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otoroid / Report]

기아

기아(KIA)가 미국 신차 상품성 만족도 조사서 7개 차급 1위를 달성, 글로벌 최고 수준의 상품 경쟁력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기아는 미국 시장조사업체 제이디파워사가 발표한 '2023 상품성 만족도 조사'에서 총 7개 차종이 차급별 1위에 올랐다고 밝혔으며, 한 메이커의 7개 차종 1위는 28년 상품성 만족도 조사 역사상 최대 기록에 해당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올해로 28회째를 맞는 제이디파워사의 상품성 만족도 조사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미국에서 판매된 차량(32개 브랜드, 197개 모델) 구입 후 3개월이 지난 시점의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됐다.

내외관 스타일, 주행 성능, 인포테인먼트 편의성, 안전성, 경제성 등 감성적인 부분이 평가에 중요하게 반영되는 것이 특징이며, 1000점 만점을 기준으로 점수가 높을 수록 상품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기아는 카니발(849점)이 미니밴 차급, EV6(861점)가 준중형 SUV 차급, K3(841점)가 준중형 차급, K5(875점)이 중형차급, 리오(807점)가 소형차급, 스팅어(884점)가 중형 프리미엄 차급, 텔루라이드(873점)가 중대형 SUV 차급에서 각각 1위에 올랐다.

특히 이번 수상은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경쟁이 가장 치열한 미니밴 및 중대형 SUV 차급에서 카니발과 텔루라이드가 1위에 선정돼 의미를 더했다.

준중형 SUV 차급 1위를 차지한 기아 전용 전기차 'EV6'는 861점으로 일반 브랜드 전기차 중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하며 포드 F-150, 폭스바겐 ID.4, 도요타 bZ4X, 쉐보레 볼트 EV 등 경쟁사의 주력 전기차를 큰 점수차이로 따돌렸다. 

또 EV6는 전기차의 충전 속도, 주행 거리 등 효율성을 측정하는 연료 효율성 조사에서도 BMW iX에 이어 2위를 차지하는 등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경제성, 주행거리, 충전 속도에서도 업계 최고 수준의 평가를 받았다.

관련해 기아 관계자는 "총 7개 차종이 1위에 오른 것은 상품개발 초기부터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결과"라며, "앞으로도 상품성과 품질 등 차량 전반에 걸쳐 고객으로부터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현대차는 산타크루즈(841점)가 중형 픽업 차급, 제네시스는 GV60(878점)이 소형 프리미엄 SUV 차급에서 각각 1위를 차지했다.

특히 산타크루즈는 2년 연속 중형 픽업 차급 1위를 차지했으며 GV60은 출시 첫 해 소형 프리미엄 SUV 차급에서 1위를 차지하며 기대감을 높였다.

이로써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7개 이어 9개 차종이 차급별 1위에 이름을 올리게 돼 글로벌 자동차그룹 중 가장 많은 최우수 차종을 배출했다. 현대차그룹에 이어 BMW 그룹이 5차종, 도요타 그룹이 3차종으로 뒤를 이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반응형

[Motoroid / Latest news]

현대차그룹

현대차그룹은 미국 자동차 전문지 카 앤 드라이버가 발표한 '2023 에디터스 초이스 어워드'에서 주력 모델들이 최고 모델에 대거 선정됐다고 밝혔다.

카 앤 드라이버 '에디터스 초이스 어워드(Editors’ Choice Award)'서 현대차 8개, 기아 9개, 제네시스 6개 등 현대차그룹의 23개 차종이 수상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현대차그룹 역대 최다 수상 기록에 해당한다. 

카 앤 드라이버는 1955년 창간이래 미국은 물론 전세계 소비자들에게 영향력을 미치는 유력 자동차 전문지로, 매년 전문 에디터들이 미국 시장에 판매되고 있는 세단, SUV 등을 시승하고, 평가를 실시해 '에디터스 초이스'라는 이름으로 수상 모델을 발표한다. 올해 어워드는 400여개 이상의 차량을 대상으로 평가가 이뤄졌다.

