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Motoroid / Column]

♧해당 글은 가벼운 주제를 다룬 글로, 여러분과 소통하고자 기사 형식이 아닌, 저만의 문체로 작성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모터로이드 편집장입니다. 

지난번 '자동차 디자인'을 다룬 글이 네이버 메인에 뜨면서 많은 분들이 제 글을 읽어주시고, 나아가 '자동차'라는 주제로 소통까지 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글에 앞서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시작하겠습니다. 


http://naver.me/FBRj9luy


저번 기획 글이 '자동차 디자인'에 대해 총체적으로 살펴봤던 글이었다면, 오늘은 조금 세분화된, 구체적인 글이 될 것 같습니다. 바로 '트윈 헤드 램프'입니다. 


"

트윈 헤드 램프, 네 개의 눈을 갖다.

"



트윈 헤드 램프는 일반적인 싱글 헤드 램프와는 달리, '2개로 나뉜 헤드라이트'를 갖습니다. 이 같은 이유로 '네 개의 눈'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트윈 헤드 램프가 적용된 차들은 뭐가 있을까요?



많은 분들이 가장 먼저 '벤틀리'를 떠올리실 거라 생각합니다. 원형의 '트윈 헤드 램프'는 벤틀리 하면 빼놓을 수 없는 디자인적 요소 입니다. '뮬산', '플라잉스퍼', '콘티넨탈 GT', 최근에 선보인 벤틀리의 첫 번째 SUV - 벤테이가까지 4개의 동그란 눈을 갖고 탄생했습니다. 이제는 헤드램프가 하나로 합쳐진 벤틀리는 상상이 가지 않을 정도로 '벤틀리'라는 브랜드의 상징 중 하나이자, DNA로 자리 잡았습니다. 


브랜드의 상징으로 자리 잡진 못했지만, 과거에 트윈 헤드 램프가 적용되어 그 위엄과 멋을 한껏 자랑했던 차들도 있습니다. 과거 재규어 차량들도 원형 트윈 헤드램프가 적용되어 중후함을 자랑했고, 렉서스 GS구형 모델에도 트윈 헤드 램프가 적용되었습니다. 



그리고 대망의 메르세데스 벤츠 E클래스의 역사 속에서도 트윈 헤드 램프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1995년 '트윈 헤드 램프'를 달고 등장한 7세대 E클래스(W210)는 혁신적인 외관 디자인으로 평가되며 큰 인기를 끌었고, '레드 닷 디자인 어워드'에서 디자인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이후 트윈 헤드 램프는 E클래스의 상징으로 자리잡아가나 싶었지만, 아쉽게도 2013년 페이스 리프트를 거치면서 싱글 헤드 램프가 적용되게 됩니다. 



고급 수입차에서만 트윈 헤드램프를 찾아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잘 아는 기아의 오피러스에도 트윈 헤드 램프가 적용되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풍겼고, 좀 더 과거로 들어가 보면 현대의 다이너스티, 기아 슈머, 기아 옵티마 리갈, 현대 티뷰론 등 트윈 헤드 램프가 적용된 국산차를 꽤나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느 시점부터 트윈 헤드 램프가 적용된 차량들을 찾아보기 힘들어졌습니다. 특히나 최근 출시되는 차들은 벤틀리를 제외하고는 감감소식입니다. 과연 인기가 없어서 일까요? 어떠한 이유에서 트윈 헤드 램프가 적용된 차들이 사라지게 됐는지 명확하게 답을 내릴 수는 없지만, 어쩌면 '디자인 추세'와 관련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90년대-200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둥글한 유선형 디자인이 꽤나 인기를 끌었습니다. 덕분에 굳이 벤틀리나 재규어가 아니더라도 트윈 헤드램프가 적용된 차들을 찾아볼 수 있었죠. 하지만 시간이 흐리면서 전반적으로 자동차 디자인이 젊어지는 추세고, 선과 엣지를 강조한 디자인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게 됩니다. 



아무래도 트윈 헤드램프는 '젊다', '선', '엣지' 등의 최근 트렌드 키워드와는 달리, 다소 중후하고 무게감이 느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재규어가 매니아층의 큰 지지를 받았던 트윈 헤드 램프를 과감히 버린 이유도 여기에 있지 않나 싶습니다. 당시 재규어의 차들은 타 브랜드 차량에 비해 클래식하고 올드한 느낌이 강했으니 말입니다. 


최근 브랜드마다 이어지는 '패밀리 룩'과도 어느 정도 연관이 있어 보입니다. 자동차 디자인은 단순 디자인을 넘어 브랜드 아이덴티티로까지 그 의미가 확대되어 왔습니다. 전 차종에 원형 트윈 헤드 램프가 적용되는 벤틀리의 경우, 이를 계속해서 고수해나가도 별문제가 없지만, 일부 차종에만 트윈 헤드 램프를 적용했던 타 브랜드는 '패밀리룩'을 확립하기에 어려움이 따릅니다. 


다시 말해, 브랜드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내 전 차종에 일관적 디자인이 적용되어야 했고, 이에 벤틀리를 제외한 타 브랜드는 일부 차종에만 트윈 헤드 램프를 적용하긴 어려웠을 것이라는 말입니다. 



메르세데스 벤츠가 E클래스의 상징으로 여겨지던 트윈 헤드 램프를 과감히 버린 이유도 어쩌면 여기에 있는지도 모릅니다. 현재 'C-E-S'로 이어지는 디자인이 지나치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닮은꼴 패밀리룩을 형성하고 있으니 말이죠. 


개인적으로 트윈 헤드 램프를 동경하고 지지하던 한 사람으로서, 그리고 차량 각각의 고유성과 독창성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한 사람으로서, 조금은 아쉬운 느낌이 없지 않아 듭니다. 



아직까지도 제 마음속의 진정한 E클래스는 트윈 헤드 램프가 적용된 E클래스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나, 페이스리프트 전 9세대 E클래스(W212)는 오래도록 제 마음속의 '레전드'로 남게 될 것입니다. 각진 트윈 헤드 램프가 적용된 E클래스가 갖던 고유성과 희소성, '4개의 눈'에서 뿜어져 나오는 중후함과 무게감, 말없이 상대를 압도시키는 알 수 없는 위엄과 품격이 너무 소중하게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현재의 트렌드와 조금 맞지 않는다고 해서 '트윈 헤드 램프'가 영원히 사라질 것이라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W212처럼 비교를 거부하는 고유성을 가진 매력적인 자동차가 훗날 등장할 것이라는 큰 기대감을 가지고 즐거운 마음으로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디자인이란 새로운 물이 계속해서 흐르는 물결과 같으니 말입니다. 


2017년 정유년(丁酉年), 미래라는 상류에서 어떠한 변화와 소식들이 흘러내려오게 될지 다 함께 지켜보는 것은 어떨까요? 다음 주로 다가온 설을 앞두고 미리 새해 인사드리며 이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모터로이드 독자분들 모두 새해 복(福) 많이 받으세요"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Junkyard Gem]

찬 바람이 싸늘하게 부는 텅 빈 공터에 차량 두 대가 나란히 서있다. 앞뒤로 번호판이 떼어진 것이 영락없이 방치된 듯 보이지만, 워낙 위풍당당한 풍채에 전시된 듯한 착각이 들었다. 어떤 사연으로 이곳에 방치된지는 알 수 없지만, 두 차량 모두 그냥 버려지기엔 아쉬운 차들임은 분명하다. 리스토어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두 차량은 어떤 차일까? 



