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국내 수입차 350만대 돌파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가 지난해 말 기준 등록된 수입차는 총 350만 8876대, 10년 사이 200만 대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11년 59만 8,558대 대비 6배나 증가한 수치이며, 국토교통부에 등록된 우리나라 자동차 전체 2629만 7919대의 13.3%를 차지한다.

수입차 총등록대수 통계에 따르면,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26.8%(93만 9163대)로 수입차 최다 등록 지역으로 나타났다. 서울이 19.5%(68만 3768대)로 뒤를 이었으며 인천 8.8%(30만 7703대), 부산 8.3% (29만 2769대), 경남 6.2%(21만 6816대) 순이다. 광역시 단위 지역에서는 인천이 가장 높은 순위에 올랐다.

수입차의 차령 분석 결과 약 79.8%가 10년 미만으로 나타났다. 5년 미만이 41.8%(146만 6,807대)로 가장 많았으며, 5년 이상 ~ 10년 미만이 38.0%(133만 3,445대), 10년 이상~15년 미만 15.6%(54만 6,487대)로 나타났다. 차령이 15년 이상~20년 미만은 12만 5,327대로 3.6%를 차지, 20년 이상은 3만 6810대(1.0%)이다.

국내에서 운행되고 있는 수입차 중 점유율이 가장 높은 승용차 브랜드는 메르세데스-벤츠 22.9%(80만 2,494대)이며, BMW 20.5%(72만 472대), 아우디 6.6%(23만 3,140대), 폭스바겐 6.1%(21만 2,775대), 렉서스 4.1%(14만 4,105대) 등이 뒤를 이었다.

볼보 3.5%(12만 1537대), 미니 3.4%(11만 9,854대), 토요타 3.2%(11만 3,090대), 포드 2.8%(9만 7,369대), 테슬라 2.7%(9만 3,186대)도 10위권 내에 포함되었다.

상용차 브랜드는 볼보트럭(1만 8,123대)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다. 볼보트럭의 점유율은 등록된 전체 수입차의 0.5%, 상용차의 35.8%를 차지했다. 스카니아(1만 1,570대), 메르세데스-벤츠(1만 980대), 만(9,579대), 이스즈(2,863대), 이베코(2,698대), 비와이디(1,925대), 메르세데스-벤츠 밴(944대), 히노(377대)로 집계됐다.

한편, KAIDA에서 제공하는 통계는 국토교통부 등록 기준으로 총등록통계는 2011년부터 지역별, 브랜드별, 모델별 통계 검색이 가능하다.

[모터로이드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10명 중 7명, 올해 차 산다면 비싼 신차 대신 '중고차' 선택

지속되는 경제 불황 속에서 불필요한 지출을 최소화하고 실용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지는 가운데,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도 경제성이 높은 중고차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엔카닷컴이 발표한 소비자 설문 결과에 따르면, 올해 차량을 구매한다면 10명 중 7명이 신차보다 중고차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설문조사는 올해 소비자들의 자동차 구매 계획과 구매 시 고려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2월 4일부터 10일까지 총 2,28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올해 차량을 구매할 계획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 가운데, 중고차를 고려하는 응답자는 71.7%로 중고차 선호도가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중고차 구매를 선택하는 이유로는 '신차 대비 합리적인 가격(60.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는 경기 불황 지속으로 인한 합리적 소비 추구 경향이 강해진 데다, 신차 가격 부담이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평균 신차 가격이 4~5천만원대에 이르는 반면, 중고차는 1~2천만원대에서도 다양한 선택지가 있어 경제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다음 고려 사항으로는 ‘희망하는 연식과 옵션 등 선택의 다양성(13.6%)’, ‘단종된 모델 구매 가능(9.7%)’ 순이었으며, 이 외 ‘즉시 출고 가능(5.7%)’, ‘연식에 따른 세금부담 및 감가상각 부담 감소(5.3%)’, ‘이전 대비 높아진 중고차 신뢰성(3.8%)’도 고려 이유로 조사됐다.

