70 2.2 디젤, 환경부 인증 마치고 출격 대기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올 하반기 현대차그룹의 최대 기대작으로 꼽히는 제네시스 'GV70'의 내외장 디자인이 최초 공개, 모든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제네시스 브랜드의 두 번째 SUV 'GV70'은 제네시스 고유의 디자인 철학인 ‘역동적인 우아함(Athletic Elegance)’을 제대로 실현해낸 모델로, 공개 직후 형 격인 'GV80'보다 더 완벽한 균형미를 갖췄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초반 반응이 뜨겁다. 

실제로 관련 동호회 등의 커뮤니티에서는 "디자인 정말 예쁘다", "외관뿐 아니라 인테리어도 정말 멋지다", "역대급 디자인", "제네시스 라인업 중 가장 마음에 드는 디자인" 등의 반응을 보이며 혁신적 디자인에 대한 호평을 쏟아냈다. 

특히 GV80보다 한층 스포티하고 역동적인 스타일링에 대한 반응이 뜨겁다. 

GV70의 전면부는 제네시스 로고의 방패에서 영감을 받은 크레스트 그릴이 헤드램프보다 낮게 위치하여 공격적인 이미지를 강조, 두 줄 디자인의 쿼드램프가 속도감과 역동성을 표현했다. 또 범퍼 하단에 엔진 하부 보호를 위한 스키드 플레이트를 적용해 SUV의 강인한 이미지를 연출했다.


측면부는 역동적인 후륜구동 비율과 크로스오버 스타일이 적용된다. 특히 특히 운동선수의 근육을 연상시키는 볼륨감 있는 리어 펜더가 극적인 대비를 이뤄 역동적인 느낌을 강조한다. 또 쿠페와 같이 날렵하게 떨어지는 루프라인과 아래로 흐르는 C필러의 크롬라인은 스포티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후면부는 전면과 동일한 두 줄 컨셉 쿼드 테일램프가 시선을 사로잡는데, 훨씬 와이드하고 미래지향적인 스타일이 적용됐으며, 그래픽도 차이를 보인다. 여기에 독특한 리어 스포일러의 보조제동등과 스포티한 리어범퍼 디자인도 GV70만의 차별점이다.

멋스러운 외관만큼이나 실내 인테리어에 대한 호평도 자자하다. 


GV70의 인테리어는 운전자 중심의 실내 구조로 설계됐고, 탑승객의 안락감과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한국 특유의 미적 요소인 ‘여백의 미(Beauty of White Space)’를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비행기 날개의 유선형(에어로다이나믹) 조형에서 영감을 받은 스포티한 실내 디자인은 유니크한 타원형 요소를 사용, 풍부한 볼륨감을 살렸고 이를 강조하는 신개념 무드조명으로 GV70만의 개성을 살렸다.

현재 GV70은 디젤과 가솔린 환경부 인증을 모두 마치고 내달 출격을 앞두고 있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에 따르면, 제네시스는 지난 14일 GV70 2.2 디젤 2WD와 AWD의 환경부 인증을 완료하고, 21일 GV70 2.5 가솔린 2WD 및 AWD와 3.5 가솔린 AWD 모델의 배출가스 및 소음 인증을 완료했다.
 
이에따라 GV70의 파워트레인은 2.2디젤을 비롯해 2.5 가솔린 터보, 3.5 가솔린 터보 총 3가지 라인업으로 구성된다.


2.2 디젤의 경우 최고출력 210마력, 최대토크 45.0kg.m를 발휘하며, 2.5 가솔린 터보는 최고출력 304마력, 최대토크 43.0kg.m, 3.5 가솔린 터보는 최고출력 380마력, 최대토크 54.0kg.m의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여기에 8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린다.

또 공차중량은 2.2 디젤 2WD가 1,935kg, AWD가 2,000kg이었던 반면, 2.5 가솔린 2WD는 1,820kg, AWD가 1,885kg, 3.5 가솔린 터보 AWD는 1,975kg이다.

이처럼 GV70의 파워트레인이 순수 내연기관(디젤, 가솔린)으로만 구성되자, 하이브리드 부재에 대한 아쉬움의 목소리도 나온다. 

특히 '필(必) 환경' 시대에 접어듦에 따라 기존 디젤 수요에 대한 인기가 감소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아쉬움은 더욱 커진다. 

앞서 현대차가 출시한 준중형 SUV 투싼의 경우, 계약자의 30%가량이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택했을 정도로 하이브리드 모델이 많은 선택을 받았다. 또 쏘렌토 하이브리드는 사전계약 첫날 전체 계약의 70%를 차지했고, 반면 하이브리드가 빠진 싼타페는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또 볼보자동차코리아는 최신 트렌드에 발맞춰 2021년식 모델부터 순수 내연기관차를 판매를 중단하고 하이브리드 등의 친환경차만 판매한다는 결정을 내린 바 있으며, 토요타, 혼다 등의 일본차는 디젤차를 판매하지 않고 있다. 특히 렉서스의 경우 하이브리드 판매 비중이 전체의 97%를 차지할 정도로 하이브리드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모델의 잠재적 수요가 크게 늘고 있음에도 불구, 제네시스가 GV70의 파워트레인을 순수 내연기관으로만 채운 데는 제네시스 브랜드의 중장기적 전동화 전략과 연관이 있다. 