국내서 구경하기 힘든 차량이 웃음을 유발했다. 둥글둥글한 눈과 티코만큼이나 작은 차체는 자동차계의 베이비(?)를 보는 듯 했지만, 태어난 해가 1991년이라는 사실을 떠올려보니 그렇지만은 않은 듯 하다.


스즈키 카푸치노 


스즈키 카푸치노(Cappuccino)는 90년대 초반에 탄생한 경형 스포츠카다. '작은 컵에 담겼다', '특징이 뚜렷하다', '세련됐다.' 이 세 가지 공통점이 이름만큼이나 카푸치노 커피와 닮았다. 


전장 X 전폭 X 전고가 3,295 X 1,395 X 1,185 (mm), 공차중량은 고작 725kg에 불과한 카푸치노는 일본 경차 규격에 맞춰 제작된 작은 차지만, 엄연한 스포츠카이기 때문에 무시하긴 곤란하다. 



658cc 직렬 3기통 터보 엔진이 탑재되어 63마력의 최고출력을 발휘하고, 시속 180km까지 힘차게 밀어붙인다. FR방식에 무게 배분 또한 50 : 50에 근접하다. 카푸치노의 실속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네 바퀴 모두 디스크 브레이크를 장착했고, 3피스로 구성된 루프로 상황에 따라 풀 오픈, 타르가 탑, T-탑 등 다양한 형태로 변신이 가능했다. 


작은 크기지만 알짜배기 경차 카푸치노. 도대체 이 시대에 이런 경차가 어떻게 탄생할 수 있었던건지 궁금증을 안 가질 수가 없다. 카푸치노의 탄생 비화는 일본이 경차로 유명한 이유와 연관이 있다. 


Japan bubble economy


바로 '일본의 버블 경제 붐'. 당시 일본은 버블경제 붐으로 자산 가치 폭등을 맞이했고, 이로 인해 기업들은 풍부한 자금을 바탕으로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 다양한 상품을 개발 및 출시하기 시작했다. 스즈키가 카푸치노만을 위한 전용 볼트까지 제작해 부품으로 사용했다고 알려질 정도이니, 어느 정도인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카푸치노는 1991~1992년까지 13,318대라는 판매량을 기록했고, 내수시장 전용이라는 기획과는 달리, 유럽까지 뻗어나갔고 심지어 영국, 독일, 홍콩까지 수출된다. 카푸치노를 비롯한 그 당시의 차종들은 일본의 버블 붕괴에 따라 불운의 끝을 맞이한다. 카푸치노는 그렇게 7년간 26,538대 생산을 끝으로 단종을 맞이했다. 


헤이세이 ABS


'마쯔다 AZ-1', '혼다 비트'와 함께 '헤이세이 ABC'대열의 'C'자리를 지켰던 카푸치노. 일본 버블경제가 낳은 기적의 명차이자 스즈키의 NSX로 불리며 지금까지도 인기가 식지 않는 차다. 


일본 내에서도 구하기 극히 힘들고, 중고시세 또한 엄청나다고 알려진 이 차가 도로 위에서 찬 바람을 맞으며 부동의 자세를 지키고 있다는 사실이 매우 안타까울 뿐이다. 이 시대 경차 컨버터블에 터보, 그리고 FR이라는 사실이 정말이지 믿어지지가 않는다. 


사진 = SUZUKIFAN


차세대 카푸치노 개발 소문도 들리고 있지만 확실하지 않아 갈증만 더 부축이는 상황이다. 언젠가 우리 땅에서도 S660, 코펜, 카푸치노같은 알짜배기 차량들을 흔하게 볼 수 있는 시대가 오길 간절히 바래본다. 





붉은색의 강렬한 컬러와 길쭉한 프론트 오버행, 낮게 깔린 차체. 한눈에 봐도 평범한 차량이 아님은 분명하게 알 수 있는 이 차는 '4세대 카마로'다. 영화 트랜스포머의 '범블비'로 유명한 5세대 카마로로 넘어가기 전 모델로, 1993년 디트로이트 오토쇼에서 처음 등장하여 1993년부터 2002년까지 생산되었다. 


좌 : 전기형 / 우 : 후기형


1998년을 기점으로 전기형과 후기형으로 나뉘게 되는데, 후기형은 헤드라이트를 비롯한 외관과 엔진에 변화가 일어났다. 사진 속 차량은 가진 헤드라이트를 보아 전기형에 해당하는 차임을 알 수 있다. 


F-플랫폼을 사용했으며, 2도어지만 4인승 쿠페다. 당시 3.4L V6, 3.8L V6, 5.7L V8버전과 5.7L V8엔진이 탑재된 Z28로 구성됐다. V6 3.8모델의 경우 220마력을, V8 5.7의 Z28은 305마력의 성능을 발휘했다. 



카본과 플라스틱을 사용해 경량화를 실현했고, 낮은 보닛과 유선형 바디로 공기역학적인 면까지 고려된 것이 특징이다. '카본=경량화'공식은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는 듯하다. 


4세대 카마로를 끝으로 카마로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듯했으나, 2006년 디트로이트 오토쇼에서 1세대를 기반으로 재 탄생한 카마로 콘셉트카가 선보여졌다. 그리고 '카마로의 부활'이라는 사람들의 기대에 부응이라도 하듯, 긴 공백을 깨고 멋스러운 카마로가 등장한다. 


영화 트랜스포머 범블비 = 카마로 


영화 트랜스포머에 등장해 범블비란 이름으로 더 유명세를 타게 되고, 차에 대해 잘 모르는 여성분이나 어린아이들도 알아보는 차로 등극하게 된다.



1세대 카마로부터 현행 카마로까지 중 제일 못생긴 카마로로 치부되기도 했지만, 오랜 기간 '카마로'라는 자리를 지킨 그만한 가치가 있는 녀석이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어쩌면 가장 카마로스러운 카마로는 아니었을까? 


사진: 모터로이드 독자 김동현님 

글 : 모터로이드 

*해당글은 김동현님의 소중한 제보로 제작된 기사임을 알립니다. 제보 : https://www.facebook.com/motoroidkorea/ *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Column]

영국의 스포츠카 브랜드 '로터스(Lotus)'는 가볍고 빠른 자동차'의 대명사로 여겨진다. 이는 곧 드라이빙 퍼포먼스를 즐기는 어른들의 장난감으로 충분한 자격을 갖췄다는 말이다. 특히, 경량화에 대한 로터스의 집념과 노력은 눈에 띄게 두드러진다. 최근 선보여진 '로터스 엑시지'모델의 변천사를 통해 경량화 실현 과정을 살펴보자. 



1. 로터스 엑시지 스포츠 350 - 1,125kg



로터스가 2015년 12월에 공개한 새로운 2인승 로드스터다. 경량 알루미늄 섀시를 적용하여 무려 1,125kg까지 경량화를 이끌어냈다. 이는 기존 엑시지 S모델보다 51kg나 줄어든 수치다. 



3.5L V6 슈퍼차저 엔진이 탑재되어 최대출력 345마력, 최대토크 400Nm(40.8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제로백은 3.9초, 최고속도는 273kg/h다. 



2. 로터스 엑시지 스포츠 350 스페셜 에디션 - 1,099kg



로터스가 작년 활동을 마무리 지으며 10월쯤 공개한 '2016년 마지막 스페셜 에디션'이다. 더욱 가벼운 배터리를 사용하고, 카본 소재 및 경량 알로이 휠을 적용하여 기존 '로터스 엑시지 스포츠 350'모델보다 26kg를 덜어냈다. 결과적으로 1,099kg라는 한층 가벼운 중량을 자랑한다. 