구체적으로 현대차는 서브컴팩트 SUV에 '코나', 컴팩트 SUV '투싼', 미드-사이즈 '팰리세이드', 미드-사이즈 '싼타페, 컴팩트 픽업 트럭 '싼타크루즈', 일렉트릭 SUV '아이오닉 5', 스포츠 컴팩트카 '엘란트라 N', 패밀리세단 '쏘나타' 등 총 8개 차종이 수상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기아는 서브컴팩트 SUV에 '쏘울', 컴팩트 SUV '스포티지', 미드-사이즈 '쏘렌토', 미드-사이즈 '텔루라이드', 일렉트릭 SUV 'EV6', 미니밴 '카니발', 서브컴팩트 카 '리오', 서브컴팩트 SUV '니로 하이브리드', 패밀리 세단 'K5' 등 9개 모델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제네시스의 경우, 일렉트릭 럭셔리 SUV에 'GV60', 컴팩트 럭셔리 SUV 'GV70', 미드-사이즈 럭셔리 SUV 'GV80', 엔트리-럭셔리카 'G70', 미드-사이즈 럭셔리 카 'G80', 풀-사이즈 럭셔리 카 'G90' 등 6개 차종이 수상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1월에도 카 앤 드라이버 베스트10 트럭 & SUV에서 현대차 아이오닉 5, 기아 EV6, 기아 텔루라이드, 제네시스 GV70가 선정되며 자동차 그룹 기준 최다 선정을 달성하는 등 자동차 시장 최대 격전지로 꼽히는 북미 시장에서 꾸준하게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번에 선정된 주요 차종들은 우수한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수상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차 아이오닉 5는 '2022 월드카 어워즈'에서 '세계 올해의 자동차'를 수상한 데 이어 '2022 독일 올해의 차', '2022 영국 올해의 차'에 선정됐으며, 한국 자동차 역사상 처음으로 '일본 올해의 수입차'에 이름을 올렸다.

또한 기아 EV6는 '2023 북미 올해의 차', '2022 유럽 올해의 차'로 선정되며 세계 3대 올해의 차 중 2관왕에 올랐으며 '2022 인도 올해의 차 그린카 부문', '2022 아일랜드 올해의 차', '2022 왓 카 어워즈 올해의 차' 등 전 세계에서 권위있는 자동차 상을 휩쓸고 있다.

인기 SUV 텔루라이드는 '2020 월드카 어워즈'에서 한국 브랜드 최초로 ‘세계 올해의 자동차’를 수상했으며 2020년 기아 최초로 ‘북미 올해의 차’에 선정되며 역사를 쓰고 있다.

제네시스 GV70의 경우, '2023 켈리블루북 베스트 바이 어워드 소형 럭셔리 부문', '2022 모터트렌드 올해의 SUV', '2021 굿디자인 어워드 운송 디자인 부문'을 수상하는 등 전 세계에서 호평 받고 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반응형

[Motoroid / Auto News]

기아

기아가 미국에서 높은 잔존가치를 인정받으며 뛰어난 품질과 상품성에 기반한 제품 경쟁력을 제대로 증명했다.

기아는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J.D. Power'가 발표한 '2023 잔존가치상'에서 기아 차종이 5개 부문에 이름을 올리며, 최다 차종 수상 브랜드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J.D. Power 잔존가치는 차량의 상품성과 품질, 브랜드 인지도, 판매전략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차 가격 대비 3년 후 예상되는 중고차 가격으로 산정하며, 미국 고객들이 차량 구입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표 중 하나로 평가된다.  

기아는 일반 브랜드 17개 부문 중 텔루라이드가 3열 중형 SUV에서 최고 잔존가치 모델로 선정된데 이어, 스포티지 준중형 SUV, 쏘울 소형 SUV, K5 중형 승용, 프라이드 소형 승용 등 모두 5개 부분을 석권하며, 전통 강자인 혼다 및 도요타 등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치고 가장 많은 수상 부문에 이름을 올리는 기염을 토했다. 

특히 이번 수상은 기아 모델에 대한 시장의 높은 잔존가치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최근 중고차 시장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과 맞물려 중고차 가격에 대한 우려 해소와 함께 신차 구매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J.D. Power 에릭 라이먼 부사장은 "기아의 성적표는 그동안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대변해준다"라며, "기아는 디자인과 품질, 잔존가치 측면에서 매우 강력한 상품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무시할 수 없는 강자가 됐다"고 설명했다.

관련해 기아 관계자는 "잔존가치 최다 차종 수상 브랜드에 선정된 것은 미국 시장에서 기아의 우수한 품질과 상품성을 인정받은 결과"라며, "지속적으로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며 고객이 믿고 선택할 수 있는 상품라인업으로 시장의 기대에 부응해 나갈 것"이라 전했다.

기아는 J.D. Power가 올해 초 발표한 '2022 내구품질조사(VDS)'에서 고급 브랜드 포함 총 32개 브랜드 가운데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으며 전체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J.D. Power는 2020년 미국 최고 권위의 중고차 잔존가치 평가사인 ALG사를 인수, ALG본부 주관으로 매년 다음 해 가장 높은 잔존가치가 예상되는 모델을 차급별로 선정해 잔존가치상을 수여하고 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반응형

[Motoroid / New Car]

K5 vs 쏘나타

현대차와 기아의 간판급 국민차 '쏘나타'와 'K5'가 이달 동시에 연식변경을 단행하고, 상품성 업그레이드를 통해 치열한 경쟁을 펼칠 전망이다. 
 