자동차 구매 시 고려하는 예산으로는 2~3천만원대를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22.1%가 ‘2천만원 이상 3천만원 미만’을 선택했으며, 이어 ‘3천만원 이상 4천만원 미만’이 21.1%로 뒤를 이었다. 이어 ‘1천만원 이상 2천만원 미만’(18.5%), ‘5천만원 이상’(16.0%), ‘4천만원 이상 5천만원 미만’(14.3%), ‘1천만원 미만’(7.9%) 순으로 나타났다.

구매 시 고려 차종은 ‘SUV∙RV’(39.0%)가 가장 높은 선택을 받았다. 넉넉한 공간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수요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2위는 ‘세단’(34.6%)이 차지했고, 이어 ‘경차’(8.5%), ‘쿠페∙컨버터블’(7.4%), ‘해치백’(4.5%), ‘미니밴’(2.7%), ‘왜건’(2.2%) 순이었다.

연료 타입으로는 ‘가솔린’(44.8%)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하이브리드’(22.0%), ‘디젤’(13.2%), ‘전기’(12.8%), ‘LPG’(7.2%) 순이었다.

전체 응답자 중 2030세대에 해당하는 응답자들도 올해 차량 구매를 고려하는 이들 중 74.9%가 중고차를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자동차 구매 시 고려하는 가격대는 2천만원대가 22.6%로 가장 높았으며, 1천만원대(20.9%)도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젊은 층에서도 실용적 소비 트렌드가 확산되며 보다 현실적인 가격대를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Latest News]

메르세데스-벤츠

메르세데스-벤츠가 주요 거점 도시의 고객 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해 서울과 대구에 '벤츠 방배 서비스센터'와 '벤츠 대구 북구 서비스센터' 등 대형 서비스센터 2곳을 오픈했다.

새롭게 문을 연 방배 서비스센터는 지하 3층, 지상 2층의 총 연면적 5,780.82㎡(약 1,750평) 규모로, 베테랑 테크니션 등 총 35명의 정비 전문가 근무, 동시에 차량 정기 점검, 일반 정비 및 사고 수리가 가능한 27개의 워크베이 보유 등을 통해 하루 약 100대까지 전문적인 차량 수리가 가능하다.

또한 방배 서비스센터는 사당IC, 강남순환도로 등과 인접해 있어 서울 강남 및 서초 등 지역에서 접근성과 편의성이 강화된 프리미엄 고객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하고 전문적인 차량 정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 북구 서비스센터는 연면적 22,128.30㎡(약 6,700평)에 지하 1층부터 지상 13층까지의 전용 대규모 고층 건물로, 메르세데스-벤츠 서비스 네트워크 중 대구 지역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만평역과 대구북부시외버스터미널 인근에 위치해 대중교통으로도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는 뛰어난 접근성을 갖췄으며, 일반 정비 및 사고 수리가 가능한 29개의 워크베이를 보유하고 있어, 영남권 고객들의 정비 수요를 충족하고 만족도 높은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대구 북구 서비스센터에는 TV 시청 전용 라운지, 안마의자 휴게실 등 다양한 편의 시설이 마련되어 있어 고객들이 대기 시간을 보다 쾌적하게 보낼 수 있다.

관련해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김나정 네트워크 개발 및 트레이닝 부문 총괄 부사장은 "방배 서비스센터와 대구 북구 서비스센터 모두 이용 고객이 많은 도심에 위치해 접근성이 좋으며, 약 30개에 달하는 워크베이를 갖추고 있어 고객에 더욱 신속한 정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앞으로도 고객분들이 차량을 믿고 맡길 수 있는 수준 높은 메르세데스-벤츠만의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지속 노력할 것”이라 전했다.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는 총 64개 공식 전시장, 74개 공식 서비스센터 운영을 통해 전국적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접근성 높은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BMW 5시리즈

1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대수가 1만 5,229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2024년 12월 대비 35.3% 감소, 전년 동월 2024년 1월 대비 16.4% 증가한 수치다.