기존과 같은 엔진 스펙과 최고속도를 자랑하며, 제로백은 3.7초로 약0.2초 앞당겼다. 스페셜 에디션인 만큼 단 50대만 생산되었으며, 붉은 색상의 데칼 줄무늬가 돋보이는 모델이다. 



3. 로터스 엑시지 스포츠 380 - 1,076kg



작년 11월, '가장 강력한 엑시지'라는 타이틀을 안고 '로터스 엑시지 스포츠 380'이 등장했다. 붉은색으로 사이드미러, 후드 라인, 바디 라인에 포인트를 줘 외관에 변화를 줬다. 또한, 에어로 패키지를 장착하여 '엑시지350'대비 다운 포스를 60%수준 강화해 공력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더욱 놀라운 것은 경량화가 그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카본 소재로 제작된 버킷 시트 장착, 더 가벼운 배터리로 교체, 브레이크 디스크 경량화, 가벼운 실내 소재 사용 등 차량 곳곳에 경량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이 더해졌다. 이로써 26.3kg 감량으로 1,076kg라는 공차중량을 이끌어냈다. 


엔진 튜닝으로 최고출력 380마력, 최대토크 41.8kg.m으로 성능까지 향상시켰다. 최고속도는 286km/h, 제로백은 3.7초다. 



4. 로터스 엑시지 레이스 380 - 998kg



로터스가 레이싱 트랙에 초점을 맞춘 '로터스 엑시지 레이스 380'을 공개하며 올해 시작을 알렸다.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 기존 엑시지 스포츠 380을 베이스로 제작된 트랙카다. 엔진 출력은 기존 스포츠 380과 동일하지만 제로백을 3.2초까지 앞당겼으며, 로터스의 테스트 트랙에서 랩타임을 엑시지 컵R보다 1.5초 단축시켰다. 



주목해볼 핵심 포인트는 역시 경량화다. 차체에 카본 복합 소재를 사용, 유리 대신 폴리카보네이트 사용, 카본 시트 장착, 경량 리튬 이온 배터리 및 초경량 휠(앞 17인치, 뒤 18인치)장착 등 갖가지 노력으로 공차중량을 998kg로 크게 줄였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티타늄 배기 시스템 추가 선택시, 10kg가량을 더 감량할 수 있다.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Column]
만인의 드림카를 만들어내는 슈퍼카의 대명사 '페라리'는 세월의 흐름 속에서 어떻게 변화했을까? 변화를 한눈에 살펴보기 위해 '페라리 변천사'를 정리했다. 그렇게 얻게 된 깨달음은 단 한 가지.


"

페라리의 차들은 언제나 명차였다

"


1. 1947 페라리 125 S



페라리의 시작을 알렸던 최초 모델이다. 1947년에 등장하여 페라리 125, 125S, 125스포츠라고 불리며, 레이싱과 일상적인 도로 주행이 모두 가능한 차다. 당시 엔초 페라리의 제안을 받은 조아키노 콜롬보(1903-1987)이 디자인했으며, 유일하게 V12 엔진이 탑재되어 모두의 관심을 끌었다.



페라리 125S가 V12 엔진을 달게 된 비화는 다음과 같다. 엔초 페라리는 콜롬보에게 전반적인 설계 방향에 대해 조언을 구했고, 이에 콜롬보는 "마세라티는 최상급 8기통 경주차를, 영국인들은 ERA 6기통 엔진을, 알파로메오는 독자적인 8기통 엔진을 쓰고 있으니, 당신은 12기통 엔진을 만들어야 한다"고 대답했다.


엔초 페라리 또한 오랫동안 12기통 엔진을 꿈꿔왔다고 밝히며, 그렇게 V12 엔진이 탑재된 페라리 125S가 세상 밖으로 등장하게 됐다고 전해진다.  



2. 1962 페라리 250 GTO 



페라리 250 GTO는 GT 경주를 위해 1962~1964년 사이 생산된 차로, 등장과 동시에 월드 매뉴팩추어러 챔피언십에서 3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독보적인 활약을 펼쳤다. 


250은 각 실린더의 배기량을 뜻하며, 당시 12기통 엔진이 탑재되어 총 배기량은 3000cc(250x12)다. GTO는 그랜트 투어러(GT)와 '적합하다'는 의미의 오몰로가토(Omologato)가 더해져 만들어진 이름이다. 



작년, 페라리 250GTO의 가격이 5600만 달러까지 치솟은 것으로 알려져 전 세계인들의 놀라움을 자아내기도 했다. 아름다운 외관과 뛰어난 성능, 그리고 레이싱 대회를 휩쓸었던 독보적인 이력과 희귀성까지 더해져 그야말로 부르는 게 가격이다. 


'자동차 역사상 최고가'라는 타이틀을 차지하며, 자동차 수집가들 사이에서 '모나리자'같은 존재로 여겨지고 있다. 



3. 1969 디노 246 GT


다른 차들과 달리, 안타까운 탄생 비화가 담긴 차다. 엔초 페라리의 아들 '알프레도 디노 페라리'가 젊은 나이에 병으로 요절하였고, 그를 기리기 위한 모델이 바로 '디노(Dino)'다.


외관은 피닌파리나가 디자인한 206GT의 아름다운 라인을 그대로 이어받아 멋진 자태를 자랑했고, 12기통 대신 2.4리터 6기통 미드십 엔진을 탑재되어 최고출력 197마력, 최대토크 22.9kg.m의 성능을 발휘했다.

다소 작은 엔진출력이지만 뛰어난 코너링을 자랑했으며, 당시 '12기통','붉은 색상'이라는 페라리의 고정관념을 깨고 등장한 모델이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상당한 판매량을 기록하며 페라리의 대중화에 기여했다고 전해진다.


현재까지도 페라리 매니아들의 큰 사랑을 받고 있는 대표적인 모델 중 하나다. 



4. 1984 288 GTO



F40, F50, 엔초 페라리, 라페라리로 이어지는 미드십 페라리의 시작이자, 역대 최고의 페라리 걸작 중 하나로 꼽힌다. 1984년에 열린 제네바 모터쇼에서 처음 등장하였으며, 정식 명칭은 페라리 GTO였지만, 이전에 출시된 250GTO와의 명칭 혼동 때문에 288GTO라 불린다. 



2.8리터 V8 터보 엔진이 탑재된 것이 '288'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유래다. 최대출력 400마력, 최대 토크 50.6kgm의 성능을 발휘하며,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도달시간은 단 4.9초, 200km/h까지는 15초다. 최고속도는 무려 304km/h이며, 당시 양산차 중 처음으로 300km/h를 돌파했다는 점도 주목해볼 만하다. 



5. 1984 테스타로사 


테스타로사는 이탈리아어로 '붉은 머리'라는 뜻으로, 12기통 엔진의 헤드를 붉은색으로 칠한 것으로부터 유래했다. 스포츠카 디자인의 대부 피닌파리나(Pininfarina)가 디자인했으며, 1984년 파리모터쇼서 처음으로 등장, 1985년부터 양산에 들어가 페라리를 대표하는 차로 자리매김했다. 



양옆에 날카롭게 나 있는 공기흡입구가 인상적이며, 중앙에 위치한 엔진 냉각 작용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 같은 디자인은 경쟁사인 람보르기니의 'Countach'를 의식해서 의도적으로 전략한 디자인이라 여겨지고 있다. 


5.0L V형 12기통 엔진이 탑재되어 최고출력 380마력, 최고 시속 290km/h라는 뛰어난 성능을 발휘했고, 제로 백은 5.8초를 기록했다. 



