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Motoroid / New Car]

올들어 수입차 브랜드들이 앞다퉈 전기차 출시를 예고하는 등 수입 전기차 시장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EV 트렌드 코리아 2024' 사무국의 전기차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전기차 이용자들의 가장 큰 불편 사항으로는 '주행거리 제약으로 인한 충전의 번거로움'이 36%로 1위를 차지했다. 

전기차 구매 시 필수로 고려해야 할 점은 단연 주행거리다. 이에 따라 럭셔리 전기차를 판매 중인 수입차 브랜드들은 앞다퉈 '주행거리'가 뛰어난 모델을 판매하고 있다. 국내 인증을 받아 현재 판매 중인 수입 전기차들 가운데 주행거리가 가장 좋은 모델을 살폈다. 

1회 충전 시 복합 주행거리 기준으로 봤을 때 주행거리가 가장 긴 모델은 '테슬라 모델 S'다. 모델S 기본형의 경우 1회 충전 주행거리가 555km이며, 고속도로 주행거리는 527km, 도심 주행거리는 578km다. 충전은 250kw급 약 30분(수퍼차저 기준)이 소요된다. 상위 트림인 모델 S 플레드는 복합 주행 거리 474km를 기록했다.

로터스 하이퍼 GT카인 '에메야(Emeya)'는 1회 충전 시 복합 주행거리 524km를 기록해 수입차 전체 2위를 차지했다. 기본형인 '에메야'와 상위 모델인 '에메야 S'가 동일하게 기록한 524km의 주행거리 수치는 동급 최고 수준에 해당한다. 특히 고속도로 주행거리에서는 '551km'에 달하는 놀라운 수치를 기록했으며 고속도로 주행 기준으로는 수입차 전체 1위에 해당된다.

에메야의 도심과 저온 환경 주행거리도 인상적이다. 도심에서는 503km, 저온 환경에서도 최대 425km의 주행거리를 확보했다. 뿐만 아니라 800V 전압 시스템을 갖춘 에미라는 초급속 DC 충전을 통해 잔량이 10% 남은 배터리를 80%까지 불과 14분만에 충전할 수 있다. 여기에 듀얼 모터 AWD 시스템으로 최고출력 612마력의 성능을 발휘해 다이내믹한 주행을 선보인다. 에메야는 수입차 동급 세그먼트 내에서 운전의 재미는 물론 급속 충전, 장거리 주행 성능까지 모두 갖췄다는 평을 받는다.

포르쉐 럭셔리 전기차 타이칸은 3위를 차지했다. 단, 배터리 플러스 옵션을 추가했을 때 기준이다. 104.6kWh의 대용량 배터리를 장착한 포르쉐 타이칸의 1회 충전 시 복합 주행 거리는 515km다. 기본형인 88.4kWh 배터리에서는 471km를 기록했다. 초급속 충전은 320kW 출력을 지원한다.

폴스타 4 모델은 511 km(복합 주행거리)로 수입차 전체 4위를 차지했다. 100kWh 리튬-이온 배터리와 200kW 모터를 결합한 폴스타 4 롱레인지 싱글모터 모델의 도심 주행거리는 530km, 고속도로에서는 488km의 성능을 발휘한다. 이 같은 수치는 수입 전기 SUV 중 최장 거리에 해당한다.

아우디가 올해 상반기 새로 출시 예정인 '아우디 Q6 e-트론 퍼포먼스 레인지 모델'이 환경부 주행거리 인증에서 복합 주행거리 507km를 획득했다. 도심 주행거리는 546km, 고속도로에서는 459km을 기록했다. 아우디의 새로운 전기SUV는 지난해 11월부터 사전계약을 받고 있다.

메르세데스 벤츠 EQS 450 4매틱은 118 kWh의 배터리 용량으로 498km(복합 주행거리)를 기록해 6위를 차지했다. 급속 충전 시 배터리 10%상태에서 80%까지 30분가량 소요된다. 도심 주행 거리는 510km, 고속도로 주행 거리는 482km를 기록했다.

포르쉐 타이칸 4와 4S는 복합 주행 거리 494km, 491km를 각각 기록했다. 두 모델 역시 배터리 플러스 옵션을 적용한 사양이다. 도심 주행 거리는 차례로 496km, 494km 고속도로 주행 거리는 492km, 488km다.

테슬라 모델3 롱레인지 모델은 복합 주행 거리 488km로 8위를 차지했다. 도심 주행 거리는 483km, 고속도로 주행 거리는 490km다. 81.65kWh 배터리가 탑재됐으며, 급속 충전 속도는 250kW를 지원한다.

2025년은 그 어느 때보다 수입차 브랜드들의 신차 공세가 치열할 예정이다. 특히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넉넉한 주행거리와 뛰어난 효율성을 갖춘 신형 전기차를 앞세워 전기차 수요 둔화 현상을 극복하고 시장에서의 재도약을 노리는 중이다. 높은 상품성과 경쟁력으로 무장한 수입 전기차들이 올 한해 다시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차진재 기자 = 8wlswo8@naver.com] <저작권자 (c) 모터로이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