특히 지난달 BMW는 간판모델 '5시리즈'를 1,804대를 판매해 베스트셀링 모델에 이름을 올렸고, 그 뒤로 벤츠 E클래스 1438대, 렉서스 ES 632대, 벤츠 GLS 607대, BMW X5 564대, BMW X3 532대가 이어졌다.

구체적으로 1월 브랜드별 등록대수는 BMW 5,960대, 메르세데스-벤츠 3,790대, 렉서스 1,126대, 볼보 1,033대, 포르쉐 644대, 토요타 430대, 포드 366대, 랜드로버 325대, 아우디 320대, 미니 234대, 혼다 177대, 쉐보레 134대, 링컨 134대, 폭스바겐 129대, 지프 120대, 폴스타 103대, 람보르기니 58대, 푸조 38대, 페라리 32대, 캐딜락 26대, GMC 14대, 마세라티 14대, 벤틀리 10대, 롤스로이스 7대, 테슬라 5대였다.

배기량별 등록대수는 2,000cc 미만 8,325대(54.7%), 2,000cc~3,000cc 미만 5,218대(34.3%), 3,000cc~4,000cc 미만 687대(4.5%), 4,000cc 이상 364대(2.4%), 기타(전기차) 635대(4.2%)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유럽 12,697대(83.4%), 일본 1,733대(11.4%), 미국 799대(5.2%) 순이었고 연료별로는 하이브리드 11,551대(75.8%), 가솔린 2,834대(18.6%), 전기 635대(4.2%), 디젤 209대(1.4%) 순이었다.

구매유형별로는 15,229대 중 개인구매가 8,971대로 58.9%, 법인구매가 6,258대로 41.1% 였다. 개인구매의 지역별 등록은 경기 2,624대(29.2%), 서울 1,849대(20.6%), 부산 568대(6.3%) 순이었고 법인구매의 지역별 등록은 부산 2,139대(34.2%), 인천 1,654대(26.4%), 경남 1,036대(16.6%) 순으로 집계됐다.

1월 베스트셀링 모델은 BMW 520(1,051대), 렉서스 ES300h(632대), 메르세데스-벤츠 E200(604대) 순이었다.

BMW 520i는 지난해 수입 세단 시장에서 단일 엔진 사양 기준 판매 1위를 달성한 모델이다. 인기 상위권에 오른 수입 세단 'BMW 520i'는 지난해 베스트셀링 모델로 기록된 데 이어 올초 1월부터 1천대 이상 판매되며 8세대 5시리즈가 보유한 탁월한 상품성을 자연스럽게 입증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BMW 5시리즈는 우수한 상품성으로 지속적인 판매 상승세를 그리고 있다. 특히 520i는 엔트리 트림임에도 불구하고 상향등 보조 기능이 적용된 어댑티브 LED 헤드라이트, 운전자가 주행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BMW 커브드 디스플레이 및 BMW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차량의 외관 디자인을 한층 스포티하게 가꾸는 19인치 휠 등 고객 선호도가 높은 고급 사양들이 기본 탑재됐다.

차내에는 최고출력 190마력, 최대토크 31.6kg·m를 발휘하는 BMW 트윈파워 터보 엔진이 장착되며 48볼트 마일드 하이브리드 기술이 기본으로 적용된다. 48볼트 스타터-제너레이터가 출발 가속이나 추월, 정속 주행 등 상황에 따라 11마력의 추가 출력을 발휘해 가속성능과 반응성, 연료 효율면에서 엔진을 보조한다. 오토 스타트-스톱 기능이나 탄력 주행 기능 사용 시에는 재시동 시의 진동을 최소화해 한층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한다.