6. 1987 F40



페라리 F40은 '페라리 창립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탄생한 모델이자, 포르쉐로부터 '가장 빠른 차'라는 타이틀을 찾아오기 위해 제작된 차다. 당시 2.8L 6기통 엔진이 탑재된 포르쉐 959가 최고출력 450마력, 최고속도 315km/h로 선두를 달렸지만, 페라리 F40이 이를 뛰어넘었다.


2,936cc V8 트윈터보 엔진이 탑재되어 최고출력 478마력, 최대토크 55kg.m이라는 뛰어난 성능을 발휘했다.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가속 시간은 불과 3.8초였으며, 최고 속도는 324km/h로 양산차 중 최초로 320km/h를 돌파했다. 



페라리 F40은 원래 400대를 생산 목표로 잡았지만, 쏟아지는 주문으로 1992년까지 총 1,310대가 제작됐다. '가장 빠른 차', '40주년 기념 모델', '엔초 페라리의 마지막 작품'등의 타이틀이 붙는 명차로 뽑히고 있다. 



7. 1995 F50



페라리 F50은 포르쉐가 아닌, 맥라렌 F1을 따라잡기 위해 제작된 차다. F40과 마찬가지로 피닌파리나가 디자인을 맡았고, 전작과 달리 곡선이 부각되어 아름다운 자태를 자랑한다. 다른 모델들과 달리, 명암이 다른 붉은색, 노란색, 검은색, 은색 총 5가지 컬러로 출시되어 주목을 받기도 했다. 



아쉽게도 속도 면에서 맥라렌 F1을 꺾진 못했지만, F1보다 직선과 코너링 고속 주행에서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평을 받았다. 4.8L V12 자연흡기 엔진이 장착되었으며, 513마력이라는 엄청난 힘을 뿜어냈다.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가속시간은 3.7초로, 지금 출시되는 고성능 자동차들과도 비슷한 수치다.


페라리 F50의 가격과 가치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상승하고 있다. 



8. 2003 페라리 엔초 



페라리 창업자 '엔초 페라리'의 이름을 따 만들졌으며, 페라리 창립 60주년 기념 모델이라는 점에서 'F60'이라 불리기도 한다. 원래 349대만 한정 생산 예정이었지만, 50대를 더 생산하여 399대가 생산됐고, 2005년 추가로 1대를 제작하여 총 생산대수를 400대로 맞췄다. 


6.0L V12 엔진이 탑재되어 최고출력 651마력, 최대토크 67.0kg.m의 성능을 발휘했으며, 제로백은 3.65초, 최고 속도는 350km/h다. 



9. 2004 F430



페라리 F430은 2004년 파리모터쇼서 페라리 360모데나의 후속 모델로 등장하여, 2009년까지 생산됐다.


람보르기니 가야르도, 포르쉐 911GT 시리즈 등의 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탄생한 차량이다. 전체적인 디자인은 F360을 다듬은 듯한 모습이며, 뒷모습은 페라리 엔초와 닮아 '리틀 엔초'라는 별명까지 얻게 되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4,308cc V8 엔진이 탑재되어 최대출력 490마력, 최대토크 47.4kg.m의 힘을 발휘하며 제로백은 4.1초를 기록했다. 특히, 코너링과 위급상황에서 최적의 상황으로 자동차를 제어하며 안정감 있는 드라이빙을 선사하는 'E-Diff'와 주행모드 선택 스위치 '마네티노'가 적용되는 등 F1의 기술이 집약된 차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미국 영화 <스카이라인>에 등장하여 눈길을 끌기도 했다. 



10. 2010 599 GTO



'1962 250GTO', '1984 288 GTO'에 이은 세 번째 GTO 모델로, 2010베이징 모터쇼서 공개됐다. 


페라리 전통을 계승하는 V12 엔진과 혁신적인 기술이 집약됨은 물론 아름다운 디자인까지 갖춘 전설적인 모델이다. 670마력의 힘으로 피오라노 서킷에서 1분 24초라는 놀라운 랩타임을 기록하며 '가장 빠른 차'라는 타이틀도 거머줬다. 최고 속도는 355km/h, 제로백은 3.35초이며, 이는 엔초 페라리보다 빠른 수치다. 


뛰어난 성능과 감각적인 디자인, 그리고 희소성까지 더해져 소장가치가 매우 높은 차로 꼽히고 있다. 



11. 2012 458 이탈리아



페라리의 마지막 V8 자연흡기 모델로, F1의 전설로 불리는 '미하엘 슈마허(Michael Schumacher)가 직접 제작에 참여했다. 출시 당시 페라리 역사상 가장 파격적인 디자인으로 평가될 정도로 섹시하고 아름다운 라인을 자랑한다. 



이름 속 45는 4.5리터 배기량을 의미하며, 8은 실린더 개수를 의미한다. 또한, 페라리 차량 중 최고로 국가 이름인 '이탈리아'가 붙은 차량이기도 하다. 일반 도로 주행과 트랙 주행 모두 최적화된 스포츠카로 활용도가 높다.



12. 2014 라페라리



라페라리, 이름만으로도 엄청난 포스를 풍기는 차량이다. 페라리 창립 70주년 기념과 동시에, 페라리 플래그십 모델의 계보를 잇는 '엔초'의 후속작으로 여져진다. 

페라리 엔초만큼이나 세련되고 날렵한 디자인을 자랑하며, 마찬가지로 버터플라이 도어가 적용됐다. 외관도 외관이지만, 성능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어마어마하다. 800마력의 힘을 발휘하는 6300cc급 가솔린 엔진과 163마력의 힘을 발휘하는 전기모터가 더해져 총 963마력, 최대토크 71.4kg.m이라는 엄청난 출력을 자랑한다. 



최고속도는 무려 350km/h, 100km/h까지 가속시간은 단 3초이며, 200km/h까지는 7초, 300km/h까지는 15초가 소용된다. 생산 차량 500대 중 한 대는 페라리 사가 보관하고, 나머지 499대가 한정 판매되었다. 



13. 2017 페라리 J50



페라리의 일본 진출 5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된 특별한 모델이다. 


488스파이더를 기반으로 희소성을 높이기 위해 단 10대만 한정 생산되며, 1980년 출시된 페라리 308 GTS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고 알려졌다. 페라리 스페셜 프로젝트 부서가 직접 기획하고 페라리 스타일링 센터가 디자인을 담당했다. 



엔진은 488스파이더에 탑재된 3.9리터 V8 엔진이 그대로 탑재되었고, 출력은 20마력 정도 상승하여 690마력의 출력을 발휘한다.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Column]



자동차 역사를 살펴보면, 독일의 3대 고급차 브랜드 중 하나인 메르세데스-벤츠와 스포츠카의 명가 포르쉐가 함께 했던 순간이 있다. 도대체 언제, 어떤 이유로 그들이 함께 했던 것일까? 독일의 포르쉐 박물관에도 전시돼있는 벤츠 W124 500E에 얽혀진 이야기를 살펴보자. 


"

'포르쉐 X 메르세데스 벤츠' 그들의 콜라보레이션 이야기 

"


때는 1990년대 초반으로 거슬러올라간다. 스포츠 세단의 필요성을 느낀 메르세데스-벤츠가 초대 E클래스인 W124를 스포츠 세단으로 제작할 계획을 세우고 포르쉐에 의뢰한다. 당시 경영 부진으로 재정난에 허덕이던 포르쉐는 제안을 받아들이고 자사의 공장에서 W124를 기반으로한 고성능 세단을 만들게 된다. 



그렇게 포르쉐 공장에서 수작업으로 만들어 벤츠에 납품된 차가 바로 '메르세데스 500E'다. 