특히 쏘나타는 차명에 '센슈어스'를 붙이고, K5는 최상위 스페셜 모델 '블랫 핏'을 새롭게 추가하는 등 기존과 차별을 두기 위해 다양한 변화를 꾀했다.

2023 쏘나타 센슈어스

먼저 현대차는 쏘나타 연식변경 모델 '2023 쏘나타 센슈어스'를 새롭게 선보였다. 2023 쏘나타 센슈어스는 전 트림에 '진동경고 스티어링 휠'을 신규 적용하고, 고객 선호 트림에 지능형 안전 기술을 기본 적용해 이전 모델 대비 상품성을 끌어올렸다.

새롭게 적용되는 진동경고 스티어링 휠은 그랜저 등 상위 차급에 적용되던 고급 사양에 해당한다. 전방 차량과의 충돌, 차량의 차선 이탈, 후측방 충돌 위험, 운전자 주의 경고 시 스티어링 휠 진동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해주는 지능형 안전 기술로 높은 안전성을 추구하는 고객들에게 선호도가 높은 사양이다.

특히 주력 트림인 프리미엄 플러스에는 전방 충돌방지 보조, 고속도로 주행 보조,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등 지능형 안전 기술을 기본화해 안전성과 편의성을 강화했다.

또 인스퍼레이션 트림에는 고객 선호 편의 사양인, 서라운드 뷰 모니터, 후측방 모니터를 기본화해 상품 경쟁력을 강화했다. 최상위 인스퍼레이션 트림 기반의 'N 라인 디자인 에디션' 트림에는 쏘나타 N 라인 전용, 블랙 하이그로시 라디에이터 그릴, 리어 스포일러, 19인치 알로이 휠, 피렐리 타이어 등을 적용해 고성능 이미지를 더했다. 

더 2023 K5

이에 맞서는 기아는 K5의 연식변경 모델 '더 2023 K5'를 투입한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더 2023 K5는 블랙 하이그로시 재질의 가니쉬를 기본으로 적용해 외장에 고급감을 더하고, 옵션으로만 선택할 수 있었던 일부 고급 편의 사양을 트림별로 기본 적용하여 상품성을 강화했다. 

주력 고급 트림인 노블레스에는 뒷좌석 측면 수동 선커튼을 기본 적용, 최상위 트림인 시그니처에는 선택사양으로 운영되던 10.25인치 내비게이션을 기본화했다. 또 하이브리드 모델에는 스마트폰 무선충전 시스템을 전 트림 기본으로 적용하고, 노블레스 이상 고급 트림에는 전방레이더를 기본 탑재해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전방 충돌방지 보조 기능을 추가하는 등 주행 안전성을 업그레이드했다. 

여기에 한층 고급스럽고 스포티한 디자인을 찾는 고객들을 타깃으로 한 최상위 스페셜 모델 '블랙 핏'도 새롭게 추가된다. 

새롭게 선보이는 블랙 핏 모델은 18인치 블랙 포인트 전면가공 휠, 블랙 하이그로시 리어 스포일러를 탑재해 외장의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고 내장에 스웨이드 헤드라이닝, 스웨이드 A/B 필라, 헤어라인 패턴 가니쉬를 적용하는 등 고객들의 차별화된 프리미엄 취향을 반영했다.

가격은 2023 쏘나타 센슈어스가 가솔린 2.0 모델 모던 2,592만 원, 프리미엄 플러스 2,864만 원, 인스퍼레이션 3,357만 원, N 라인 디자인 에디션 3,500만 원, 가솔린 1.6터보 모델 모던 2,673만 원, 프리미엄 플러스 2,945만 원, 인스퍼레이션 3,439만 원, N 라인 디자인 에디션 3,581만 원이다.

2.0 LPi 모델은 모던 2,655만 원, 프리미엄 플러스 2,927만 원, 인스퍼레이션 3,362만 원, 단일 트림으로 운영되는 N 라인은 3,633만 원이다. 또 하이브리드는 모던 2,946만 원, 프리미엄 플러스 3,205만 원, 인스퍼레이션 3,706만 원이다.

더 2023 K5는 2.0 가솔린 모델, 트렌디 2400만 원, 프레스티지 2651만 원, 노블레스 2862만 원, 시그니처 3205만 원이며, 1.6 가솔린 터보 모델 트렌디 2479만 원, 프레스티지 2768만 원, 노블레스 2979만 원, 시그니처 3284만 원이다.  