첨단 운전자 보조 장치도 최고 수준으로 갖췄다. BMW 520i에는 스톱 앤 고 기능이 포함된 액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차선 유지 보조 기능, 전후방 충돌 및 추돌 경고 시스템 등을 포함한 드라이빙 어시스턴트 프로페셔널이 기본으로 적용된다. 주차 및 후진 보조 기능, 서라운드 뷰 등이 포함된 파킹 어시스턴트 플러스 역시 기본 사양으로 제공되어 안전하고 편안한 주행을 지원한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Latest News]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11세대 모델이 유럽 신차 안전도 평가 프로그램 '유로 NCAP'에서 '2024년 가장 안전한 차량'에 선정됐다.

유로 NCAP은 유럽 각국의 교통부, 보험 협회 등이 지난 1997년부터 유럽 시장에서 판매되는 신차 안전도를 평가해 정보를 제공하는 공신력 있는 프로그램으로, 차량 충돌 테스트 및 안전장치 등을 종합적으로 테스트해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이번 유로 NCAP에서 E-클래스는 성인 탑승자 보호, 어린이 탑승자 보호, 보행자 보호, 안전 기술 등 네 분야에서 고루 높은 점수를 받아, 2024년에 평가를 진행한 모든 차량 중 가장 안전한 차(Best Performer)로 뽑혔다.

메르세데스-벤츠 E -클래스는 엔트리 모델인 E 200으로 국내에서도 안전성을 인정받았다. 지난 12월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이 발표한 ‘24년 자동차안전도평가’에서 충돌안전성, 외부통행자안전성, 사고예방안전성 등 총 3개 분야 20개 항목 평가 결과 종합점수 1위에 오르며 ‘최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는 국내외 권위 있는 안전도 평가 기관으로부터 높은 결과를 연이어 받으며, 운전자 지원 및 안전 시스템 개발 역량 등 안전 기술에 대한 우수성을 증명하게 됐다.

더불어,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는 보험개발원에서 실시하는 차량모델등급 평가 결과에서 이전 대비 향상된 16등급을 받았다.

보험개발원의 차량모델등급 평가는 차량모델별 충돌사고 시 손상 정도 및 수리 용이성, 손해율에 따라 보험료 등급을 책정하는 제도로, 이를 통해 E-클래스 고객은 더욱 낮은 자차보험료로 차량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메르세데스-벤츠

메르세데스-벤츠가 연초부터 베스트셀링 세단 'E클래스 E200'의 구매 헤택을 강화,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선다.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E200'은 최근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벤츠의 호실적을 견인하고 있는 효자 모델로 꼽힌다.  

특히 E200은 지난해 말 10%가 넘는 할인율로 1,000만원 이상의 할인액을 제공, 파격 프로모션으로 큰 주목을 받기도 했다.

벤츠는 이달 말까지 E200 출고 고객 대상으로 보증을 최대 2년 또는 7만 km(선도래 기준)까지 연장하는 상품을 1월 31일까지 무상 제공, 뜨거운 인기를 이어나갈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1월 한 달간, 메르세데스-벤츠 E 200 신규 고객을 대상으로 메르세데스-벤츠의 보증 연장 상품(소비자가격 2백만 원 상당)을 무상 제공한다. 

해당 상품은 메르세데스-벤츠의 ‘워런티 플러스 어드밴스’와 동일한 보증 범위를 보장하는 것으로, 파워트레인, 차체, 일반부품 등에 대한 보증 수리 혜택 및 긴급출동 서비스에 대한 무상 보증을 2년 또는 7만 km(선도래 기준)까지 연장해, 신규 차량은 총 5년 또는 17만 km(선도래 기준)까지 보증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번 보증 연장은 24년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 종합점수 1위를 기념해 실시하는 것으로, E200은 지난 12월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이 발표한 ‘24년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에서 충돌안전성, 외부통행자안전성, 사고예방안전성 등 총 3개 분야 20개 항목 평가 결과 종합점수 1위에 오르며 ‘최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