1990년부터 1994년까지 10,479대가 생산된 500E는 당시 세계 최고의 4도어 스포츠 세단으로 여겨졌다. 포르쉐 입장에서 '포르쉐 최초의 4도어 세단'이라는 의미도 갖는다. 



500SL에 탑재되었던 V8 5.0리터 M119엔진과 4단 자동변속기가 장착되어 최고 출력 326마력, 최대토크 48.9kg.m의 성능을 자랑했다.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도달시간은 불과 5.5초, 400m까지는 14.1초다. 최고 시속은 249km/h를 기록했는데, 당시 속도 리미트가 249km/h였던 사실을 감안하면 최고의 성능을 보여줬다고 봐도 무방하다. 



당정하고 차분해 보이는 외관에 숨겨진 강력한 성능 때문에 '슈퍼 스포츠 세단' 또는 '양의 탈을 쓴 늑대'라고 불리기도 했으며, '최고의 스포츠 세단'이라며 기자들의 호평을 받기도 했다. 


스포티한 외관과 주행 감각을 위해 앞뒤 오버휀더가 확장되었고, 서스펜션과 브레이크가 업그레이드 되었다. 포르쉐가 생산한 차량들에는 500E란 이름이 붙었고, 이후 메르데세스-벤츠가 만든 차들은 E500으로 변경되며 지금의 'E클래스'라는 차명을 갖게 되었다. 실제로 클래식카 시장에서의 가격은 E500보다 500E의 가격이 더 비싸고, 희소 가치도 더 높다. 



국내에도 정식 등록되어 도로를 누비고 있는 차가 있다고 알려진 바 있으니, 앞으로 도로를 달리는 W124를 보게 되면 유심히 살펴보는 것은 어떨까?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Column]

20세기를 장식했던 럭셔리 세단 중, 다시 한 번 되돌아볼만한 가치가 있는 차량은 뭐가 있을까? 

20세기 숨은 보석 같은 차량들을 뽑아봤다. 자동차 역사 속에서 영원히 밝게 빛날 20세기 럭셔리 세단을 살펴보자.



1. 애스턴 마틴 라곤다(Aston Martin Lagonda) 1974-1990



애스턴마틴이 전통적으로 4도어 럭셔리 고급 모델에 사용했던 이름이 바로 '라곤다'다. 


라곤다는 본래 차량명이 아니라, 르망 24시 레이스에서 우승을 거머쥐며 럭셔리카의 정상에 올랐던 자동차 회사명이었지만 1947년에 애스턴마틴에 흡수된다. '라곤다 라피드'와 '애스턴마틴 라곤다'가 라곤다의 몇 안되는 유일한 결실이라 볼 수 있다. 


1974~1990년에 생산된 애스턴 마틴 라곤다는 일명 'Folded Paper(접힌 종이)'디자인으로 날카롭고 독보적인 디자인을 자랑했다. 호불호가 분명하게 갈리는 특유의 디자인으로 출시 당시부터 지금까지 논란의 여지가 많았지만, 70년대의 탄생한 자동차치고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이 적용되었다는 사실은 분명해보인다. 



특히, 1976년 4도어 세단에 세계 최초로 LED 계기판을 적용하는 등 당시 첨단 장비로 여겨지는 각종 전자 장비들을 탑재했다는 점도 주목해볼 만하다. 당시 첨단 전자장비들을 개발하는데만 차량 개발 비용의 4배에 달하는 돈을 투자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한다. 하지만 낮은 완성도와 잦은 고장으로 인해 '최악의 자동차 50'목록에 기재되는 비운을 맞이하기도 했다. 



총 4번의 모델 변경이 이뤄지며 판매됐으며, 대략 645대만 소량 생산되어 자동차 수집가들이 탐내는 자동차 중 하나로 뽑힌다. 




2.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Ⅲ 1979-1990



3세대 콰트로 포르테는 1979년부터 1990년까지 약2110대가 생산되며, 부채에 시달렸던 마세라티를 구원해준 베스트셀러 모델이다. 


마세라티 사장인 알레한드로 드 토마소(Alejandro de Tomado)가 20세기 최고의 자동차 디자이너로 꼽히는 조르제토 주지아로(Giorgetto Fiugiaro)에게 의뢰해 탄생했다. 



4930cc 배기량에 대형 V8엔진이 탑재되었으며, 최고출력 290마력을 자랑했다. 특히, 이탈리아 대통령 산드로 페르티니(Sandro Pertini)와 국회의장의 공식 의전차량으로 선정되며 명성을 떨치기도 했다. 


이후, 300마력까지 출력을 증가시키고 쿨박스와 장미목 테이블 등의 획기적이고 럭셔리한 인테리어를 갖추기도 했다. 



3. 링컨 컨티넨털 마크V (Lincoln Continental Mark V) 1977



링컨 컨티넨탈 마크V는 1977년부터 1979년 사이에 판매된 링컨의 대형 쿠페다. 


이전의 마크 IV의 스타일을 이어받았으며, 컨티넨탈과 함께 링컨의 명작이자 부를 상징하는 모델이기도 했다. 6.6L V8, 7.5L V8엔진이 탑재되었고, 쿠페라기보다 대형 세단을 보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만큼 커다란 차체를 자랑했다. 



마크 V는 뛰어난 디자인과 성능으로 마크 시리즈 ⅰ~Ⅷ 중 가장 높은 판매 기록을 세웠으며, 미국의 TV시리즈 댈러스에 등장하며 눈길을 끌기도 했다. 



4. 메르세데스 벤츠 500E 1900-1994



1991년부터 1995년까지, 10,479대가 생산된 500E는 포르쉐와 합작하여 탄생한 당시 최고의 4도어 스포츠 세단이다. 


포르쉐 공장에서 수제작으로 조립되어 벤츠에 납품되었고, 이에 '포르쉐가 만든 메르세데스-벤츠'라고 불렸다. 


500SL에 탑재되었던 V8 5.0리터 가솔린 엔진과 4단 자동변속기가 장착되어 최고 출력 326마력, 최고 시속 249km/h를 기록했다.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도달시간은 불과 5.5초, 400m까지는 14.1초다. 당시 속도 리미트가 249km/h였던 사실을 감안하면, 최고의 성능을 보여줬던 차라고 봐도 무방하다. 



당시 기자들은 500E가 '양의 탈을 쓴 늑대'라며 호평하였고, 국내에도 1대가 정식 등록되어 도로를 무비고 있다고 알려졌다. 


1993년에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지금의 'E클래스'라는 차명을 갖게 되었고, 트림명도 '3자리 숫자 + 알파벳'에서 '알파벳 + 숫자'로 변경되게 된다. 



5. 마이바흐 1997-2003


지금은 마이바흐가 메르세데스의 럭셔리 라인업을 담당하는 서브 브랜드로 흡수되었지만, 그전까지는 100년 이상의 역사를 바탕으로 타 차량과의 비교를 거부하는 독자적인 최고급 브랜드였다. 


1909년 설립된 마이바흐는최고급 럭셔리 차량으로 이름을 알렸지만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발발로 정부의 명령을 받아 비행기를 제작했고, 1939년 2차 세계대전에서 나치군의 탱크를 생산하다가 종전 후 문을 닫게 되었다. 


이후 오랜 기간 자동차 세계에서 이름을 감췄던 마이바흐가 1997년 화려한 복귀를 알렸다. '마이바흐 57'과 '마이바흐 62' 두 가지 모델이 출시되었으며, 이름 뒤에 붙은 숫자는 차의 길이를 의미한다. 62는 6.17미터이고 57은 5.73미터다. 