또 2.0 하이브리드의 경우 트렌디 2834만 원, 프레스티지 3031만 원, 노블레스 3262만 원, 시그니처 3551만 원이다. 2.0 가솔린 모델과 1.6 가솔린 터보 모델에 블랙 핏 사양 선택 시 50만 원, 2.0 하이브리드의 경우 70만 원이 추가된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반응형

[Motoroid / Report]

현대차그룹이 쏘나타 단종을 비롯해 기아 옵티마(국내명 K5)와 스팅어 등 주력 세단 3개 차종을 미국 시장 라인업에서 삭제했다.

지난 25일(현지시각) 오토모티브 뉴스 등 해외 매체 보도에 따르면, 최근 현대차그룹은 북미시장 판매 라인업에 쏘나타, 옵티마, 스팅어 등 3개 모델의 판매 중단을 추진한다.

현대차는 올 초 미국 앨라배마 공장에서 쏘나타 생산을 사실상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GV70 전동화 모델과 싼타페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생산에 집중하기 위함이다. 

또한 쏘나타는 차세대 풀체인지 모델 개발이 중단되며, 내년 한차례 부부변경을 마지막으로 2028년께 단종이 예고됐다.

기아 옵티마(K5)도 후속모델 계획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스포츠 세단 스팅어는 후속 모델 없이 단종 수순을 밟게될 전망이다.

그간 쏘나타, 옵티마, 스팅어의 단종설 및 판매중단 소식이 꾸준히 제기됐던 이유는 판매부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쏘나타의 북미 누적 판매량은 9,800여 대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 3만 여대를 판매한 것과 비교하면 68% 급감했다. 또 옵티마는 지난해 3만대를 판매했지만, 올해 2만3,000여 대로 큰 폭 감소했다.

두 차종의 판매 감소율은 친환경 수소차 넥쏘를 제외하면 미국 전체 판매라인업 중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수치다.

관련해 현대차 북미법인 관계자는 "쏘나타와 옵티마는 현대차그룹 제품 라인업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는 모델이지만, 차세대 모델 개발을 중단한 상황이다"라고 밝혔다.

간판급 중형 세단들의 판매 중단 소식에 현대차그룹이 내연기관 라인업을 전동화 모델로 대체하는 것이 예상보다 앞당겨지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쏘나타와 옵티마의 판매 중단 시기는 현대차 아이오닉 6, 기아 EV7 등의 출시 시기와 맞물릴 것으로 예상되며, 스팅어는 EV6 GT 라인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쏘나타는 지난 1985년 10월 이후 지금까지 37년간 유지해온 최장수 모델인 만큼, 향후 차세대 전기 모델를 통해 명맥을 이어갈 가능성이 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오는 2025년까지 총 63조원을 투자해 전동화를 주축으로 한 PBV, UAM 등 미래 모빌리티 전환을 추진할 전망이다.

현대차는 전기 신차 18종(제네시스 포함), 기아는 13종을 각각 출시해 글로벌 시장에서 320만대 이상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반응형

[Motoroid / Spyshot]



위장막을 쓴 채 주차돼있던 기아자동차의 K5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모델이 포착됐다. 


기아자동차는 올해 4월 주행성능을 강조한 퍼포먼스 트림 'K5 GT'와 편의사양 및 디자인 강화를 이룬 '2018 K5'를 출시했으며, 올해 말이나 내년 초 K5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추가로 선보이며 본격 내수·실적 회복에 나설 것으로 분석된다. 




해당 스파이샷을 통해 몇 가지 변경 사항을 예측해볼 수 있다. 전면부 공기흡입구는 매시(그물) 디자인을 적용해 스포티한 면을 강조하고, 램프류 라인에 디자인 변경이 일어날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직선으로 길게 뻗었던 기존 테일램프의 LED 라인은 직각으로 떨어질 것으로 보이며, 덕분에 한층 세련된 분위기를 풍길 것으로 기대된다. 



차량에 장착된 휠도 고급 세단에서 찾아볼 수 있을법한 휠이 적용됐으며, 휠 안에는 고성능을 상징하는 붉은 브레이크 캘리퍼가 자리하고 있다. 



기아차가 이번 K5 페이스리프트 모델에 거는 기대는 꽤나 클 수밖에 없다. 기아차의 대표 세단이라 할 수 있는 K시리즈가 판매 부진으로 고전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K5는 지난해 1~9월 국내에서 2만 8286대가 판매됐지만, 올해는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8.5%나 줄어들어 큰 감속폭을 보였다. 지난 2010년 처음 등장해 세단의 전성기를 누렸던 K5의 모습과는 크게 대조되는 셈이다. 


최근 SM6, 말리부 등의 후발주자들이 세련된 디자인과 고급화 전략을 통해 시장 공략에 나서면서 경쟁은 한 층 더 치열해지고 있다. 과연 기아차가 상품성을 강화한 K5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통해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사진 : 모터로이드 독자 김동현님 제보 *


글 : 모터로이드 뉴스팀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