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otoroid / Column]

현장 = 디자인 마스터 클래스

포르쉐가 4일 서울 성수동 소재 포르쉐나우에서 '디자인 마스터 클래스'를 열고 포르쉐 디자인 철학을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올해 스포츠카 출시 75주년을 맞이한 포르쉐는 한국에서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2023 서울모빌리티쇼를 통해 '비전 357 콘셉트'를 아시아 최초로 공개하기도 했다. 포르쉐의 이 같은 행보는 전 세계 6위로 거듭난 한국 시장의 중요성이 점쳐 커지고 있음을 증명한다. 

게어만 사장은 디자인 마스터 클래스 기획 취지와 관련해 "가장 비밀스럽고 흥미로운 공간인 디자인 스튜디오에 대해 소개함과 동시에 시대를 초월하는 포르쉐의 감성을 전하고 싶었다"라며, "포르쉐 본사에서 근무하고 있는 정우성 디자이너는 포르쉐의 철학을 한국 소비자들에게 전하기에 좋을 것이라고 판단했다"라고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는 정우성 포르쉐AG 시니어 외관(익스테리어) 디자이너가 초빙돼 75년간의 포르쉐 브랜드 디자인 철학과 미래 디자인 방향성에 대해 설명했다. 

정우성 디자이너는 지난 2012년부터 'E3 카이엔', '992 카레라', 'J1 타이칸', '911 GT2 RS', '919 스트리트 콘셉트', '미션 E 크로스 투리스모', '917 리빙 레전드' 등의 외관 디자이너로 활동해왔다. 

정우성 디자이너는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포르쉐 브랜드의 디자인 정체성에 대해 크게 강조했다. 멀리서 봤을 때도 '이 차는 포르쉐구나'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고유 정체성을 구현하는 것을 포르쉐 디자인의 핵심으로 꼽았다.

대표적인 포르쉐 디자인 특징으로는 라이트 디테일(4점식 헤드램프)과 매끄럽게 떨어지는 루프 라인, 넘치는 볼륨감 등이 있으며, 비율과 스타일링, 디테일 3가지 디자인 과정을 거쳐 911, 718, 카이엔 등 각 차종별로 구분되는 고유 디자인 매력을 갖추게 된다. 

또한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라는 독일 기능주의의 브랜드 철학도 함께 강조했다. 이 개념에는 간결하고 아름다운 디자인을 만들어면서도 해당 디자인이 최고의 성능을 내는 데 기여할 수 있어야한다는 철학이 함께 내포돼 있다. 

나아가 전동화 시대에 출시될 포르쉐 디자인 방향에 대해서는 "전기차로 전환한다고 해서 디자인적으로 달라질 건 없다"라며, "전기차라고 해서 디자인 방향성이 다르게 간다거나 억지로 새로운 것을 집어넣으려고 하지는 않을 것이며, 포르쉐를 포르쉐처럼 보이도록 하는 포르쉐의 기본 디자인 DNA와 철학은 전기차 시대에도 유지될 것"이라 전했다. 

한편 포르쉐는 지난해 글로벌과 한국 시장에서 브랜드 역사상 가장 강력한 성장을 이뤄냈으며, 국내 고객들을 위해 더 적극적인 경영투자와 매력적인 제품 포트폴리오 준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반응형

[Motoroid / New Car]

포르쉐

독일 포르쉐가 2023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컬러 오브 포르쉐'를 주제로, 브랜드 헤리티지와 미래 제품 로드맵을 반영한 라인업을 공개한다. 

포르쉐 스포츠카 75주년을 기념하는 이번 모빌리티쇼에서는 브랜드 최초의 스포츠카인 포르쉐 356을 오마주한 '비전 357 콘셉트'를 아시아 최초로 공개한다. 

또한 올해 FIA 세계 내구 레이스 챔피언십과 르망 24시 레이스에 출전하는 '963 LMDh', 2021년 IAA에서 공개한 레이싱 콘셉트 카 '미션 R' 등 지금까지 한국 고객들이 만나기 어려운 모델들을 국내서 처음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아시아 프리미어로 선보이는 '비전 357 콘셉트'는 지난 1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드리븐 바이 드림. 포르쉐 스포츠카 75주년' 행사에서 세계 최초로 공개된 바 있다. 이번 서울모빌리티쇼에는 스타일 포르쉐의 한국인 디자이너 정우성이 참석해 직접 프레스 컨퍼런스를 진행한다. 

전 세계 여섯 번째 큰 시장으로 성장한 한국의 미디어와 고객 및 팬들을 위해 911/718 모델 라인 부사장 프랭크 모저도 방문해 '비전 357' 아시아 프리미어라는 특별한 자리를 빛 낼 예정이다.

포르쉐 비전 357은 356 모델을 기반으로 모놀리식(일체형) 형태를 갖춘 것이 특징이며, 포르쉐 브랜드 유산과 타임리스 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과거, 현재, 미래를 균형 있게 결합한 차체 비율은 포르쉐 고유의 디자인 DNA를 반영하며, 디테일은 미래 디자인 철학을 시각화한다. 