현행 마이바흐는 메르세데스 벤츠의 플래그십 세단인 S클래스와 비슷한 탓에, 우스갯소리로 마지막 마이바흐라고 불리고 있다. 


마이바흐 부활 이후 최초의 모델로 화려하게 등장했지만, 만족스럽지 못한 판매대수로 인해 2013년 단종의 운명을 맞이했다.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Column]

콘셉트카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다. '미래의 소비자 경향을 예상해 모터쇼에 출시할 목적으로 제작되는 자동차'를 의미하기도 하고, '신차 개발에 앞서 미래 지향적인 형태와 최첨단의 성능을 갖추었지만 아직 양산 체제에는 들어가지 않은 차'를 뜻하기도 한다. 또한, '일종의 개념, 새로운 스타일, 새로운 기술을 보여주기 위한 자동차 프로토타입'으로 통하기도 한다. 한마디로, 미래와 상상이 담겨있는 자동차가 바로 콘셉트카다. 


그렇다면, 화물을 운반하기에 적합한 트럭의 미래 모습은 어떨까? 멋진 스포츠카나 럭셔리 세단만 콘셉트카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트럭 콘셉트카로 앞으로 펼쳐질 미래 트럭의 모습을 살펴보자. 



1. 2040퓨처 메르세데스 벤츠 E-트럭 콘셉트 



2040년을 바라보며 계획된 메르세데스-벤츠의 액체 수송 트럭이다. 

원형을 베이스로 한 공기역학적인 디자인을 자랑하며, 낮은 공기저항계수 덕분에 고속으로 달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10개의 이온 배터리가 탑재되며, 지구 상에서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트럭이라는 메세지를 담고 있다. 



2. 메르세데스 벤츠 퓨처 트럭 2025



메르세데스 벤츠 디자인 철학을 이어받아 미래 지향적이고 매끄러운 디자인을 자랑한다. 


'고전적인 트럭에서 미래 자율 수송 차량으로의 도약'을 상징하며, 벤츠가 그리는 미래 트럭의 모습이 잘 담겨있다. 헤드라이트를 대신하는 전면부의 빛나는 LED는 자율 주행 모드시, 흰색에서 파란색으로 바뀐다. 



벤츠의 고급스러움은 퓨처 트럭 2025의 인테리어에도 반영되었다. 어두운 색상의 우드 소재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고전적인 느낌과 미래적인 느낌의 조화를 잘 이끌어냈다. 



3. 2016 퓨처 아우디 트럭 콘셉트 



우크라이나의 디자이너 Artem Smirnov와 Vladimir Panchenko가 디자인한 아우디 트럭 콘셉트카다. 


자율 주행 전기 트럭 콘셉트로, 창문과 사이드 미러가 없는 미래 지향적인 디자인이 특징이다. 



조종석이 차량 꼭대기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치 제트기 조종석을 연상하게 한다. 



4. ETF 트럭 콘셉트 



독일 ETF가 대형 견인 트럭과 굴절 식 덤프트럭의 특징을 결합해 선보인 트럭 콘셉트이다. 


특수 고무로 제작된 휠이 장착되어 고속도로와 비포장도로 모두 주행이 가능하다. 



또한 All Wheel Steering기능으로 매우 짧은 선회 반경을 자랑하여, 거대한 크기에도 불구하고 회전이 용이하다. 필요에 따라 덤프트럭을 연결하여 기차처럼 달릴 수 있도록 설계한 것도 주목해볼 만하다. 



5. 푸조 푸드 트럭 콘셉트 



푸조가 2015밀라노 엑스포에서 전시한 푸드 트럭이다. 


조리 도구나 장비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길게 설계되었고, 46인치 스크린과 Focal 스피커를 장착하여 럭셔리하고 편안한 공간의 분위기를 연출했다. 



식품 위생법에 준수한 환기 시스템, 제품 보관 장소, 400리터 냉장고 등 푸드트럭에 걸맞은 다양한 장비도 갖추었으며, 최대 3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서빙 공간은 물론 DJ부스까지 갖췄다. 



디자인 리더 캐탈 라우넨(Cathal Loughnane)은 "단순한 전시용 자동차가 아닌 사용자 관점에서 세부적으로 디자인하였고, '대중에게 쉽게 접근한다'는 푸드트럭의 특징이자 장점을 잘 살리고자 하였다"라고 설명했다.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Column]



닛산 GT-R은 여러 레이싱 대회에서 정상에 오르며 불패신화를 이룩했던 전설적인 고성능 스포츠카다. 


이른바 '기술의 닛산'을 상징하는 기술력 결정체로, 고가의 라이벌 슈퍼카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만큼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그래서인지, 2007년 출시 이후 완전 변경 없이 부분 변경만 이뤄지고 있지만, 욕하는 이를 찾아보기 힘들다. 오히려 매니아층이 더욱 두터워지고 있으니 정말 신기할 노릇이다. 


하지만 제아무리 뛰어난 디자인과 성능을 갖춘 GT-R이라 해도, '새로운 변화가 필요할 때'라는 사실을 모른체하긴 어려운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 모두의 기다림과 관심 속에 등장할 차세대 닛산 GT-R은 도대체 어떤 모습일까?


다행히도 단서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뿌려진 여러 가지 퍼즐 조각으로 차세대 닛산 GT-R을 예상해보자. 



디자인 



차세대 닛산 GT-R은 비전 그란 투리스모 콘셉트 디자인의 영감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닛산 디자인 총괄 수석 부사장 나카무라 시로(Shiro Nakamura)는 '차세대 닛산 GT-R의 렌더링을 보았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하며, 일부 디자인 요소일지도 모르지만 가장 근접한 단서는 '비전 그란 투리스모 콘셉트'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최근 닛산 차량들에 적용되고 있는 닛산의 새로운 디자인 언어 '에너제틱 플로우 (Energetic Flow)'가 신형 GT-R에도 적용될지 여부도 관건 포인트다. 



에너제틱 플로우가 반영된 신형 GT-R의 예상도가 공개되면서 눈길을 끌기도 했다. 과연 GT-R만의 독자적인 디자인이 적용될지, 새로운 트렌드가 반영될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구동계 



나카무라 시로는 'GT-R의 엔진은 항상 앞쪽에 배치될 것이며, 4인승 쿠페임에는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미드 엔진이 적용될 수도 있다는 유머는 더 이상 의미가 없어 보인다.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이 될 것'이라고 언급하며, 차세대 GT-R에 하이브리드 구동계를 올릴 것을 암시했다. 


닛산 스포츠카 총괄 제임스 올리버(James Oliver)는 “전기 구동계를 채용함으로써 R35 대비 더욱 빠른 GT-R을 선보일 것”이라며, “ 우리는 이미 배터리 생산과 전기 자동차 기술 측면에서 뛰어난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므로,향후 제품에 이러한 기술을 적용시키는 것은 그리 대단한 일이 아니다” 라고 말한 바 있다.


최근 전기 스포츠카나 하이브리드 슈퍼카가 등장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GT-R 하이브리드는 왠지 모를 어색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이제 GT-R도 시대에 걸맞은 변화를 준비 중인 것으로 보인다. 



기타 사항 



조금이라도 더 빠르게 만들기 위해 세대를 거듭하면서 무게를 덜어내는 것이 일반적이다.하지만, 닛산 GT-R이 접근하는 방식은 조금 다르다. 차가 가벼우면 위험할 수 있고, 지금 같은 퍼포먼스가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때문에 GT-R의 무게는 여전할 것으로 예상되며, 심지어 닛산의 수석 엔지니어 카즈토시(Kazutoshi)는 '무게를 바라보는 사고방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ㅣ풀체인지가 늦어진 이유?