관련해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이상국 세일즈 부문 총괄 부사장은 “한국 고객들의 높은 안전 기준과 신뢰에 부응한 이번 평가 결과를 통해 E-클래스의 가치를 증명할 수 있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보다 많은 분들께 그 가치를 전달하고자 이번 보증 연장 혜택을 준비했으며, 앞으로도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로 삼각별의 위상을 더욱 높이며 고객들께 특별한 만족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벤츠 워런티 플러스는 공식 보증 서비스 기간이 종료된 후에도 주요 부품 수리 및 긴급출동 서비스에 대한 보증을 연장하는 상품으로, 보증 범위 및 가입 가능 시점에 따라 베이직, 어드밴스, 엑스트라 총 3가지로 구분된다. ‘워런티 플러스’를 통해 메르세데스-벤츠 고객은 공식 서비스 보증을 추가로 2년 또는 6만 km까지 연장해, 차량 등록 후 최대 8년 차 또는 21만 km(선도래 기준)까지 보증 가입을 유지할 수 있으며, 신차 및 중고차 고객 모두 가입할 수 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Latest News]

벤츠 E클래스 E200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E200이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이 진행한 '24년 자동차안전도평가'에서 3개 분야 평가에서 최고 종합점수를 획득해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특히 E200은 이번 평가 대상 차종 중 가장 높은 종합점수로 1등급을 획득해 최고상의 영예를 안았다.

구체적으로 충돌안전성, 외부통행자안전성, 사고예방안전성 등 총 3개 분야의 20개 항목 평가시험을 진행했으며, 평가 대상 9개 차종 가운데 가장 높은 종합점수인 91.92점을 기록했다.

E200은 벤츠의 호실적을 견인하고 있는 효자 모델로 꼽히며, 국내 출시 이후 11월 기준 누적 7,700대 이상 판매됐다. 

특히 E200은 최근 10%가 넘는 할인율로 1,000만원에 가까운 할인액을 제공, 파격 프로모션으로 큰 주목을 받기도 했다.  

E200에는 메르세데스-벤츠의 최신 주행 보조시스템인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플러스’가 탑재돼 있다. 여기에는 앞차와의 간격 유지 및 자동 속도 조절, 제동 및 출발을 지원하는 액티브 디스턴스 어시스트 디스트로닉, 전방의 정지 차량뿐만 아니라 차량 앞 위험 구역의 보행자 및 자전거 운전자를 감지해 충돌 경고 및 제동을 지원하는 액티브 브레이크 어시스트, 360도 카메라를 통해 차선 유지 기능을 지원하는 액티브 스티어링 어시스트, 측면 충돌 감지 시 사이드 볼스터를 부풀려 앞좌석 탑승자를 보호하는 '프리-세이프 임펄스 사이드' 등이 포함돼 더욱 안전한 주행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E200에 탑재된 11개 에어백 중 '뒷좌석 사이드 백'은 심각한 측면 충격 발생 시, 도어 또는 사이드 월 트림과 뒷좌석 창가 승객 사이에 에어쿠션을 작동시켜 가슴 부위를 보호해 뒷좌석 탑승자의 심각한 부상을 줄이도록 돕는다.

이 외에도 럭셔리 세단의 안락함과 최신 3세대 MBUX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첨단 기술, 고급스러운 실내와 넓은 공간 등이 결합돼 편안한 주행 경험을 선사한다.

한편,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은 매년 자동차안전도평가를 진행하며 신차에 대한 안전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그 결과를 소비자에게 공개하고 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E클래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메르세데스-벤츠가 럭셔리 세단 E-클래스(W214)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인 'E350 e 4매틱 위드 EQ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를 국내 출시한다.

이번에 선보이는 E350 e 4매틱 위드 EQ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는 지난 1월 출시한 11세대 E-클래스(W214)의 신규 트림이다.