진보적인 미래 비전을 담아낸 향상된 라이트 시그니처가 눈길을 끌며, 자연 흡기 6기통 박서 엔진을 탑재해 이론적으로 최고출력 500마력(PS)의 탁월한 성능을 발휘, e-퓨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넓은 트랙은 강렬한 인상을 자아내며 주행 안정성 역시 향상시킨다. 20인치 휠은 마그네슘으로 제작되며, 공기역학적으로 유리한 탄소 섬유 커버와 중앙 잠금장치가 장착된다. 또한 '비전 357'의 휠은 356 모델의 전설적인 휠을 연상시킨다. 드럼 브레이크를 장착한 356 A와 356 B는 205mm의 눈에 띄게 큰 볼트 서클을 가진 림을 갖추고 있다.

 

이와 함께 전설적인 '356A 스피드스터', 레이싱카 '963 LMDh', '미션 R', ‘911 RSR 핑크 피그’를 포함해, '타이칸 4S 크로스 투리스모 포 제니 루비 제인', ‘911 에디션 50주년 포르쉐 디자인’, ‘718 카이맨 GT4’, ‘타이칸 GTS’, ‘파나메라 4 플래티넘 에디션’ 등 총 15종의 다채로운 라인업을 전시할 계획이다.

관련해 포르쉐코리아 홀가 게어만 대표는 "지난해 글로벌과 한국 시장에서 브랜드 역사상 가장 강력한 성장을 이뤄낸 포르쉐는 국내 고객들을 위해 더 적극적인 경영투자는 물론, 매력적인 제품 포트폴리오를 준비 중"이라며, "이번 서울모빌리티쇼에서는 포르쉐의 과거, 현재, 미래를 엿볼 수 있는 다채로운 컬러의 독보적인 라인업을 통해 모던 럭셔리 스포츠카 브랜드로서의 진가를 전할 계획"이라 전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반응형

[Motoroid / Report]

독일 프리미엄 브랜드 포르쉐가 한국 시장에서 2년 연속 매출액 1조 원을 넘어섰다. 

포르쉐코리아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2021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포르쉐의 지난해 매출액은 1조294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의 1조 109억 원 대비 1.8% 증가한 수치다.

이로써 포르쉐코리아는 지난 2020년 처음으로 매출 1조 원을 넘어선 데 이어, 2년 연속 1조 원대를 유지했다.  

포르쉐코리아는 지난해 한국에서 전년 대비 8.4% 증가한 8,431대를 판매했다.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1.8% 감소한 379억 원, 당기순이익은 61.9% 증가한 386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 광고 선전비용은 전년도 91억 원에서 소폭 증가한 93억 원을 지출했다.

판매량이 증가한 만큼 기부금도 늘었다. 포르쉐코리아의 지난해 기부금 지출은 전년비 8.7% 늘어난 16억 1천만원을 기록했다. 

포르쉐코리아는 지난해 포르쉐 본사에 404억 7550만원을 배당했다. 이는 당기순이익의 105%에 해당한다. 즉, 당기순이익을 넘어선 금액을 본사에 배당했다. 

포르쉐코리아는 포르쉐가 지난 2019년 2월 에이펙스 인베스트먼트가 소유했던 지분 25%를 인수, 현재 독일 본사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국내 포르쉐 공식 딜러들의 작년 매출과 영업익 역시 큰 폭 상승했다.포르쉐코리아 최대 딜러인 스투트가르트스포츠카는 지난해 매출액이 7,115억원을 기록, 전년도의 6254억 원보다 13.8%가 증가했다.

스투트가르트스포츠카는 포르쉐 전체 판매량의 50%가량을 담당하고 있다. 스투트가르트스포츠카의 영업이익은 396억 원을 기록, 전년대비 33.8%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39.6% 오른 310억 원을 기록했다. 

제2딜러인 아우토슈타트는 지난해 매출액이 3,097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의 2,844억 원보다 8.9%가 늘어난 수치다. 

역업이익은 214억 원으로 전년도의 212억 원보다 0.9% 늘었고, 순이익은 163억 원으로 전년도와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다. 

또 도이치그룹의 도이치아우토는 지난해 매출액이 2,679억 원을 기록, 전년도의 1817억 보다 32.2% 증가했다. 또 영업이익은 112억 원, 당기순이익은 90억 원을 기록했으며, 전년 대비 각각 38.2%, 38.5% 큰 폭 증가했다. 

포르쉐 딜러 3사는 모두 전년대비 매출이 증가한 반면, 기부금은 감소한 모습을 보였다. 스투트가르트스포츠카의 기부금은 1억 8천만원, 도이치아우토는 1130만원을 기록, 각각 30.8%, 24.7% 줄었다. 아우토슈타트의 지난해 기부금은 5600만 원을 기록했다. 

여기에 올해부터 서울 동부지역 신규 딜러로 고진모터스가 새롭게 합류, 서울 경기.부산지역의 SSCL과 고양, 대구. 대전의 KCC그룹 아우토슈타트, 수원, 창원, 광주지역의 도이치오토그룹 도이치아우토, 서울 송파 등 동부지역의 고진모터스 등 4개 딜러 체제로 재편될 전망이다. 

한편 포르쉐 전 차종은 출고까지 평균 2년이 소요될 정도로 주문이 밀려있어 딜러 오픈만 해도 수익이 보장되는 구조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