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Motoroid / Photo]

마세라티 그레칼레

이탈리아 마세라티가 한국 시장에서 브랜드 입지 강화에 적극 나선다.  

마세라티(Maserati)는 자체 엔진 개발, 실내 디자인 개선 등 혁신적인 투자를 단행하며 영향력을 크게 확대하고 있으며, 이탈리아에서 생산한 제품의 86%를 전 세계 70여 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한국 시장에 상륙한 마세라티 코리아는 '이탈리안 럭셔리'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한국에서 독보적인 고성능 럭셔리 브랜드로서 입지를 다지는 또 다른 도약의 기틀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마세라티는 향후 국내 라인업 확대를 통해 시장 공략에 더욱 속도를 낼 전망이다. 

마세라티에서 선보이는 신차는 모두 ‘메이드 인 이탈리아’로, 이탈리아 본거지에서 100% 설계·개발·제작돼 이탈리아만의 예술적 헤리티지와 장인 정신을 설파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현재 국내 판매 차량 라인업으로는 MC20, MC20 첼로, 뉴 그란투리스모, 뉴 그란카브리오 등이 있다.  

특히 우아하고 세련된 외장 디자인과 강력 성능으로 주목을 받는 그레칼레는 마세라티 SUV의 정체성을 재정의하는 혁신적인 모델로, 국내 시장에는 지난 2022년 처음 상륙했다. 

그레칼레는 출시 이후 ‘지중해의 강력한 북동풍’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국내 D-SUV 세그먼트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며 선풍적인 인기를 누려왔다.

운전자의 여정에 편안함을 선사하기 위해 최근 연식변경을 통해 기능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완성도를 높였다. 

그레칼레는 포르쉐 마칸 등과 경쟁하는 D세그먼트 중형 SUV로, GT, 모데나, 트로페오 트림으로 구성됐다. 

GT와 모데나는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2.0L 직렬 4기통 터보 엔진을 채택해 각각 300마력과 330마력을 발휘한다. 

고성능 트림인 트로페오의 경우슈퍼 스포츠카 'MC20'의 네튜노 엔진 기반의 3.0L V6 트윈 터보 엔진을 탑재, 530마력의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외관은 마세라티 특유의 스포티함과 우아함을 결합한 디자인을 갖췄다. 높은 전고에 대비되게 낮은 위치에 그릴을 배치해 역동적이고 날렵한 이미지를 갖췄으며, 기능적인 SUV 디자인을 채택하면서도 쿠페와 같은 유려한 루프 라인을 통해 우아한 측면 디자인을 연출했다. 

외장 컬러는 솔리드 페인트인 비앙코(Bianco)를 비롯해 블루 인텐소(Blu Intenso), 그리지오 라바(Grigio Lava), 비앙코 아스트로(Bianco Astro), 네로 템페스타(Nero Tempesta) 등 메탈릭 페인트 4종으로 구성했다. 메탈릭 페인트는 더욱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기 위해 모두 기본으로 제공된다.

실내는 고급 소재와 색감, 대시보드에 적용된 더블 사이드 스타일의 스티치 등 장인정신을 느낄 수 있다. 

특히 레그룸이 993mm, 앞뒤 탑승자 간의 거리는 870mm로 D-SUV 세그먼트 중 최고 수준의 실내 공간을 확보했다. 적재 공간 또한 GT와 모데나가 535L, 트로페오는 570L로 많은 짐을 여유롭게 실을 수 있다.

첨단 운전자 보조 기능은 안락한 드라이빙을 실현한다. 스탑 앤 고 기능이 포함된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어드밴스드 브레이크 어시스트 시스템, 사각지대 모니터링, 서라운드 뷰 모니터 등이 기본으로 제공된다. 

또한 액티브 차선 이탈 방지 시스템, 액티브 드라이빙 어시스트, 교통 표지판 인식 기능 등은 옵션으로 제공, 운전자를 보호한다

이탈리아 사운드 전문 업체 소너스 파베르 사의 프리미엄 오디오 시스템은 차내 경험을 극대화한다. 

14개의 스피커와 860W 앰프가 만들어내는 하이파이 사운드 또는 21개의 스피커와 1,285W 앰프로 구성된 하이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을 통해 몰입감 넘치는 사운드를 즐길 수 있다. 

그레칼레의 국내 가격은 GT 1억 791만원, 모데나 1억 2,791만원, 트로페오 1억 6,809만원이다. 

한편, 마세라티는 이탈리아어로 ‘맞춤 제작’을 의미하는 푸오리세리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푸오리세리에 프로그램을 통해 고객은 개인의 개성이 담긴 단 하나뿐인 슈퍼카를 제작할 수 있다.  

푸오리세리에 프로그램은 국내에서 코르세(Corse), 푸투라(Futura) 등 두 가지의 대담한 컬렉션을 기반으로 운영된다. 