차내에는 직렬 4기통 가솔린 엔진과 전기모터가 함께 맞물리며, 강력한 주행 성능과 효율성을 모두 제공한다. 이와 함께 티맵 기반 차량용 내비게이션 '티맵 오토' 및 국내 고객 선호 최첨단 안전 및 편의사양들을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E350 e 4매틱 위드 EQ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는 메르세데스-벤츠 4세대 PHEV 시스템을 갖췄다. 95kW 출력의 전기 모터를 통해 내연기관 사용 없이 국내 인증 기준 최대77km까지 순수 전기만으로 주행 가능하며 WLTP기준으로는 최대 105km의 복합 순수 전기 주행거리를 제공한다. 

2.0리터 4기통 가솔린 터보 엔진이 9단 자동변속기와 맞물리며, 최대 440Nm의 전기 모터 토크를 차량 출발 시점부터 발휘한다. ‘일렉트릭’ 모드에서 최대 시속 140km까지 전기로 주행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저공해차량 2종 인증 획득으로 혼잡 통행료 및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감면 등의 혜택도 제공한다.

E 350 e 4매틱 위드 EQ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에는 메르세데스-벤츠 차량 중 최초로 ‘티맵 오토[4]’가 탑재됐다. 티맵 오토는 3세대 MBUX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맞춤 설계됐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별도의 외부 애플리케이션 연동 없이 차량 자체 시스템에서 티맵 오토 및 이와 연동된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번 모델 이전에 출시된 신형 E-클래스(W214) 전 차종과 CLE 쿠페 및 CLE 카브리올레 전 차종, 2025년식 GLC SUV 및 쿠페, 2025년식 C-클래스 고객들도 이 달부터 서비스센터에서 티맵 오토를 무상으로 업데이트 받을 수 있다.  

외관은 익스클루시브 디자인을 적용했으며, 라디에이터 그릴에 3개의 수평 트윈 루브르와 보닛 위에 수직형 엠블럼으로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 또한 차량은 주행 중 헤드램프로 도로 위에 차선 유지 등의 기호를 투사해 야간 주행 안전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프로젝션 기능이 더해진 디지털 라이트도 사용 가능하다. 고객은 해당 기능을 메르세데스-벤츠 스토어에서 구매해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차량에는 3세대 MBUX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탑재됐다. 이를 통해 자동화된 차량 설정을 지원하는 루틴 기능을 제공하며, 차량 내 데이터를 통해 유튜브, 줌, 앵그리버드, 틱톡 등 다양한 제3자 개발 애플리케이션도 제공한다. 특히 한국 소비자들을 고려한 에센셜, 플로, 멜론, 웨이브 등 국내의 다양한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및 OTT도 제공한다.

그 외에도, 헤드업 디스플레이, 부메스터 4D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무선 애플 카플레이 및 안드로이드 오토, 앞좌석 모바일 기기 무선 충전, 파노라믹 선루프, 앞좌석 열선 및 통풍 시트, 뒷좌석 열선 시트, 열선 스티어링 휠, 핸즈 프리 액세스, 전동 트렁크, 톨 정산 시스템 등 국내 고객들이 선호하는 옵션들을 기본으로 제공한다.

이와 함께, 차량에는 가장 최신 주행 보조시스템인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플러스가 탑재됐다. 여기에는 앞차와의 간격 유지 및 자동 속도 조절, 제동 및 출발을 지원하는 액티브 디스턴스 어시스트 디스트로닉, 360도 카메라를 통해 차선을 감지하는 액티브 스티어링 어시스트 등이 포함됐다. 이와 함께, 프리-세이프 임펄스 사이드가 더해져 측면 충돌 감지 시 사이드 볼스터를 부풀려 앞 좌석 탑승자를 보호한다.

벤츠 E350 e 4매틱 위드 EQ 하이브리드 테크놀로지의 가격은 9,700만원이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Latest News]

메르세데스-벤츠

메르세데스-벤츠 한성차가 '12월 윈터 페스타' 프로모션을 통해 E200 아방가르드 구매 혜택과 전 차종 구매 시 경품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한성차 전국 20개 전시장에서 메르세데스-벤츠 E200 아방가르드(2025년식) 구매 시 연말 최고 판매 조건을 제공한다. 

