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아우디가 2017 상하이 모터쇼를 통해 '아우디 스포트백 e-트론 콘셉트'를 공개했다.



아우디 스포트백 e-트론 콘셉트는 아우디가 2020년까지 출시하겠다고 밝힌 세 개의 전기차 모델 중 하나인 'e-트론 스포트백'의 단서가 담겨 있다. 단순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콘셉트카가 아니며, 차세대 아우디 전기차량에 탑재될 전기 드라이브 시스템을 완벽하게 갖추고 있다. 



프론트 액슬 전기 모터 1개, 리어 액슬 전기 모터 2개가 4바퀴 모두를 구동하며, 최고출력은 320kW, 한번 충전으로 500km 이상을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부스트 모드일 경우, 최고출력이 370kW(500마력)까지 크게 상승하며, 단 4.5초만에 100km/h까지 도달할 수 있다. 



외관은 지금껏 공개된 그 어떤 차보다 미래지향적이고 개성적인 모습이다. 날카롭고 슬림한 LED 헤드램프와 길게 이어지는 테일램프가 적용됐고, 크롬 아우디 엠블럼 대신 밝게 빛나는 LED 엠블럼이 부착됐다. 커다란 23인치 휠은 굉장히 감각적이며, 싱글 프레임 양쪽으로는 총 250개의 LED가 적용됐다. 



한편, e-트론 스포트백 콘셉트는 다가오는 2019년 양산될 계획이며, 아우디는 포르쉐와의 협력관계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비중을 크게 확대해나가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폭스바겐이 2017 상하이 모터쇼를 통해 새로운 전기 CUV 'I.D.크로즈'를 공개했다. 


I.D 크로즈는 쿠페형 스타일과 SUV의 특징이 결합된 4도어 크로스오버 전기차로, 'I.D.','I.D.버즈'에 이어 I.D. 라인업을 잇는 세 번째 모델이다. 



밝게 빛나는 폭스바겐 로고와 'C'형태의 LED 헤드라이트 등으로 독창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분위기를 풍기며, 폭스바겐이 미래 전기차를 위해 연구·개발한 차세대 전기차 이키텍처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차량에는 2개의 전기모터가 탑재되며, 출력은 225kW(302마력), 최고속도는 180km/h다. 한번 충전으로는 500km 이상 주행 가능하다. 이 밖에도 미끄러운 도로나 눈길을 달릴 때 사륜구동으로 전환이 가능하며, 'I.D. 파일럿 모드'로 전환시 자율 주행도 가능하다. 

폭스바겐은 83kWh 리튬 이온 배터리를 탑승자 컴파트먼트 아래 위치시켜 무게 중심을 낮췄고, 그 결과 균형 잡힌 48:52 전후방 무게 배분을 실현했다. 덕분에 골프 GTI와 유사한 뛰어난 핸들링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I.D 크로즈의 크기는 4,625mm x 1,891mm x 1,609mm (전장 x 전폭 x 전고)이며, 휠베이스는 2,773mm로, 폭스바겐의 티구안과 비슷한 수준의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한편, 폭스바겐 디자인 총책임자 클라우드 비숍(Klaus Bischoff)은 해당 차량을 '개개인의 이동성과 폭스바겐 브랜드를 완전히 바꿀 설계 및 기술 혁명의 시작'이라고 설명했으며, 폭스바겐은 향후 2025년까지 전기차 판매량을 연간 100만 대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Official]



뷰익이 중국 시장을 겨냥한 주행거리 연장차(EREV) '벨리트 5'를 2017 상하이 모터쇼를 통해 공개했다. 


벨리트 5는 쉐보레 볼트를 기반으로 제작된 차이며, 쉐보레 보타이 대신 뷰익 엠블럼이 부착된다. 로고만 바뀐 모습이지만 뷰익 특유의 고급스러움이 묻어난다. 



쉐보레 볼트를 통해 검증된 2세대 볼텍(Voltec) 구동 장치가 탑재되고, 차량에 탑재된 엔진은 오로지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쓰이기 때문에 동력에 직접적인 개입을 하지 않는다. 대신 전기모터가 구동력을 전달하고, 같은 연료로 주행거리를 크게 늘릴 수 있어 국토가 넓은 중국서 큰 이점을 갖는다. 



벨리트 5는 EV 모드에서 최대 116km, 배터리와 가솔린 완충시 768kg까지 주행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EV 모드서 85kg, 배터리와 가솔린 완충시 676km를 주행 가능한 쉐보레 볼트보다도 뛰어난 수준이며, 단순 엠블럼만 교체한 것이 아닌, 성능 개선까지 이뤄낸 결과로 이어지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편, 뷰익은 올 뉴 라크로스 PHEV, 벨리트 PHEV 콘셉트를 선보이는 등 다양한 친환경 자동차를 중국서 선보이고 있으며, 향후 2년간 다양한 PHEV, 순수전기차 등으로 중국 고급 친환경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Official]



레바논의 스포츠카 전문 업체 W모터스가 2년간의 연구·개발을 거쳐 '페니어 슈퍼스포트' 생산 막바지에 접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페니어 슈퍼스포트는 W모터스를 대표하는 라이칸 하이퍼스포트의 뒤를 잇는 신형 슈퍼카로, 명성에 버금가는 강렬한 외관 디자인과 파워풀한 성능을 자랑한다. 포르쉐 전문 튜너 'RUF'가 손본 4.0리터 수평대향 6기통 엔진이 탑재되었고, 7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가 조합을 이룬다. 