코르세는 마세라티의 찬란한 레이싱 유산에서 영감을 얻은 컬렉션으로, 레이싱 리버리와 헤리티지 컬러를 재해석했다. 

푸투라의 경우 최첨단 기술과 신소재를 사랑하며, 변화를 포용하는 이들을 위한 미래지향적인 디자인 옵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객은 두 컬렉션이 제공하는 다양한 옵션(외장 컬러, 드림라인, 보닛과 루프를 가로지르는 스트라이프 및 버드케이지 디자인, 브레이크 캘리퍼와 휠, 시트 디자인, 인테리어 스티칭 등)을 직접 골라 스스로를 가장 잘 표현하는 마세라티를 제작할 수 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마세라티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 마세라티가 한국 내 입지를 강화하고 국내 럭셔리 자동차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마세라티코리아로 국내 사업을 운영한다.

마세라티 S.p.A.와 국내 페라리 및 마세라티 공식 수입사인 포르자모터스코리아(FMK)는 최고급 이탈리아 제품을 통해 마세라티 브랜드의 한국 내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마세라티 한국 사업 운영을 마세라티코리아로 이전한다고 밝혔다.

마세라티코리아는 원활한 사업 전환과 지속적인 고객 지원을 보장하기 위해 FMK와 계속해서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이며, FMK는 향후에도 마세라티 서울과 분당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변함없이 운영함으로써 마세라티와의 관계를 지속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마세라티코리아의 설립은 한국의 고객에게 탁월한 이탈리아의 럭셔리 차량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한국 고객들의 높은 기대에 부응하기 위함이다. 마세라티는 한국 시장에서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향후 세계적 수준의 애프터 서비스와 마세라티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맞춤형 고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또한 이탈리안 럭셔리와 고객 만족 구현을 위해 네트워크 강화에 주력할 뿐만 아니라, 고객이 더욱 몰입할 수 있는 매력적인 브랜드 경험 제공을 위해 과감한 계획도 선보일 계획이다.

한편, 마세라티는 전 세계를 포함 한국에서도 우아함, 럭셔리, 성능이라는 브랜드의 핵심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이번 사업 전환을 통해 마세라티는 한국의 럭셔리 자동차 시장을 선도하고 브랜드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해나갈 계획이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Ferrari

이탈리아 페라리가 지속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개발을 위해 필립모리스 인터내셔널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페라리는 1973년부터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어 온 필립모리스 인터내셔널(PMI)과 역사적 관계의 새로운 장을 연다고 밝혔다.

페라리 E 랩과 PMI는 두 회사의 기술적 역량을 모아 새로운 에너지 관련 기술을 연구할 예정이며, 이 기술을 통해 양사는 각각 마라넬로와 그레스펠라노에 위치한 페라리와 PMI 생산 시설의 탈탄소화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참고로 두 시설은 에밀리아 로마냐 주 내에서 서로 30km 떨어져 있다.

파트너십의 목표는 재생 에너지의 생산, 저장, 변환에 있어서 산업 전기화에 기여하는 주요 솔루션을 평가하는 것으로, 첫 번째 연구는 장기 에너지 저장 기술의 실행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해당 연구는 2024년 3분기까지 완료 예정이다.

관련해 페라리 CEO 베네데토 비냐는 "양사가 파트너십을 맺은 지 50주년이 되는 해에, 페라리와 PMI는 혁신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라며, "양사는 산업 공정에서 에너지 이용을 발전시키고 최적화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솔루션을 연구하기 위해 협력할 것이며, 서로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이 함께 협업함으로써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PMI CEO 야첵 올자크는 "PMI는 페라리의 오랜 파트너십에 있어서 양사가 새롭게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구축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라며, "우리는 이번 프로젝트 뿐 아니라 혁신 그리고 선구적인 에너지 관련 기술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한 추진력으로 뭉쳐져 있다"라고 말했다. 

PMI의 운영 담당 수석 부사장인 스콧 커츠는 "페라리와의 협업을 통해 특히 기대하고 있는 분야는 전기화가 해결책이 될 수 없는 제조 분야에서 연료 공급원으로서의 저탄소 수소가 가진 잠재력을 탐구하는 것이다. 운영의 탈탄소화에 대해 ‘화석 연료 소비의 감소’, ‘재생 에너지로의 전환’, ‘피할 수 없는 배출의 상쇄’라는 세 가지 방법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해 수소가 전략적으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 지 살펴보고 싶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페라리는 2030년까지 탄소 중립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Latest News]

Ferrari

이탈리아 페라리(Ferrari)가 4일 마라넬로 공장에서 라이트 쇼를 개최했다. 