풀체인지가 늦어진 데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전설적인 모델의 후속작인 만큼 심사숙고하는 탓에 늦어질 수도 있고, 확정되지 않은 디자인에 심혈을 기울일 수도 있다. 아니면 꾸준한 판매량 덕에 풀체인지 모델을 서둘러 선보일 필요가 없었을 수도 있다. 


여기서 나카무라 시로와 제임스의 올리버가 했던 말을 다시 한 번쯤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수년에 걸쳐 GT-R의 개발이 진행되어왔다. 그리고 우리는 어느 시점에서 차세대 자동차로 이동할 것이다." , "현재 GT-R은 스타일링, 서스펜션 및 소프트웨어 등 매년 업데이트되고 있으며, 여전히 잘 팔리고 있다.".


주요 자동차 업계들이 전기차에 초점을 두고 발길을 돌리면서, 닛산이 말하는 '어느 시점'이 임박하고 있다는 사실이 점점 느껴지고 있다. 



현재 알려진 닛산의 신형 GT-R출시 계획은 2018년이다. GT-R이 워낙 두터운 매니아층을 가진 차이기도 하고 많은 이들이 오랜 시간 기다린 만큼, 신형 GT-R에 대해 닛산이 짊어지고 있는 고민의 무게도 적지 않을 것이다. 현행 GT-R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4개의 붉은 원으로 구성된 테일램프, GT-R고유의 바디 라인 등 어느 것을 계승하고 어느 곳에 변화를 줄지, 큰 기대감을 가지고 기다려보자.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Column]

차를 유지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시 여겨지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유류비'일 것이다. 특히나 출퇴근 주행거리가 많은 사람들에게는 더욱 그렇다. 조금이라도 유류비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주유소를 이용하는 당신이 알아야 할 8가지 요령을 소개한다. 



ㅣ 기름 넣는 시간대를 적절히 활용하라 



같은 가격이라도 하루 중 어떤 시간대에 기름을 넣느냐에 따라 차이가 발생한다. 

휘발유는 액체로 구성되어 기온에 따라 부피가 변한다. 온도가 낮은 이른 아침 시간이나 저녁에는 기름의 밀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은 시간대에 주유를 하면 비교적 더 많은 기름을 넣을 수 있다. 


'이른 아침에 주유하라'는 또 다른 이유도 있다. 차가 많이 다니지 않는 새벽시간에는 가능한 많은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 가격을 조금이라도 더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믿기 힘들다면, 차가 많이 다니는 시간대나 출퇴근 시간대의 가격과 도로가 텅 비는 새벽 시간대의 가격을 직접 비교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이다. 


같은 맥락으로, 대부분 주말 또는 휴일에는 많은 사람들이 여행을 시작하기 때문에 그전에 주유소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ㅣ 연료 수송 트럭(유조선 트럭)을 보았다면, 기름은 다음에 넣자. 



주유소에서 연료 수송 트럭이 연료를 공급하고 있는 모습을 보았을 때는 기름을 넣지 않는 것이 좋다. 혹여나 "갓 공급된 신선한 기름"이라고 착각하고 좋아하며 기름을 넣는 것은 바보 같은 짓이다. 


유조선 트럭이 지하 연료 탱크에 연료를 공급한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것은 연료에 섞인 불순물이 아직 가라앉지 않았다는 뜻이다. 또한, 수송 트럭이 연료탱크를 채울 때 바닥에 가라앉아 있던 침전물이 올라와 이리저리 섞이게 된다. 


때문에 갓 공급받은 기름을 주유할 경우, 원하지 않는 불순물까지 주유하게 되고 자동차의 연료 시스템에 쌓이면서 연료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ㅣ 주유소 할인 카드 사용하기 



주행거리가 많다면, 주유 할인이 되는 카드를 사용하는 것도 좋지 않은 방법이다. 

최근에는 출퇴근 거리가 많은 사람들을 타깃으로 한 다양한 주유 할인 카드들이 쏟아지고 있기 때문에, 잘만 이용한다면 큰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리터 당 주유할인은 물론이고 포인트가 쌓이기도 한다. 


여러 주유소에서 할인이 되는 카드보다는 지정된 특정 주유소 할인 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더 많은 혜택을 볼 수 있다. 또한, 경차를 소유하고 있다면, '경차 사랑 유류구매 전용카드'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휘발유,경유는 리터당 250원의 교통·에너지·환경세, LPG는 kg당 275원(리터당 약161원)의 개별소비세를 돌려받을 수 있다. 



ㅣ 주유소 관련 앱 이용하기 



스마트폰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주유소 관련 앱(App)들이 출시되고 있다. 


위치정보를 통해 주변의 주요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앱들이 많이 등장하여 저렴한 가격의 주유소를 쉽고 빠르게 찾을 수 있다. 


주유할인카드를 대신해, 스마트폰으로 원하는 주유소를 선택하고 결제한 후, 주유소를 방문해 주유하는 선결재 앱도 출시되었다. 앱을 통해 주유소 위치나 가격, 서비스 등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다양한 할인이나 상품권 혜택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잘 활용한다면 주유비를 아낄 수 있다. 



ㅣ 주유할 타이밍을 잘 활용하라 



주유를 하는 타이밍만 잘 맞춰도 연료비를 아끼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연료가 거의 남아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유를 할 경우, 주입되는 연료가 연료탱크 바닥에 부딪혀 일부가 산화된다. 때문에 주유 눈금이 한 칸 이상 남았을 때 주유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주유를 너무 가득 채우는 것도 좋지 않다. 기름을 가득 채운만큼 무게가 상승하게 되고, 이는 무거운 짐을 싣고 다는 것과 마찬가지다. 차의 무게는 연비와 직결되기 때문에 가득 채우기보다는 적당히 주유하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ㅣ 셀프 주유소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 



셀프 주유소는 주유원의 도움 없이 고객이 직접 기름을 넣기 때문에, 인건비가 제외되어 일반 주유소보다 상대적으로 기름값이 저렴한 편이다. 


만약 셀프주유소에서 주유를 한다면, 주유 속도를 느리게 하여 주유하는 것도 하나의 팁이다. 

주유되는 속도에 따라서도 연료탱크로 유입되는 기름의 양에 차이가 발생한다. 빠르게 주유하게 되면 기름이 튀고 역류하여 증발하게 돼버리기 때문에, 기름 증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느리게 주유하는 것이 좋다. 속도 조절이 가능한 셀프주유소에서는 속도가 느린 1단계 주유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다. 



같은 맥락으로, 주유 손잡이를 살짝 당겨서 주유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주유 손잡이를 완전히 당겨서 락을 걸어둘 경우 거품이 더 많이 발생하고 공기중으로 날아가는 기름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살짝 당겨 주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ㅣ 습도가 적은 날을 공략하자



비가 눈이 내려 습도가 높은 날 주유하게 될 경우, 연료 탱크의 습기가 가득 차 기름이 덜 들어갈 수 있다. 연료 탱크 안쪽에 물방울이 맺히게 되고, 극소량이지만 상대적으로 기름이 덜 들어가게 될뿐만 아니라 차량에도 좋지 않다. 때문에 가급적 맑은 날 주유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ㅣ '원' 단위 보다는 '리터' 단위로 주문하자 



양심 없는 정량 미달 주유소가 종종 적발되고 있는 탓에 '원'보다는 '리터'단위로 주문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감시단의 정량 검사 기준이 20리터이기 때문에, 속일 수 없는 범위인 20리터씩 주유하는 것도 알아두면 좋다.