오는 31일까지 E200 아방가르드와 GLC300 4매틱 쿠페 아방가르드를 출고하는 고객에게는 추첨을 통해 국내 최초 중식 여성 셰프로 유명한 정지선 셰프의 중식당 ‘티엔미미’ 2인 식사권을 증정한다.

또 20일까지 한성자동차에서 신차 및 인증 중고차를 출고하는 고객에게는 추첨을 통해 조선펠리스 호텔 숙박 바우처, 반얀트리 스파 바우처, 뮤지컬 ‘알리딘’ 티켓, 바샤 커피 세트, 메르세데스-벤츠 곰돌이 키링, 스타벅스 기프트 카드 등을 경품으로 증정한다.

관련해 한성차 관계자는 “오직 한성자동차에서 구매하는 고객만이 누릴 수 있는 12월의 특별한 혜택을 마련했다”라며, “앞으로도 한성자동차에서 경험하는 메르세데스-벤츠 구매 여정에서 모든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모션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것”이라 전했다.

한편, 메르세데스-벤츠 E200은 9월, 10월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판매 1위를 기록, 벤츠의 호실적을 견인한 효자 모델로 꼽힌다. 

특히 E200은 10%가 넘는 할인율로 1,000만원에 가까운 할인액을 제공, 파격 프로모션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Report]

메르세데스-벤츠

메르세데스-벤츠가 BMW를 제치고 두 달 연속 '수입차 판매 1위'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 발표에 따르면 10월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대수는 전월(9월) 24,839대보다 14.5% 감소, 2023년 10월 21,329대보다 0.4% 감소한 21,249대로 집계됐다. 10월까지 누적대수 215,980대는 전년 동기 219,071대보다 1.4%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브랜드별 등록대수는 메르세데스-벤츠가 6,427대로 가장 많았다. 이어 BMW 6,113대, 렉서스 1,283대, 테슬라 1,263대, 볼보 1,161대, 아우디 943대, 토요타 754대, 폭스바겐 741대, 포르쉐 701대, 미니 538대,  랜드로버 305대, 지프 183대, 포드 165대, 링컨 154대, 쉐보레 138대, 혼다 120대, 캐딜락 53대, 람보르기니 49대, 벤틀리 36대, GMC 36대, 푸조 35대, 폴스타 20대, 마세라티 16대, 롤스로이스 15대로 기록됐다. 

베스트셀링 모델은 메르세데스-벤츠 E200(1,038대), 비엠더블유 520(1,031대), 테슬라 모델Y(951대) 순으로 기록됐다.

가장 많은 판매대수는 기록한 '메르세데스-벤츠 E200'은 지난 9월에도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판매 1위를 기록한 벤츠의 호실적을 견인한 효자 모델로 꼽힌다. 

특히 E200은 10%가 넘는 할인율로 1,000만원에 가까운 할인액을 제공, 파격 프로모션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배기량별 등록대수는 2,000cc 미만 11,280대(53.1%), 2,000cc~3,000cc 미만 5,628대(26.5%), 3,000cc~4,000cc 미만 710대(3.3%), 4,000cc 이상 472대(2.2%), 기타(전기차) 3,159대(14.9%)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유럽 17,100대(80.5%), 미국 1,992대(9.4%), 일본 2,157대(10.2%) 순이었고 연료별로는 하이브리드 11,620대(54.7%), 가솔린 4,955대(23.3%), 전기 3,159대(14.9%), 플러그인하이브리드 872대(4.1%), 디젤 643대(3.0%) 순이었다.

구매유형별로는 21,249대 중 개인구매가 1만 2,862대로 60.5%, 법인구매가 8,387대로 39.5%였다. 개인구매의 지역별 등록은 경기 4,060대(31.6%), 서울 2,706대(21.0%), 부산 801대(6.2%) 순이었고 법인구매의 지역별 등록은 부산 2,405대(28.7%), 인천 1,968대(23.5%), 경남 1,300대(15.5%) 순으로 집계됐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