최고출력은 무려 900마력, 최대토크는 122.5kg.m에 달하며, 제로백(0→100km/h)은 불과 2.7초, 최고속도는 400km/h를 넘어선다. 또한 경량화를 위해 출 카본 파이버와 알루미늄 섀시를 사용하여, 무게를 약 1,200kg까지 크게 줄였다. 



해당 차량은 7대 한정 생산된 라이칸 하이퍼스포트와 마찬가지로 25대 한정 생산되며, 가격은 185만 달러(약 21억 5,000만 원)이다. 이는 페라리 488GTB 7대, 포르쉐 터보 S 10대, 도요타 캠리 80대를 살 수 있는 액수다. 



한편, 해당 차량은 다가오는 11월 두바이 모터쇼서 공개될 예정이며, 두바이를 비롯한 중동 지역 부자들을 겨냥할 것으로 보인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Official]



막강한 자금력과 볼보로부터 쌓아온 기술력을 갖춘 중국 지리 자동차의 독자 브랜드 '링크앤코(Lync & co)'가 '03세단'을 공개했다. 이는 링크앤코가 첫 번째 모델을 선보인지 불과 5개월이 지난 시점이다. 



링크앤코는 자사의 라인업 모델 이름으로 '01','02','03'···등의 연번을 사용하고 있는데, 작년 소형 SUV '01'공개에 이어 어느덧 세 번째에 이르는 모델이다. 링크엔코 03세단은 볼보의 차세대 40시리즈와 플랫폼을 공유하고, 볼보의 차세대 아키텍처 CMA를 기반으로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더욱 기대를 사고 있다. 



디자인은 볼보, 링컨 등에서 활약한 세계적인 디자이너 피터 호버리(Peter Horbury)가 총괄했지만, '포르쉐'와 흡사하고 중국 자동차란 이미지 때문인지, 독창적인 디자인이라는 평가는 못 받는 분위기다. 일부 외신에서는 '기아차의 스포티지를 상기시킨다'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해당 차량에는 1.5리터 3기통 터보 엔진과 전기모터가 조합을 이루며, 내·외관 디자인, 휠 등 세부적인 사양을 제외하고는 볼보 S40과 거의 일치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볼보의 최신 첨단 안전 기능과 편의 기능이 탑재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링크앤코는 올해 말 중국서 양산차 출시를 계획 중이며, 1년 정도 후 미국과 유럽으로 진출할 것이라 밝힌 바 있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Official]



아우디가 다가오는 2017 상하이 모터쇼서 데뷔를 앞두고 있던 '아우디 스포트백 e-tron 콘셉트'의 렌더링 이미지를 공개했다. 



아우디 스포트백 e-tron 콘셉트는 쿠페 스타일의 디자인 요소가 접목된 대형 해치백으로, 차세대 A7 해치백 디자인의 단서도 담겨있다. 



외관은 지금껏 공개된 그 어떤 차보다 미래 지향적이고 세련된 모습이다. 날카롭고 슬림한 LED 헤드램프와 길게 쭉 이어지는 테일램프가 적용됐고, 크롬 아우디 엠블럼 대신 밝게 빛나는 LED 엠블럼이 부착돼 인상적이다. 또한 라디에이터 그릴은 다이아몬드 패턴으로 메꿔 고급스러운 느낌을 극대화시켰다. 



해당 콘셉트카에는 아우디가 개발한 최신 전기차 기술이 탑재될 예정이며, 미래 아우디 차량에 적용될 파워트레인 기술을 엿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아우디는 C-BEV 전기 구동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된 'e-tron 전기 SUV'를 2018년 출시 예정이며, 포르쉐와의 협력관계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비중을 크게 확대해나가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ETC]



혼다가 스스로 잔디를 깎는 스마트 로봇 '미모(Miimo)'를 출시했다. 



전기장을 생성하는 특수 전선으로 경계선을 설치해 영역을 지정해주면, 미모가 지정 영역내에서 이탈하지 않고 잔디를 탐색해 깎아낸다. 게다가 잔디의 성장과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최적화된 5가지 방식으로 잔디를 깎아내기 때문에, 깔끔한 정원을 유지할 수 있다. 


미모가 스마트 로봇으로 평가받는 이유는 이뿐만이 아니다. 미모는 3개의 360˚ 센서가 장착되어 사람이나 동물 등의 장애물을 만나면 잔디 깎기를 멈추고 장애물을 피해 다시 작동한다. 또한 두꺼운 잔디는 바퀴 속도를 줄이고 날의 속도를 유지하면서 깎아 내고, 심지어 24˚ 경사로에서도 문제없이 작동한다. 




도난 걱정도 할 필요가 없다. 누군가 미모를 들고 가려고 하면 도난 경보를 울려 주인에게 알리고, 잠금 상태로 변경된다. 이후 제어 패드에 PIN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다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용량이 30% 미만으로 내려가면 도킹 스테이션을 통해 스스로 배터리를 충전하기 때문에, 배터리 걱정도 전혀 할 필요가 없다. 


한편, 미모는 HRM 310, HRM 520모델로 구성되며, 다가오는 6월부터 $2,499~2,799 (한화 약 285만 원~320만 원) 가격에 판매될 예정이다.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