반응형
교차형 무한
반응형
728x170

[Motoroid / Column]


"

알듯 말듯 모르는 자동차 속 숨겨진 비밀 이야기


"



인류 최초의 자동차는 태엽 자동차



바퀴의 발명은 자동차의 시작이었다. 바퀴가 발명된 후, 인류는 짐이나 사람을 태우고 가는 차를 만들기 위해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1482년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만든 태엽 자동차가 인류 최초의 자동차로 인정받고 있다. 장난감 수준이었을지는 모르지만, 명백한 자동차의 기원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후 1769년 프랑스의 니콜라 조셰프 퀴뇨가 세바퀴 증기자동차를,1886년 독일의 고트리프 다임러와 칼 벤츠가 가솔린 자동차를 발명했으며, 1895년에는 프랑스의 앙드레 미쉐린이 자동차용 공기타이어를 발명하면서 자동차의 속도를 높이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ㅣ 최초의 국산 자동차 이름이 '시발'이라고?


우리나라 최초의 국산 자동차 이름은 '시발(發)'이다. 자동차 생산의 시작이라는 의미를 가진 이 차는 1955년 전쟁의 폐허 속에서 탄생하게 되었다. 배기량 2195cc로 지프형 6인승 차량이었으며, 큰 엔진에 비해 최고 시속은 80km/h로 그다지 빠르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미국으로부터 불하 받은 지프 엔진과 변속기와 드럼통을 두들겨 펴서 만든 차체를 조립해 만들었으며, 한 대를 제작하는 데 4개월이 걸렸다. 1955년 10월에 열린 광복 10주년 기념 산업 박람회에서 최우수상과 대통령상을 받기도 했다. 



ㅣ 마세라티 - 고성능 모델인지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트라이던트를 상징하는 마세라티의 삼지창 엠블럼 속에 쉽게 알아차리기 힘든 비밀이 숨겨져있다. 바로 마세라티의 고성능 모델에는 삼지창에 '두 개의 빨간 줄'이 들어간다는 것.

마세라티 엠블럼에 빨간 줄이 그어져있다면, 평범한 마세라티가 아니다. 고성능 모델이다. 

프론트 라디에이터 그릴이나 C필러에 부착된 엠블럼을 살펴보면 확인이 가능하다. 



ㅣ 코란도 이름 속에 담긴 의미 



코란도는 쌍용 자동차의 SUV로 정통 오프로더 대명사로 여겨지는 대한민국 최장수 모델이다. 


특히, 3세대 코란도(1996년~2005년)는 개성만점 디자인에 벤츠 엔진까지 탑재되어 '대학생의 로망'으로 떠오르며 절대적인 인기를 누렸다.여러가지로 코란도가 갖는 의미는 크지만, '코란도'라는 이름 속에 담긴 의미도 크다. 



코란도는 '한국인은 할 수 있다(Korean can do)'의 준말로, 그 어떤 자동차보다 기분 좋은 의미가 담겼다. 이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의지와 힘으로 개발한 차(Korean do it)', '한국 땅을 뒤덮는 차(Korean land over)', '한국을 지배하는 차(Korean land dominator)'등의 다양한 의미도 지녔다고 전해진다.



ㅣ 디젤차보다 가솔린차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더 높다?



연비가 좋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연료비로 큰 인기를 끌었던 디젤 차가 미세 먼지와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면서 미운 오리로 전락했다. 심지어 주요 각국과 도시들이 디젤 자동차 금지에 발맞춰 나서기 시작했다. 그래서인지 가솔린차가 상대적으로 클린하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가솔린차는 디젤차에 비하면 양반이지'라는 잘못된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가솔린 자동차 확대라는 풍선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내연기관 자동차라면 매한가지다. 비록 미세먼지 측면에서는 디젤차가 부각되었지만, 대표적인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중점으로 놓고 본다면 가솔린차가 디젤차보다 20~30%가량 더 높다. 디젤차가 미래 이산화탄소 규제 목표를 충족하기 위한 주요 방안이나 온실가스 저감의 대안으로 주목받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ㅣ 택시 지붕 빨간등의 의미



택시는 시간을 불문하고 사람들의 발이 되어주는 대중교통이다. 그렇다 보니 택시 기사님들도 강도나 택시 내 범죄행위 등 무분별한 위험 상황에 노출되기 마련이다. 택시기사님들이 위급한 상황을 알리거나 외부로부터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방법으로 택시 갓등에 빨간등을 켜고 있다. 



혹시나 빨간 갓등의 택시를 본다면 112로 적극 신고해야 한다. 위 기능이 대부분의 택시에 설치되어 있고 도입된지도 10년이 훌쩍 넘었지만 실제로 아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택시의 빨간등이 택시 기사님의 위급한 상황을 알리는 비상등이라는 사실이 널리 알려져 피해를 보는 일이 없어져야 할 것이다.



ㅣ 람보르기니가 원래 트랙터를 만들던 회사라고? 


페라리와 함께 슈퍼카의 양대 산맥으로 자리매김한 람보르기니는 원래 전쟁 때 쓰던 군용차량들을 트랙터로 개조하는 회사였다. 이후 사업의 규모가 커지자 이탈리아에서 알아주는 트래터 제조사로 발전했다. 



자동차 매니아였던 람보르기니의 창업자 페루치오 람보르기니는 페라리를 몇 대 가지고 있었는데, 그중 한 차량에서 클러치 고장이 계속해서 발생했다. 이에 직접 페라리의 변속기를 분해하여 문제점을 찾아냈고 엔초페라리와 심도 있게 논의하고 싶어 했지만, 엔초 페라리가 이를 묵살하고 모욕을 줬다. 



이에 분노한 페루치오 람보르기니가 더 빠른 스포츠카를 만들어 그의 콧대를 꺾어 놓겠다는 일념으로 람보르기니를 만들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탄생비화로 전해오고 있다. 



ㅣ 제네시스 EQ900 배기량 엠블럼 속에 담긴 웃픈 비밀 



현대 자동차의 고급 브랜드인 제네시스의 플래그십 럭셔리 세단 EQ900이 출시 1년만에 놀라운 성과를 이뤄냈다. 지난해 12월 출시 이후 올해 11월까지 총 2만2276대가 누적판매되며, 그야말로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배기량을 의미하는 숫자 레터링으로 인해 불만이 제기되기도 했다. 제네시스 EQ900의 경우 3.8, 3.3터보, 5.0엔진이 적용되어, 배기량에 따라 3.8, 3.3, 5.0이 적힌 엠블럼으로 표시하고 있다. 하지만 3.8모델이 315hp, 3.3모델이 370hp로 3.8모델보다 3.3모델의 최대출력이 65마력이 더 높고, 가격대도 3.8모델이 7,300~1억700만원, 3.3모델이 7,700~1억 1,100만원으로 3.3모델이 더 높다. 숫자가 더 낮은 3.3엠블럼 때문에 3.8모델보다 더 낮은 급 차량으로 인식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제기된 것이다. 


더 높은 금액을 주고 산 3.3터보가 가장 낮은 급으로 인식되면서, 해당 모델 구매 오너들이 탐탁지 않을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그러다 보니 3.3을 살바에 아예 돈을 더 주고 5.0을 샀다는 오너들도 늘고 있는 추세이며, '배기량보다는 출력으로 표기해야 하는 게 맞지 않냐'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터보를 많이 사용하면서 배기량이 전보다 작아진 관계로 이같은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BMW,아우디 등 타사의 경우, 3000cc급의 배기량임에도 불구하고 '4000cc에 버금가는 성능을 낸다'는 의미로 4.0이라 표기하고 있다. 


반응형
교차형 무한

to Top