페라리는 본 라이트 쇼에 대해 페라리의 본질을 반영하고 그 동안 이룬 성공을 축하하며 더 밝은 미래를 기대하게 하는 빛과 소리, 이미지를 통한 여정이라 설명했다.

페라리는 5,000명 이상의 직원으로 이뤄진 페라리만의 고유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마라넬로 공장에 있는 가장 상징적인 건물들을 라이트 프로젝션의 배경으로 사용했다. 

비알레 엔초 페라리를 따라 1km가 넘는 공간에서 펼쳐진 라이트 쇼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연출하며 장관을 이뤘다. 3차원 이미지와 빛은 최신 저에너지 기술을 사용해 프로젝트, LED바, 레이저 효과 등 400개 이상의 요소로 만들어졌다.

마라넬로 공장의 역사적인 출입구를 둘러싼 벽돌 아치에는 이 문을 지나간 수많은 자동차의 영상이 투영되었다. 아치 영상엔 1947년 마라넬로에서 출시돼 모델 시리즈의 시작을 알린 125 S와 지난 6월 르망 24시 레이스에 복귀해 화려한 우승을 거둔 두 대의 499P도 포함돼 있다. 

붉은색 조명으로 물든 길을 따라가다 보면, 기존 페인트 숍 타워에 이르게 된다. 이 건물은 ‘개인과 팀, 전통과 혁신, 열정과 성취’라는 페라리의 가치가 새겨진 대형 스크린으로 탈바꿈했다.

또한 올해의 하이라이트를 기념하는 요소에서는 페라리의 정체성인 ‘레이싱, 스포츠카, 라이프스타일’을 구성하는 각 분야의 직원 얼굴이 등장했다. 이는 최근 몇 달 동안 발표된 페라리 이니셔티브의 핵심으로, 모든 직원이 주주가 되는 광범위한 주식보유제도도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이탈리아 건축가 렌초 피아노가 설계한 윈드 터널도 회사 생활의 모든 영역에 스며든 기술 혁신을 상징하기 위한 라이트 쇼 공간으로 변신했다. 터널 내부에서 생성되는 공기 역학적 흐름은 컬러 빔으로 윈드 터널 표면에 재현되었다. 이를 통해 마라넬로 공장에서 가장 접근하기 어려운 건물 중 한 곳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작업을 창의적으로 재해석하고 있다.

쇼는 페라리 역사의 다음 챕터인 ‘e-빌딩’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e-빌딩’은 내년 6월 완공 예정이기 때문에 현재 공사 중인 10만 평방미터 부지의 중심에 조명이 밝혀졌다.

관련해 존 엘칸은 "전통과 혁신은 늘 페라리의 핵심 가치였으며, 페라리는 대담하게 그리고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그 자랑스러운 전통을 이어 나가고 있다"라며, "이 특별한 라이트 쇼는 비범함을 가능케 하는 페라리의 모든 직원들 그리고 페라리를 특별하게 만들어주는 전 세계 페라리 가족들에게 헌정하는 것"이라 소감을 전했다. 본 라이트 쇼는 연말까지 계속 진행될 예정이며 페라리 직원은 물론 고객들도 관람할 수 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알파로메오 33 스트라달레

이탈리아 자동차 브랜드 알파로메오가 33대 한정의 스페셜 에디션 '알파로메오 33 스트라달레(Stradale)'을 선보였다. 

많은 사람들이 가장 아름다운 자동차 중 하나로 꼽는 '알파로메오 33 스트라달레'는 1967년~1969년 사이에 양산된 60년대 아이콘으로 평가되며, 이번에 선보인 차량은 알파로메오 33 스트라달레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된 특별판 모델에 해당한다.

과거 전설적인 모델로부터 영감을 받은 디자인이 적용되며, '트리뷰토'와 '알파 코르세' 두 가지 트림으로 제공된다.

차내에는 V6 엔진 또는 전기 구동계가 탑재되며, V6 엔진의 경우 8단 자동변속기와 함께 맞물려 620마력의 성능을 낸다. 또 전기 모델은 750마력의 성능을 낸다.  

실내는 최고급 알칸타라 소재가 채택됐다. 알파로메오 33 스트라달레는 항공기에서 영감을 받은 대시보드와 센터 터널에 알칸타라를 필두로 알루미늄, 카본 파이퍼, 가죽 등의 소재를 채택했으며 전례 없는 수준의 커스터마이징이 적용돼 이미 완판됐다.

특히 트리뷰토 버전의 경우, 벨트라인부터 루프까지 알칸타라가 적용됐다. 가볍고 부드러운 알칸타라 소재가 위로 뻗어가며 높은 콘솔과 필러를 감싼 것이 특징이다.