마크 델 로소 제네시스 북미 총괄은 최근 열린 온라인 컨퍼런스 콜에서 "제네시스는 HEV 또는 PHEV모델 출시 계획이 없다"며, 순수 전기차로 곧바로 넘어갈 것이라는 전동화 전략을 밝혔다. 이어 "제네시스는 완전 전기차가 브랜드의 미래 지향적인 이미지와 더 잘 부합하며, 순수 전기차로 도약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최근 연이은 코나 EV 화재 등으로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하이브리드 단계를 건너뛰는 것이 과연 합리적인 선택일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편 제네시스는 G80기반의 전기차를 내년 선보이고, 향후 모든 제네시스 라인업에 전동화 파워트레인을 도입하는 등 글로벌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현대차의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가 브랜드 첫 SUV GV80에 이어 라인업 강화를 위한 두 번째 SUV ‘GV70' 출시를 앞두고 있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 교통환경연구소에 따르면, 제네시스는 지난 14일 GV70 2.2디젤 2WD와 AWD 모델의 배출가스 및 소음 인증을 완료했다.

GV70는 제네시스 라인업의 다섯 번째 모델이자 후륜구동 기반 프리미엄 중형 SUV로, 젊은 타켓층을 고려해 올 초 선보였던 GV80보다 한층 스포티하고 역동적인 스타일링을 완성해 큰 기대를 사고 있다. 

특히 제네시스 브랜드의 디자인 아이덴티티인 ‘역동적인 우아함(Athletic Elegance)’을 통해 완벽한 비율과 우아하고 럭셔리한 외장디자인, 여백의 미를 바탕으로 한 인테리어, 고급소재와 높은 품질 등을 갖출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전면부는 대형 크레스트 그릴과 두 줄 컨셉의 쿼드램프, G-매트릭스 디테일 등 패밀리룩 디자인이 반영된 것이 특징이다. 

특히 그릴은 GV80와 달리 아웃라인을 부드럽게 처리해 젊고 스포티한 분위기를 강조했고, 내부에 다이아몬드 패턴을 적용해 고급감을 높였다.

헤드램프는 완전히 분리된 두 줄 컨셉 쿼드램프가 적용되며, 내부그래픽도 상, 하단의 슬림한 주간주행등(DRL)과 슬림한 Full LED 헤드램프 등 GV80, 신형 G80와 같은 스타일을 따른다. 또 프론트범퍼는 하단의 와이드한 공기흡입구를 비롯한 좌우 양옆에도 넓은 에어커튼을 적용, GV80 대비 역동적인 디자인으로 차별화를 줬다.

측면부도 후륜구동 특유의 역동적인 비율을 자랑하며, 전형적인 SUV 형태가 아닌 크로스오버 스타일이 적용된다.



특히, 뒤로 갈수록 완만하게 떨어지는 루프라인과 측면 캐릭터라인은 GV80와 닮았고, 과거 포르쉐 ’928’을 연상케 하는 독특한 윈도우 라인(DLO)도 시선을 사로잡는다.

후면부는 전면과 동일한 두 줄 컨셉 쿼드 테일램프가 적용됐다. 무엇보다 GV80나 신형 G80는 길이가 적당한 반면, GV70는 훨씬 와이드하고 미래지향적인 스타일이 적용됐으며, 그래픽도 차이를 보인다.

여기에 리어 스포일러의 보조제동등도 대개 일반적인 수평이 아닌 중간에 꺾인 독특한 디자인을 적용해 GV70만의 개성을 드러냈다.

리어범퍼 역시 상당히 스포티한 디자인을 보여주는데, 후방 리플렉터와 덕트 디자인 요소가 돋보이고 번호판도 범퍼에 위치해 테일게이트에는 ‘GENESIS' 레터링이 적용될 전망이다. 또 범퍼 하단에 위치한 머플러는 기본형 모델에 5각형 크레스트 그릴을 형상화한 세로형 머플러가 적용되고, 상위 모델에는 스포티한 고성능 분위기를 더해주는 대구경 원형 듀얼머플러를 적용해 차별화를 둔다.

인테리어는 아직 구체적인 모습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GV80 실내와 거의 유사한 레이아웃을 이어받을 전망이며, 다이얼 방식의 전자식 변속기와 천연가죽, 스웨이드 마감 등 고급 소재를 아낌없이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워트레인은 이번에 환경부 인증을 통과한 2.2L 디젤, 2.5L 가솔린 터보, 3.5L 가솔린 터보 총 3가지 엔진라인업으로 구성되며, 8단 자동변속기와 상시 사륜구동 시스템도 탑재된다.

2.2 디젤의 경우 최고출력 210 마력, 최대토크 45.0kg.m를 발휘하며, 2.5 가솔린 터보는 최고출력 304마력, 최대토크 43.0kg.m의 힘을 낸다. 최상위 3.5 가솔린 터보는 최고출력 380마력, 최대토크 54.0kg.m의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제네시스 GV70는 메르세데스-벤츠 GLC, BMW X3, 아우디 Q5, 볼보 XC60, 렉서스 NX 등과 경쟁하며, 가장 치열한 프리미엄 중형 SUV 시장에서 입지를 다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편, 제네시스 브랜드는 고유의 디자인 디테일 ‘G-Matrix(지-매트릭스)’ 패턴의 위장 필름을 부착한 GV70 프로토타입을 지난달 29일부터 약 한 달간 전국 도로에서 막바지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제네시스 GV70는 오는 12월께 출시될 예정이며, 하반기 중 G70 페이스리프트 출시도 예고돼 있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