또한 알파 코르세 버전 인테리어에는 카본 파이버와 알칸타라가 다양한 색상과 마감으로 적용돼 차량의 스포티한 개성을 강조한다. 시트, 대시보드, 도어 패널 및 센터 터널 트림에는 블랙, 레드와 블랙 조합 또는 블루와 블랙 조합의 알칸타라와 가죽을 사용했다.

특히 대시보드와 센터 터널은 항공기에서 영감을 받은 기계식 디테일이 특징이며, 온몸을 감싸도록 디자인된 좌석과 도어 패널이 차별화된 안락함을 제공한다. 아울러 기능적이면서도 심플한 디자인과 알칸타라, 카본 파이버 등 고기능성 소재, 그리고 차체의 성능을 결합해 감각적인 시너지를 선보인다.

사이드 파이핑과 도어 패널, 대시보드, 콕핏, 센터 터널의 마감에 시트와 동일한 소재 및 컬러를 사용해 시각적으로도 뛰어난 주행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1990년대부터 지속된 알칸타라와 알파로메오의 협업은 장인정신, 고급스러움, 스포티함, 그리고 '메이드 인 이탈리아'의 가치를 기반으로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이탈리아의 장인정신을 갖춘 브랜드로서 심미성과 혁신적인 기술을 지속적으로 결합해 온 두 기업은 이번 협업에서 차량 제조 커스터마이징에 대한 양사의 풍부한 경험을 활용했다.

차량의 실내에 적용되는 알칸타라 소재는 미적 요소와 그립감, 가벼움, 통기성 등의 기능적 요소를 동시에 갖춰 차량 주행 경험을 향상시킨다. 더 나아가, 알칸타라는 2009년부터 글로벌 시험인증기관인 티유브이슈드의 인증을 받아 생산과 사용, 폐기 전 과정에서 탄소 중립을 실천하며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고 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Column]

람보르기니

이탈리아 람보르기니가 창립 60주년을 맞이해 산타가타 볼로냐에 위치한 람보르기니 박물관의 새단장을 마치고 첫 전시회를 개최한다.

람보르기니 박물관(Museo Automobili Lamborghini)은 지난 1월 20일 리모델링을 통해 새단장을 마치고 공식적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람보르기니 박물관은 현대화된 배치와 디자인은 물론, 명칭까지 변경하며 완전히 새롭게 리모델링했다.

람보르기니의 이번 리뉴얼 행사는 올해로 창립 60주년을 맞이하는 람보르기니의 첫번째 공식 행사로 큰 의미가 담겼다.

박물관의 첫 전시회는 '1963년에 시작된 미래'로 브랜드 60년 역사에서 상징적인 시대와 대표적인 순간을 되짚어 보는 전시회가 열린다. 이를 통해 설립자인 페루치오 람보르기니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1963년부터 현재까지의 브랜드와 제품의 진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특히 19대의 전시차량은 브랜드와 상징적인 기술, 디자인을 보여주며 람보르기니만의 혁신적이고 위대한 DNA를 전달한다.

또한 람보르기니의 파격적이고 혁신적인 방법을 함께 강조한다. 각 시대의 규칙을 깨고 매번 새로운 모델을 탄생시키며 새로운 기준을 세워 온 람보르기니의 역사를 확인할 수 있다. 람보르기니의 모델들은 당시 슈퍼 스포츠카의 시선으로 비교했을 때 이상해 보였지만 자동차 진화에 있어 대부분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정교함을 끌어냈다.

람보르기니 박물관은 남다른 역사로 가득 채워졌다. 해당 건물은 1963년 페루치오 람보르기니가 회사의 초석을 다진 최초 건물의 일부로 특별한 역사를 창조하고 미래 세대를 위한 영감의 원천이 되어 왔다.

관련해 스테판 윙켈만 회장은 "2023년은 독창적인 활동과 발전으로 가득한 한 해로 다양한 국제 행사들이 계획돼 있으며, 이번 개관식은 람보르기니의 60주년을 기념하는 다양한 행사의 시작점이다"고 기념사를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는 페루치오 람보르기니가 1960년대 초에 시작한 도전을 시작으로 선구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슈퍼 스포츠카의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 왔다"라며, "람보르기니는 항상 미래를 향해 달려가는 브랜드로 앞으로도 계속 그렇게 달릴 것이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첫 전시회에서는 람보르기니의 클래식 모델인 350GT, 미우라 S, 에스파다, LP400쿤타치, 우라코, LM002 모델이 전시된다. 특히 람보르기니의 한정판 모델인 레벤톤, 세스토 엘레멘토, 베네노, 센테나리오, 시안, 쿤타치 LPI800-4 차량도 눈에 띈다. 

또한, 현대식 대표 모델인 디아블로 GT, 무르시엘라고 SV, 가야르도 퍼포만테 스파이더, 우라칸 퍼포만테, 아벤타도르 SVJ, 우루스, GT3 등도 확인할 수 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